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에콰도르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fff '''미국'''}}}]][br]''{{{#fff United States of America}}}''[br]''{{{#fff Estados Unidos de América}}}'' || [[에콰도르|{{{#0038a9 '''에콰도르'''}}}]][br]''{{{#0038a9 Ecuador}}}''[br]''{{{#0038a9 Ecuador}}}''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과 [[에콰도르]]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미주기구]] 회원국이지만, 일부 갈등이 존재한다. 미국과 에콰도르는 19세기부터 외교관계를 맺었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 2000년대 ==== 2006년 5월 15일, 에콰도르 정부는 미국의 석유기업 [[옥시덴탈 페트롤리움]]의 자산 동결을 명령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155963?sid=104|#]] 5월 17일, 미국 정부는 에콰도르 정부의 옥시덴탈 자산 동결명령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에콰도르와의 FTA협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156119?sid=104|#]] 2007년 5월 7일, 라파엘 코레아 대통령은 대미 투자보장협정의 갱신을 포기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629629|#]] 2008년, 콜롬비아군의 에콰도르 영토 침범과 관련해 미국 정보기관의 지원이 있었다는 발언이 나오자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1938817?sid=104|#]] 2009년 2월 8일, 라파엘 코레아 대통령이 미국 외교관 추방을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9/0002006467?sid=104|#]] ==== 2010년대 ==== 2011년 2월 14일, 에콰도르 법원은 미국의 정유회사 셰브론에게 벌금 86억 달러를 선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3692162?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2387664?sid=101|#2]] 이에 대해 셰브론사는 반발했다.[[https://www.etoday.co.kr/news/view/407647|#]] 4월 6일, 에콰도르 정부는 미국 대사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추방]]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996474?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2442052?sid=104|#2]] 이에 미국 정부도 에콰도르 대사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추방]]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000773?sid=104|#]] 9월 7일, 양국은 대사 맞추방 조치에 대해 화해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256710?sid=100|#]] 2012년 9월 7일, 에콰도르 정부는 미국과 아르헨티나, 스페인, 콜롬비아 등에서 온 NGO 26곳을 폐쇄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803709?sid=102|#]] 2013년 6월 27일, 미국 정부는 에콰도르 정부에게 스노든의 망명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엄포를 놓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341339?sid=104|#]] 이에 대해 에콰도르 정부는 부인했다.[[https://www.etoday.co.kr/news/view/754392|#]] 8월 13일, 미국 상무부가 아시아 국가들과 에콰도르에서 수입하는 새우에 대해 관세를 부과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0419576?sid=101|#]] 11월 23일, 주한 에콰도르 대사는 셰브론사가 아마존 일대를 오염시키고도 20년째 배상을 거부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600847?sid=104|#]] 2014년 1월 22일, 라파엘 코레아 대통령은 에콰도르 주둔 미군을 철수시키는 조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715767?sid=104|#]] 2015년 9월 8일, 에콰도르 정부는 미국의 지원을 받는 언론감시단체를 해체한다고 통보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848226?sid=104|#]] 2016년 4월 26일, 뉴욕시장이 에콰도르 출신 불법이민자 추방을 일시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026062?sid=104|#]] 2018년 2월 27일, 미국행 비행기에 몰래 탑승하던 2명이 추락해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925260?sid=104|#]] 6월 28일, 에콰도르를 방문한 펜스 부통령은 베네수엘라 고립 정책에 동참을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180306?sid=104|#]] 2019년 2월 13일, 에콰도르 정부는 IMF와 금융지원 공식협의에 돌입하면서 미국 달러의 유통을 자유롭게 하는 [[달러화]]의 제도적 토대를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630927?sid=101|#]] 5월 16일, 에콰도르 정부는 미국 국제개발처의 복귀를 허용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828011?sid=104|#]] ==== 2020년대 ==== 2020년 7월 30일, 중국 어선들이 갈라파고스 제도 연안에 대거 머물러있자 미국은 우려를 나타냈고 에콰도르를 지지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111969?sid=104|#]] == 경제 교류 == 에콰도르는 경제적으로 미국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그리고 에콰도르는 수크레화를 폐기하고 [[미국 달러]]를 공식 화폐로 도입했다.[[http://www.kidd.co.kr/news/189914|#]] 미국 기업들이 에콰도르에 많이 진출했고 석유회사들이 에콰도르에 진출했다. 2019년 이전에는 미국 제품이 에콰도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88620|#]] 2020년 2월, 레닌 모레노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해 양국 사이의 경제 협정이 추진중이다.[[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90&CONTENTS_NO=1&bbsGbn=244&bbsSn=244&pNttSn=185007|#]] == 문화 교류 == 양국간의 문화 교류가 활발하다. 미국에는 에콰도르계 미국인들이 일부 거주하고 있고 [[히스패닉]]의 일부로 살아가고 있다. 미국에 거주하는 에콰도르계 미국인들은 [[스페인어]]를 대부분 사용하며 미국내 에콰도르 출신 스페인어 화자들은 대부분 [[뉴욕]] 등에 거주하고 있다. 미국은 스페인어 교육이 이뤄지고 있어서 언어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2016년 7월 26일, 보스턴 테러로 다리를 잃은 미국인 여성이 에콰도르 고산 등정에 성공해 화제가 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567026?sid=104|#]] === 스포츠 === 2002년 3월 11일, 미국 축구팀이 에콰도르 축구팀과의 친선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0138596|#]] 2007년 3월 26일, 미국 축구팀이 에콰도르 축구팀과의 친선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0055952|#]] 2016년 6월 17일, 미국 축구팀이 에콰도르 축구팀과의 2016 코파아메리카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07296072|#]] 2017년 5월 22일, U20월드컵에서 양팀은 3대3 무승부를 기록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9283677|#]] 2019년 6월 9일, U20월드컵에서 에콰도르 축구팀이 미국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13&aid=0000083535|#]]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양국간의 항공노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국인 관광객들이 에콰도르를 방문하고 있다. == 대사관 == 키토시에 주 에콰도르 미국 대사관, 워싱턴 D.C에 주 미국 에콰도르 대사관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에콰도르/외교]] * [[미주기구]]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남아메리카 국가]] [[분류:미국의 대국관계]][[분류:에콰도르의 대국관계]][[분류:과거의 동맹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