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풋살))]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10%, #df0b10 10%, #df0b10 20%, #ffffff 20%, #ffffff 30%, #df0b10 30%, #df0b10 40%, #ffffff 40%, #ffffff 50%, #df0b10 50%, #df0b10 60%, #ffffff 60%, #ffffff 70%, #df0b10 70%, #df0b10 80%, #ffffff 80%, #ffffff 90%, #df0b10 90%)" [[파일: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150]]}}} || ||<-2> {{{#df0b10 '''미합중국 풋살 국가대표팀''' }}} || ||<-2> '''{{{#ffffff United States national futsal team}}}''' || || '''정식명칭''' || United States national futsal team[* 영어: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내셔널 풋살 팀] || || '''[[FIFA 코드]]''' || USA || || '''협회''' || [[미국축구협회]] (USSF) ||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 '''지역연맹''' || 북아메리카 축구 연맹 (NAFU) || || '''감독''' || 두산 자키카 (Dusan Jakica) ||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네덜란드 풋살 국가대표팀|네덜란드]] (4:1 패), [[헝가리]] [[부다페스트]] (1986년 11월 18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케나다 풋살 국가대표팀|케나다]] (14:0 승), [[미국]] 볼티모어 (2002년 3월 20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슬로베니아 풋살 국가대표팀|슬로베니아]] (14:0 패), [[슬로베니아]] 코페르 (2016년 1월 27일) || || '''[[FIFA 풋살 월드컵|월드컵]]''' || 출전 5회 , 준우승 1회 || || '''[[CONCACAF 풋살 챔피언십|CONCACAF]]''' || 출전 5회 , 우승 2회 || || '''[[AMF 풋살 월드컵|AMF]]''' || 출전 4회 || || '''[[그랑프리 데 풋살|그랑프리]]''' || 출전 1회 || [목차] == 개요 == [[미국]]의 풋살 국가대표팀. 1989년에 월드컵에 출전하자마자 3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 1992년 홍콩 월드컵에서도 2위를 기록했을 정도로 20세기 후반에 좋은 성적을 지속해서 냈지만 21세기 들어 조별리그 통과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풋살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는 딱 1번 1999년에 경기를 한 적이 있는데 4 - 0으로 미국이 승리하며 전적 1승으로 우세하고 북중미카리브와 남미를 통틀어서 대한민국이 아메리카 대륙과 유일하게 경기한 팀이 미국이다. == 역대 전적 == === [[FIFA 풋살 월드컵]]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1989년 || 3위 || 3위 || 18점 || 8 || 6 || 1 || 1 || 24 || 11 ||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1992년 || 준우승 || 2위 || 12점 || 8 || 4 || 2 || 2 || 34 || 23 ||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1996년 || 조별예선 || 10위 || 3점 || 3 || 1 || 0 || 2 || 12 || 7 ||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2000년 ||<-9> 예선 탈락 || || [[대만|[[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2004년 || 조별예선 || 7위 || 4점 || 6 || 1 || 1 || 4 || 14 || 20 ||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2008년 || 조별예선 || 18위 || 0점 || 4 || 0 || 0 || 4 || 5 || 24 || ||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2012년 ||<-9> 예선 탈락 || ||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2016년 ||<-9> 예선 탈락 || || [[리투아니아|[[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30]]]] 2021년 ||<-9> 결정 || 20세기 후반에 개최되었던 첫번째 월드컵과 두번째 월드컵에서는 3위와 준우승을 기록하며 초반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21세기가 되면서 20세기에 준하는 성적을 한번도 보여주지 못했고 매번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게 일상이 되었다.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던 1992년 홍콩 월드컵에서의 조편성은 [[스페인 풋살 국가대표팀|스페인]] , [[러시아 풋살 국가대표팀|러시아]] , [[중국 풋살 국가대표팀|중국]]으로 결정되었으며 1라운드 조별예선 D조에서 경쟁했다. 첫번째 경기인 러시아전에서 8 - 3으로 승리를 거뒀으나 2차전인 스페인전에서 5 - 3으로 패했다. 그러나 중국에 7 - 1로 승리하며 토너먼트 티켓을 따냈고 4강에서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이란]]을 4 - 2로 제압하면서 결승에 올라갔다. 결승전에서 [[브라질 풋살 국가대표팀|브라질]]에게 4 - 1로 패하면서 우승이 좌절되었으나 현재까지 최고 성적으로 남아 있다. 2021년 리투아니아 월드컵에서는 아르헨티나,세르비아,이란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으나 3전 전패로 탈락하였다.최종 순위는 약체 솔로몬 제도보다 더 아래인 2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 CONCACAF 풋살 챔피언십 및 기타 대회 === || 년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1996 || 우승 || 1위 || 9점 || 4 || 3 || 0 || 1 || 21 || 12 || ||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30]]]] 2000 || 3위 || 3위 || 12점 || 5 || 4 || 0 || 1 || 22 || 10 || ||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30]]]] 2004 || 우승 || 1위 || 11점 || 5 || 3 || 2 || 0 || 15 || 3 ||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2008 || 3위 || 3위 || 10점 || 5 || 3 || 1 || 1 || 19 || 11 ||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2012 || 조별예선 || 6위 || 3점 || 3 || 1 || 0 || 2 || 6 || 9 || ||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30]]]] 2016 ||<-9> 예선 탈락 ||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30]]]] 2020 ||<-9> 참가 || 원래 CONCACAF에서도 1996년에 우승을 거둔 이후 3위와 우승을 거두며 북중미를 잡고있다싶이 했으나 2012년을 기점으로 성적이 계속해서 안좋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거기다가 2016년 코스타리카 대회에서는 아예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본선조차도 못올라갔다. 이 외에도 그랑프리 대회와 풋살 문디아리토에 참여하였고 팬 아메리칸게임에도 참가했으나 풋살 문디아리토에서 3위를 기록한것 외에는 유의미한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분류:북아메리카의 풋살 국가대표팀]][[분류:미국의 스포츠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