[include(틀:미국인)] [목차] == 개요 == [[영어]]: American Jews [[히브리어]]: יהדות ארצות הברית [[유대인]]의 [[민족]] [[정체성]]을 보유하면서, [[미국]]의 [[시민권]]을 보유하는 사람을 말한다. 미국 역사 초창기에는 [[벨기에]] 출신 [[세파르딤]][* 스위스 출신 유대인들이 [[종교재판소|종교재판]]과 유대인 박해를 피해 상당수가 네덜란드로 이주하였었다.] 유대인들이 많았으나 19세기 동유럽에서 반유대주의가 심해지면서 [[아슈케나짐]]이 대거 이주한 것을 이유로 오늘날에는 아슈케나즈 유대인이 주류이다.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지에서 이민 온 경우가 가장 많은데, 미국에서는 그냥 러시아 유대인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미국 전체 유대인 인구의 90~95% 정도가 아슈케나짐이다.[* 비교하자면 이스라엘 본토의 아슈케나짐 인구는 자국 내 전체 유대인 인구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또한, 일부 [[미즈라힘]][* 이쪽은 [[아랍계 미국인]]과 유대계 미국인으로 모두 분류된다.]과 [[페르시아 유대인]] 등도 존재한다. 2015년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내 유대계 인구는 8,000,000~10,000,000 명이라고 한다.[* [[https://www.jewishdatabank.org/content/upload/bjdb/803/World%20Jewish%20Population,%202015%20(DellaPergola)%20from%20The%20American%20Year%20Book1.pdf|#]]] 2021년 기사에 따르면 미국인 성인 중 유대교 신자 인구는 490만여 명이고 이들의 미성년 자녀 인구는 160만여 명이며, 민족적으로는 유대인이지만 유대교를 믿지는 않는 경우는 120만여 명 정도라고 한다.[[https://jewishjournal.org/2021/04/22/new-brandeis-study-estimates-7-6-million-jews-living-in-u-s/|#]] 미국인 중 4.8% 정도(대략 1500만여 명)가 조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유대인이라고 한다. == 설명 == 19세기 말~20세기 초 [[유럽]]의 [[반유대주의]] 때문에 [[중유럽]]과 [[동유럽]]에 살던 많은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했다. 1840년대 1만 5천여 명 정도에 불과했던 유대계 미국인 인구는 1880년대 25만여 명으로 급증하였으며, 1880년대부터 1914년 사이에 아슈케나짐 유대인 2백만여 명이 당시 [[러시아 제국]] 내에서 극심하던 반유대주의를 피해 미국으로 이민하였다.[* 해당 기간동안 미국으로 이주한 유대인은 동유럽 전체 유대인 인구의 '''3분의 1'''에 달했다.] 이들 가운데는 주로 오늘날의 [[러시아]] 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 외에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및 [[폴란드]] 동부, [[리투아니아]] 출신이 많았으나, 반유대주의를 피해서 이민했던 영향으로 이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출신 지역에서 찾기 보다는 종교 정체성에서 찾았다. [[홀로코스트]]가 발생하기 이전 독일, 프랑스 등의 유대인 [[엘리트]] 상당수가 미국으로 탈출하였으며 1970년대 소련에서 유대인의 이주를 허용하고 90년대 [[소련 해체|소련 붕괴]] 이후 구 [[공산권]]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많은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 소련에서 미국이나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그러나 소련을 제외한 유럽 공산권 국가들은 [[홀로코스트]] 때문에 유대인이 극소수만 남아있던 상태라 1970년대 이후 미국이나 이스라엘로 이주한 유대인들은 대다수가 소련 유대인들이다. 공산권 붕괴 이전에는 공산권 국가들은 자국민의 이주를 쉽게 허가하지 않았지만 1970년대 말에도 소련은 일부 유대인들의 이주를 허가해 상당수의 소련 유대인들이 1970년대 말에 미국이나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구글]] 공동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은 1979년 미국으로 이주했고 유대인인 [[레프 트로츠키]]의 손녀는 [[스탈린]] 시대에 살아남아 1979년 미국으로 이주했다가 미국에서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이스라엘]] 유대인들이 모국어이자 일상 생활 용어로 히브리어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미국 유대인들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히브리어]], [[이디시어]] 등은 종교적인 행사 등에서만 사용한다. 하지만, 일부는 여전히 [[이디시어]]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유대계 미국인 대다수는 자신을 [[미국 백인]]의 일원으로 생각한다.[* 사실 미국 인구 통계에서 미국 백인 집단에 [[아랍계 미국인]], [[이란계 미국인]] 등 서아시아인들도 포함된다. 미국 유대인의 소수 집단으로는 [[흑인]] 유대인, [[히스패닉]] 유대인도 있다.] 유대계 미국인들은 [[미국 민주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대단히 강하다. 미국 유대인의 70~80%가 민주당을 지지하며, 공화당 지지율은 20~30%에 불과하다.[[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30404/118677830/1|#]] 이는 미국 백인들의 평균과 매우 이질적이며, 흑인을 제외한 어지간한 소수 인종을 능가한다. 미국 유대인은 히스패닉과 [[아시아계 미국인|아시아계]]보다 높은 민주당 지지율을 보이고 있으며, 공화당 지지율이 높은 정통파를 제외하면 공화당 지지율이 15%도 되지 않아 [[미국 흑인|흑인]]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유대인들이 종교적 신념이 강하고, 부유한 편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 모순되는 현상이다. 미국 유대인은 좌파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으며, 실제로 20세기 미국에서 [[공산주의]] 운동을 주도하거나 참여한 사람들 중 유대인이 많았다. 비단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과 러시아에서 공산주의, 사회주의 지도자 중에서 유대인이 많았다. 물론 [[종교의 자유]] 때문에 정통파 유대인들은 공화당 지지 성향이 강하다. 또 부유한 유대인들도 경제적 자유주의를 추구하는 공화당을 지지하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미국으로 이주한 유대인들의 자손들은 민주당 지지 성향이 압도적으로 강하지만, 1970년대 이후 동유럽에서 이주한 이민 1세대 유대계 미국인들은 공화당 지지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소련]] 등 동구권 공산국가들의 [[국가 무신론]] 때문에 [[동구권]]의 유대교가 탄압을 받은 역사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미국 유대인의 대다수는 2~4세대 유대인들이다. 유대인 2~4세대들은 종교적 신념이 희박해져가고 있다. 게다가 미국의 유대인 2~3세들은 유대교 율법에 따른 삶과 학벌을 엄청나게 강조하는 부모 세대에게 반항심을 가진 경우도 많다. 또 유대인들이 평균적으로 소득 수준이 높은 편이라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평균이 그렇다는 것이지, 유대인 중에서도 부자는 매우 소수에 불과하며, 대다수의 유대인들은 평범한 중산층이며, 빈곤층도 존재한다. 물론 부자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유대인이 많은 편이며, 유대인들의 명문대 진학율도 높은 편이다. 뉴욕, 보스턴의 유대인 커뮤니티에서는 명문 보딩 스쿨을 거쳐 유대인 명사들의 추천서를 받고 아이비리그에 들어간 후, 사적채용을 통해 월스트리트[* 월스트리트는 공채가 없고 내부 직원에 의한 추천, 스카웃을 통한 채용이 일반적이다. 특히 경력이 없는 신입 채용의 경우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내부 직원에 의한 추천 채용으로 뽑는 경우가 많다.]에 진출하여 그들의 인맥을 활용하여 부를 쌓는 루트가 확실히 잡혀 있다. 유대인 커뮤니티에서 성공한 사람이 많이 나오지만 이들은 전체 유대인 중에서 상당한 엘리트이며 소수이다. 다수의 평범한 유대인들은 오히려 일반 미국인들이 잘 느끼지 못하는 열등감과 소외 의식 [* 백인 사회에 속해 있으면서도 은연중에 배제당한다는 기분을 느낀다는 얘기가 많다. 유대계 뿐만이 아니라 백인계 미국인 중에서도 [[WASP]]에 속하지 않는 동유럽, 아일랜드, 프랑스를 제외한 남유럽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의식이다.], 특히 월스트리트의 엄청난 부와 이를 가능케 하는 자본주의와 자유시장경제에 대해 반감을 가지기 쉽다. == 영향력 == '''미국의 비WASP류중 가장 막강한 영항력을 지닌 민족이다.''' 아무리 유대인이 강력한 영향력을 갖는다해도 [[WASP(미국)|WASP]]로 대표되는 주류층을 넘을 순 없다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WASP의 경우 워낙 규모가 크기에 주류를 아우르는 느슨한 개념으로 묶여있지 강한 민족의식에 묶여있지는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대계가 민족 집단으로는 유독 강한 영향력을 갖는 것은 확실하다. 미국 유대인들은 '''[[규모의 경제]]''' 즉 미국의 경제 규모가 만들어낸 거대한 수요를 바탕으로 현대 세계 문화 산업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유대계 미국인 공공정책협회인 AIPAC 행사는 [[부통령]]을 비롯해 [[상원]]의장, [[하원]]의장을 비롯해 다수의 상,하원 의원들이 참여할 정도며 이로 인해 미국은 매년 이스라엘에 막대한 원조를 해 주고 있다. 유대계가 꽉 잡고 있는 분야가 금융, 정치 쪽 외에 [[미국 영화|미국 영화계]], [[할리우드]]이다. 영화사 중 많은 곳이 유대계가 설립한 곳이며, 감독, 배우, 제작자도 많기에 영향력이 막강하다. 이를테면 [[팀 로빈스]]나 [[멜 깁슨]] 같은 반 유대 성향 연기자는 헐리우드에서 발붙이기가 힘들었고, 시오니스트로 보이는 [[갤 가돗]] 같은 경우는 논란 후에도 멀쩡히 영화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정권이 트럼프와 친하게 지내며 우경화하자 리버럴 성향이 강한 헐리우드의 유대인들이 [[시오니즘]]과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젊은 시절 [[이스라엘군]] 지지 활동을 하기도 했던 [[나탈리 포트만]]은 네타냐후를 비판하며 유대인 시상식에 불참하기도 했고 [[갤 가돗]]도 이스라엘은 유대인만의 나라가 아니라며 시오니즘과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이들의 영향력 때문에 미국이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끊지 못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한데 이스라엘이 대형사고를 치면 예전보다는 못하지만 [[미국/정치|미국 정치권]]에 어마어마한 [[로비]]자금을 뿌리며 이스라엘의 대형사고를 수습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반유대주의가 꺾이고 차별이 시정된 시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였다. 미국이 [[2차 대전]]에서 [[나치 독일]]을 격파하고 승리하는 과정에서 [[홀로코스트]]를 시행하는 야만스런 나치로부터 유대인들을 구원했다는, “정의로운 [[강대국]] 미국”이라는 [[애국주의]]적 사관이 보급되면서, 반유대주의는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2차 대전 승전 이전의 미국에서는 유대인 학생의 [[명문대]] 입학을 [[입학사정관제]] 비슷한 방식으로 걸러내는 식의 차별을 가하곤 했다. === 오해: 유대계 미국인들은 거의 다 성공한 상류층이다? === [[유대인/편견 및 음모론]] 문서 참고. 당연히 사실이 아니다. 미국 유대인이 800만 명이나 되는데 아무리 미국이 [[초강대국|세계 최대 경제대국]]이라고 해도 미국에 성공한 유대계 부자가 그렇게 많을 수는 없다. 초창기 이민층 가운데는 폭력적이고 가난한 사람들도 많아 [[유대인 마피아]]들도 많았다. 물론 상당수의 유대인들이 성공해 미국의 상류층이 된 것은 사실이다. 미국 인구내 유대인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서, 각종 요직이나 산업의 중심에서 유대인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누구나 알 수 있을 정도로 높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57001|#]] 그러나 유대인 내에서도 성공은 소수의 몫이며 저소득층 저학력 유대인은 더 많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동유럽에서 이주한 이민 1세대~1.5세대 유대인들 중 크게 성공한 유대인은 [[세르게이 브린]]이 유일하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극소수이고 다수가 빈곤층으로 살고 있다. 정통파 유대인들도 다수가 빈곤층으로 살고 있다. 유대인이 많은 도시인 뉴욕에는 상류층 유대인만 많은 것이 아니다. 저소득층 유대인은 더 많다. 그리고 최근에는 미국에서 고학력의 대명사는 유대인이 아닌 아시아인이 되었다. 1970년대 이후 동유럽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 1세대 유대인 중 크게 성공한 유대인은 거의 없어도 학력으로 전문직이나 교수가 되고 자녀들을 명문대에 보내 뉴욕 등 대도시에서 중산층에 성공적으로 정착한 유대인은 많다. 그러나 학력만으로 중산층에 진입하는 능력으로 미국에서 가장 인정받는 소수민족은 이제 유대인이 아닌 [[아시아계 미국인]]이다. 과거에는 미국 명문대의 유대인 학생 비율이 매우 높았던 것은 사실이다. 1925년 하버드의 유대인 학생 비율은 25%였고 90년대까지 높은 비율을 유지했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아시아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졌고 유대인 학생의 비율은 크게 감소했다. 2010년대 하버드의 유대인 학생 비율은 13%이다. 그리고 이마저도 [[어퍼머티브 액션]](AA)의 수혜를 받은 비율로, AA가 없는 [[Caltech]]은 하버드의 절반도 안된다. == 여담 == * '''[[입학사정관제]]가 '현대판 [[음서]]''''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원래 입학사정관제 자체가 미국에서 [[반유대주의]]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도이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똑똑하지만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학생들을 합법적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거기에다 떨어뜨려도 불공정하다는 증거를 남기지 않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기 때문이다.[[http://250.browndailyherald.com/how-1920s-anti-semitism-inspired-the-modern-day-admission-system/|#]] [[https://www.thecrimson.com/article/2018/9/19/admissions-lawsuit-discrimination/|##]] [[1920년대]]까지 성적순으로만 받던 미국 대학들이 이 제도를 도입한 이유가 20세기 초 당시 [[폴란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리투아니아]]를 비롯한 [[동유럽]]에서 이민 온 [[유대인]]들이 우수한 성적으로 대거 입학하게 되자[* 그 이유에 대해서는 [[보너스 군대#s-10|이 항목을]] 읽어보면 알 수 있다.] [[WASP(미국)|W.A.S.P.]]들의 합격률이 급감하고, 이들을 받아들이지 않을 꼼수를 궁리하다 만든 것이다.[[https://www.thecrimson.com/article/2018/6/21/holistic-admissions-origin/|#]] * 동유럽 유대인 이민자 대부분 가난하기에 졸업 후 사회에 나간다 한 들 모교에 기부금 따윌 낼 리가 없고 오히려 학생때 그 특유의 향학열을 불태우며 우수한 성적으로 장학금을 독차지하니 대학들은 아무리 이들을 키워서 졸업시켜봐야 학교에 기여하는 것이 이후에도 전혀 없다. 학문의 전당인 대학교가 무슨 기부금이냐라고 생각하는 한국인들이 있을텐데, 대학교도 땅파서 돈버는 거 아니다. 한국의 대학들도 수시 원서비를 노리고 파격적인 수시 전형으로 최대한 원서비 수익을 많이 뽑아내려는 연구를 진행하는 편이다. 한국은 대학교의 사립비중이 80%지만 [[사립대학교]]가 교육부로부터 재정지원금을 받기 때문에 최소한 [[교육부]]의 통제선상에 있다. 하지만, 미국은 말그대로 사립대학교는 알아서 먹고 살아야 한다. 그래서 돈이 되는 신입생과 졸업생이 필요하다. 때문에 성적, 학문적 기여가 떨어지더라도 학교에 기부금을 많이 낼 수 있는 W.A.S.P. 상류층 자녀를 입학시키기 위해 성적외 리더십이나 봉사활동 같은 기준을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 중론. 리더십이야 럭비 열심히 하면 점수를 높게 주는 방식으로 책정하니 W.A.S.P.들에게 유리한 게 당연지사였다. 이러한 노골적인 차별이 사라지는 계기는 상술한 대로 2차대전 이후 홀로코스트를 목격한 미국인들이 [[반유대주의]]에 대한 자성을 하고 미국 유대인들도 더 이상 당할 수 없다며 적극적으로 로비를 하면서부터이다. 다만 제도 자체의 프레임은 남아있어서 오늘날에는 해당 정책이 주로 [[중국계 미국인]], [[인도계 미국인]] 입학생들을 차별하는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입학사정관제]]의 반유대주의적 기원이 알려지면서 여기에 대한 비판이 일었는데, [[박근혜 정권]] 시절 눈 가리고 아웅 식으로 이름만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바꾸었다. 학생부종합전형 선발 인원을 대거 늘린 것은 덤...] * 그러나 현재는 미국 유대인도 [[어퍼머티브 액션]](AA)의 수혜를 받고 있으며, 역량이 떨어졌다는 방증(과거에 비해 한참 낮은 각종 경시대회 수상 비율[* [[https://theamericanconservative.com/wp-content/uploads/2012/11/f1-large.jpg|#]][[https://theamericanconservative.com/wp-content/uploads/2012/11/f2a-large.jpg|#]]])이 보임에도 AA가 있는 대학들에서 입학 비율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 AA가 없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입학 비율과 비교해보면 수혜를 받고 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 인물 == * [[J.J. 에이브람스]] * [[Lil Dicky]] * [[MJF]] * 개브리엘 기퍼즈: 전 [[민주당(미국)|민주당]] 의원이자 [[애리조나 총기난사 사건]]의 피해자. 랍비 집안이던 친할아버지가 [[홀로코스트]]를 피해서 미국으로 이민 왔다. 당시 성은 혼스틴(Hornstein)이었으나 유대인들을 향한 차가운 시선을 우려해 성을 기퍼즈(Giffords)로 바꿨다. * [[귀네스 팰트로]] * [[나탈리 포트만]][* [[예루살렘]]에서 태어나서인지 [[이스라엘]] 국적도 보유 중이다. 조부모님이 [[아우슈비츠]] 수용소 희생자기도 하다. 이 때문에 [[홀로코스트]] 영화는 별로 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 [[노아 슈냅]] * [[닐 드럭만]] * [[다니엘 스턴]] * [[대런 애러노프스키]] * [[댄 헤다야]]: 미국의 배우. 시리아 출신 [[세파르딤]] 유대인 혈통이다. * [[더그 라이먼]] * [[더스틴 호프먼]] * [[데이비드 브라이언]]: [[본 조비]]의 키보디스트. * [[데이비드 슈위머]] * [[Doja Cat|도자 캣]]: 엄마가 유대계 미국인이고 아빠가 아프리카계 미국인. * [[돈 시겔]] * [[Drake|드레이크]]: 아버지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고 어머니가 유대계 캐나다인이래서 자연스레 미국 유대인이다. 캐나다, 미국 복수국적자이다. * [[드류 굴락]] * [[래리 페이지]]: 구글 창업자 * [[랠프 박시]] * [[레너드 번스타인]] * 레베카 밀러: [[아서 밀러]]의 딸. 영화감독 겸 영화배우. * 로빈 안틴: [[푸시캣돌스]]를 키운 사람이다. * [[로건 레먼]]: 정확히는 독일,폴란드,스위스,러시아 출신 유대계 미국인이다.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그의 아버지가 1/2의 리투아니아 출신 유대인과 1/4의 헝가리 출신 유대인과 아일랜드 혈통을 가진 혼혈 미국인이다. * [[로버트 스탁]] * [[로버트 오펜하이머]] * [[론 리프킨]] * [[롭 버든]]: [[린킨 파크]]의 드러머. * [[루벤 플레셔]]: 《[[좀비랜드]]》와 《[[베놈(영화)|베놈]]》 연출했던 영화감독. 아버지가 오스트리아 출신 유대인이고 어머니는 유대인이 아니지만 유대교를 개종했다고 한다. 자신도 유대교를 믿고 있다. * [[리 언크리치]] * [[리버 피닉스]]: [[호아킨 피닉스]]의 형. 그의 외조부모가 유대계 미국인인데, 그의 외할아버지가 러시아 출신 유대계 미국인이고, 그의 외할머니가 헝가리 출신 유대계 미국인이다. * [[리브 슈라이버]]: 그의 외조부모가 우크라이나-러시아 출신 유대계 이민자이다. * [[리처드 파인만]] * [[린다 매카트니]] * [[마이클 더글라스]] * [[마이클 만]]: 어머니가 유대계 미국인이다. * [[마이클 볼턴]]: 원래 성은 볼로틴. * [[마이클 블룸버그]]: 러시아계 유대인. * 마이클 새비지(본명은 마이클 A. 웨이너): 라디오 호스트, [[권위주의]]적 보수[* [[RationalWiki]]에 따르면 [[고보수주의]]로 분류되기도 함.] 논객.[* 그의 저서중에 진보는 정신병이다(Liberalism is a Mental Disorder)라는 제목의 책이 있다.] * [[마이클 펜]]: [[숀 펜]]의 형. 대중음악가. *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 [[매기 질렌할]]과 [[제이크 질렌할]] 남매 * [[맥 밀러]] * [[맥스 프리드]] * [[플라이셔 스튜디오|맥스 플라이셔 & 데이브 플라이셔]] * [[멜 블랭크]] * [[멜 브룩스]] * 모셰 사프디: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을 설계한 건축가이다. * [[밀라 쿠니스]]: [[소련]]의 일부였던 [[우크라이나]] 태생으로 7살에 미국으로 이주함.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밥 딜런]] * [[버나드 메이도프]]: 역대 최대 규모의 [[폰지사기]]를 주도한 전직 금융인으로 특히, 많은 수의 같은 유대계 사람들이 사기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버니 샌더스]]: 아버지는 폴란드계 유대인이고 어머니는 유대계 미국인이다. * [[벤 버냉키]] * [[벤 스틸러]]: 동년배 친구인 애덤 샌들러처럼 영화 내에서 유대인 역을 잘 한다. * [[벤 샤피로]]: 가계가 러시아계 유대인.[[https://en.wikipedia.org/wiki/Ben_Shapiro#Early_life|#]] * [[벤 조브리스트]] * 벤 코헨: [[벤앤제리스]] 창업주 * [[브라이언 싱어]] * [[브래드 델슨]]: [[린킨 파크]]의 기타리스트. * [[브루노 마스]]: 할머니가 유대인. * [[사샤 코헨]]: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은메달리스트이며, 어머니가 [[우크라이나]] [[오데사]] 출신 유대인 이민자다. * [[사프디 형제]]: 부모가 유대계. 다만 아버지는 시리아 유대인이고 어머니는 러시아 유대인이다. * [[샤이아 라보프]]: 어머니가 유대인. * [[숀 펜]]: 할아버지가 리투아니아 출신 유대인이고 할머니가 러시아 출신 유대인이다. * [[숀 그린]] * [[숀 애스틴]]: 그의 친아버지인 '마이클 홀'이 오스트리아-폴란드 출신 유대계 미국인이다. * [[샌디 쿠팩스]] * [[샘 레이미]]: [[테드 레이미]]의 형. 영화감독. * [[세르게이 브린]]: 러시아계 유대인. * [[스칼렛 요한슨]]: 어머니가 유대인. * [[스티븐 므누신]] * [[스티브 블룸]] * [[스티븐 스필버그]]: 오스트리아-우크라이나계 유대인 영화감독. * [[스티븐 와인버그]] * [[스티븐 울프럼]] * [[시드니 루멧]]: 폴란드 출신 유대계 미국인 영화감독. * [[시드니 폴락]]: 러시아 출신 유대계 미국인 영화감독 겸 영화배우. * [[아리 니이먼]]: 미국의 [[자폐 권리 운동|자폐인 인권운동가]]. 부모가 모두 유대인이며 한쪽은 아예 이스라엘 국적이다. * [[아서 밀러]]: '레베카 밀러'의 아버지. 시나리오작가 겸 소설가 겸 영화프로듀서. * [[아이작 아시모프]] * [[아인 랜드]] * 아키바 셰이퍼: 밑의 앤디 샘버그처럼 [[론리 아일랜드]]의 멤버이자 프로듀서. * [[아트 가펑클]] * [[아트 슈피겔만]]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원래는 유대계 독일인이었으나 1933년 [[나치당]]이 집권하자 미국으로 망명했다. * [[알리시아 실버스톤]]: 아버지는 유대인이면서 [[스코틀랜드]]계 이민자 출신. * 앨 프랭컨: [[코미디언]] 출신 정치인 * [[애덤 리바인]]: 외할머니를 제외한 조부모님 모두가 유대계이다. * [[애덤 샌들러]]: 작품 내에서 유대인 역할이 많다. * [[앤드루 데이비스]]: 영화감독이면서, 그의 아버지가 루마니아 출신 유대인을 두기도 하였다. * [[앤드류 가필드]] * [[앤디 샘버그]] * [[앨런 그린스펀]] * [[앨런 멩컨]] * [[에밀리 라타이코프스키]] * [[에이드리언 브로디]] * [[에즈라 밀러]]: 아버지가 유대인이다. * [[에즈라 와이즈]] * [[엘리 웰라치]] * [[엘리엇 굴드]] * [[오토 웜비어]] * [[올리버 스톤]]: 아버지가 유대인이다. * [[올리버쌤]]: [[https://youtu.be/HSPztlRAlv4|영상 1:34 참고]]. 참고로 독일계 혈통도 섞여있다. * [[우디 앨런]] * [[유리 로웬탈]] * 이사 찬드라 모스코위츠: 미국의 [[채식주의#s-2.2|비건]] 요리사. * [[일라이 로스]] * [[윌리엄 프리드킨]] * [[재러드 쿠슈너]] * [[잭 블랙]]: 어머니가 유대인이다. * 제네시스 산체즈: [[XXXTENTACION]]의 애인이자 그의 [[유복자]]의 어머니. * [[제니퍼 제이슨 리]] * [[제이다 핀켓 스미스]], [[제이든|제이든 스미스]], [[윌로 스미스]]: [[제이다 핀켓 스미스]] 문서 참조. 제이다의 할머니가 포르투갈 출신 세파라딤 유대인이었다. * [[제이미 리 커티스]]: [[토니 커티스]]의 딸. * [[제이슨 블룸]] * [[재닛 옐런]] * 제리 그린필드: [[벤앤제리스]] 창업주 * [[제리 사인펠드]]: 아버지는 헝가리계 유대인이었고, 모계는 시리아계 유대인이었다. * 제시카 수타: [[푸시캣돌스]]의 전 멤버. * 제이미 린 시글러[* [[론리 아일랜드]]의 데뷔곡 Jizz in my pants 뮤비에서 요르마 타코니의 상대 여성이다.] * [[제프 골드블룸]] * [[제임스 그레이]] * [[제임스 칸]] * [[조엘 슈마허]]: 스위스-스웨덴계 유대인 영화감독. * [[존 번설]] * [[존 스튜어트]] * [[존 엘칸]] * [[존 폰 노이만]] * [[존 프랭컨하이머]]: 아버지가 독일 출신 유대계 미국인이다. *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 [[찰리 푸스]] * [[척 슈머]] * 카밋 버처: [[푸시캣돌스]]의 전 멤버. * [[커크 더글러스]]: 러시아계 유대인. * [[켈렌 고프]] * [[코엔 형제]] * [[크리스 펜]]: [[숀 펜]]의 동생. 영화배우. * [[키스 실버스틴]] * [[타라 스트롱]] * [[테드 레이미]]: [[샘 레이미]]의 동생. 영화배우. * [[토니 블링컨]]: 미국 제71대 [[국무장관]]. * [[토니 커티스]]: [[제이미 리 커티스]]의 아버지. 영화배우 * [[토드 헤인즈]]: 어머니가 유대계 미국인. * [[티모시 샬라메]]: 어머니가 유대인. * [[팀 블레이크 넬슨]] * [[페기 립튼]] * [[폴 뉴먼]] * [[폴 골드슈미트]] * [[폴 러드]] * [[폴 사이먼]] * [[폴 헤이먼]]: 어머니가 무려 홀로코스트 생존자였다. * [[폴라 압둘]]: 부모 둘 다 유대계인데 아버지는 [[시리아]] [[세파르딤]], 어머니는 [[우크라이나]] [[아슈케나짐]] * [[피비 케이츠]] * [[피터 쇼어]] * [[하비 와인스틴]] * [[하임]]: 이 자매들의 아버지가 이스라엘 태생. * [[해럴드 블룸]] * [[해리슨 포드]]: 어머니가 유대인으로 평상시에는 항상 [[아일란드계 미국인|아일랜드계]]라고 느끼다가도 배우 일을 할 때는 유대계로 느껴진다고. * [[행크 그린버그]] * [[헤일리 스타인펠드]]: 아버지가 유대인. * [[헨리 키신저]] * [[호아킨 피닉스]]: [[리버 피닉스]]의 동생. 그의 외조부모가 유대계 미국인인데, 그의 외할아버지는 러시아 출신 유대계 미국인이고, 그의 외할머니는 헝가리 출신 유대계 미국인이다. * 힐렐 슬로박: [[Red Hot Chili Peppers]]의 초창기 멤버. * 리바이 스트라우스: [[리바이스]] 창업자. * [[람 이매뉴얼]] * 아리 임마누엘: [[람 이매뉴얼]]의 동생이고 [[UFC]] 지분 소유자. * [[마크 로즈워터]] * [[하워드 슐츠]] == 관련 문서 == * [[유대인]] * [[유대교]] * [[미국인]] * [[미국 백인]] * [[아슈케나짐]] * [[벨라루스계 미국인]]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분류:유대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