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브라질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fff '''미국'''}}}]][br]''{{{#fff United States of America}}}''[br]''{{{#fff Estados Unidos da América}}}'' || [[브라질|{{{#ffdf00 '''브라질'''}}}]][br]''{{{#ffdf00 Brasil}}}''[br]''{{{#ffdf00 Brazil}}}''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과 [[브라질]]의 관계.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미국의 남부 지역에는 브라질계 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그리고 브라질에도 [[17세기]]~[[19세기]] 쯤에 브라질로 건너간 미국인들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이전 === 미국은 1822년 브라질의 독립을 최초로 인정한 나라이고, 브라질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과 함께 싸우기 위해 군대를 파견한 유일한 남미 국가였다. 두 나라는 역사적으로는 직접적으로 대립한 적이 없다. 다만 냉전시절에 미국은 [[브라질 군사정권]]을 지원했던적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2000년대 중반에 남미의 좌파정권이 유행했을 당시 미국하고 거리를 두는 모습도 보였다.] === [[21세기]] === 브라질인들이 멕시코를 통해 미국으로 밀입국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미국 정부는 멕시코측에 압박하면서 멕시코 정부에서 브라질인들에 대해 관광비자 요건을 재검토하고 시행하자 줄어들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3&aid=0007788544|#]] 2019년 브라질 대선에서 친미적인 [[자이르 보우소나루]] 당선으로 다소 멀어졌던 두나라 사이의 외교관계가 급속 개선되었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당선 이후 친미 외교로 기울고 있으며 '''주 이스라엘 브라질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겠다고도 선언하여서 사실상 이스라엘의 수도가 예루살렘이라고 인정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보우소나루 취임식 참석을 고려하기도 했다. 이후 미국과는 군사동맹까지 가서 [[2018년]] 11월 2일에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은 브라질, 콜롬비아와 군사, 경제동맹 가능성을 시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0444352|#]] 그리고 보우소나루 대통령은 미국을 공식적으로 방문했고 경제 및 군사부분 협력도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3&aid=0009118661|#]] 하지만 미국 측이 우호적인 양국관계에도 계속 [[브라질인]]들에 대해서 [[비자]]를 요구하고 있어서 브라질 측도 미국인에 대해서 비자를 요구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브라질은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에 대해 무비자를 허용하는 것으로 정책을 바꿨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3&aid=0009121452|#]] 브라질과 미국 상호관계가 나아지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을 非나토 동맹국 지정 의사를 재확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0816086|#]] 동시에 브라질의 파울루 게지스 경제장관은 미국과의 FTA 체결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3&aid=0009379670|#]] 그리고 더 나아가 미국측은 브라질이 [[OECD]]에 가입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9656424|#]] 이렇게 양측 관계는 보우소나루 이후 동맹 수준으로 오르고 있다. [[2017년]]이후 3년만에 브라질산 [[쇠고기]]가 미국으로 수출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1420116|#]] 그간 브라질은 [[구제역]] 위험으로 쇠고기 수출입이 제한된 나라였다. ==== [[2020년대]] ==== [[2020년]] 3월 6일에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1년만에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베네수엘라의 정치 상황과 브라질 인프라 사업에 대한 미국 기업의 투자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눌 것으로 알려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1455301|#]] 그러나 하필 이 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판데믹이 벌어져 방미 이후 수행원단 일부가 코로나19에 감염되기도 했다. 이후에는 알다시피 미국과 브라질 양측에 사이좋게 대대적 유행이 벌어져 세계적으로도 코로나19 고위험국가로 사이좋게 전락했다(...) 보우소나루와 트럼프 둘 다 [[음모론]]을 신봉하는 반지성주의자라는 점에서 똑같아서 전문가 의견을 무시하고[* 트럼프는 [[앤서니 파우치]]를 비관론자라며 깠으며 파우치를 해고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보우소나루는 대놓고 보건부 장관을 비전문가인 육군 보병 장군으로 바꿨다. 미국은 브라질이 자국 5세대 이동통신(5G) 구축 사업자로 중국 [[화웨이]]를 선정한다면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80408?sid=104|#]]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 정부가 미국산 에탄올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지 않으면 브라질 제품에 대한 관세보복을 하겠다고 경고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808257|#]] 2022년 2월 1일, 미국측은 [[보우소나루]]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자제하라고 촉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421&aid=0005878696|#]] 룰라 대통령의 취임전에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브라질을 떠나 미국으로 간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19853?sid=104|#]] 2023년 1월 8일, 미국 정부가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의 브라질 송환을 검토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73193?sid=104|#]]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망명 수순에 들어가 미국 비자 6개월을 신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43470?sid=104|#]] 2월 10일, 바이든 대통령과 룰라 대통령이 만나 민주주의 수호와 기후위기 연대에 있어서 협력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625349?sid=104|#]] 그리고 바이든 대통령은 브라질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82522?sid=104|#]]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브라질/외교]] * [[미주기구]] * [[미국/역사]] * [[브라질/역사]] * [[미국/경제]] * [[브라질/경제]] * [[미국인]] / [[브라질인]] * [[영어]] / [[포르투갈어]] * [[미국 요리]] / [[브라질 요리]]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남아메리카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브라질/외교, version=76, paragraph=2.1)] [[분류:미국-브라질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