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쿠웨이트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fff '''미국'''}}}]] || [[쿠웨이트|{{{#fff '''쿠웨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과 [[쿠웨이트]] 사이의 대외관계. == 역사적 관계 == [[미국]]과는 영국과 마찬가지로 매우 협력적이다. 그리고 [[걸프 전쟁|쿠웨이트가 1990년대 초에 이라크의 침공을 받아 나라가 없어질 뻔 했을때]], 미국이 쿠웨이트를 도와 말 그대로 나라를 구해준 적이 있었다. === 21세기 === ==== 2000년대 ==== 2000년 2월 20일, [[OPEC]] 국가들이 미국의 증산압력에 반발했으며, 사바 알 아마드 알-사바 쿠웨이트 외무장관은 압력을 받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229140?sid=1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229289?sid=104|#]] 2001년 2월 26일, 쿠웨이트 독립 40주년 행사 때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도 참가할 예정이라고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56640?sid=104|#]] 2003년 1월 21일, 미국인 1명이 쿠웨이트 북부 국경 일대에서 총에 맞아 숨졌으며, 22일에도 또 다른 미국인 2명이 괴한들에게 총을 맞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174930?sid=1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9/0000016639?sid=101|#]] 2003년 2월 3일, 쿠웨이트의 미국인들이 국외 도피를 서두르고 있었으며 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176259?sid=104|#]] 2003년 3월 11일, 쿠웨이트 북부의 미군-영국군 야전병원이 바쁘게 움직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331919?sid=104|#]] ==== 2010년대 ==== 2010년 9월 11일, 미국의 한 목사가 쿠란을 소각하려 하자 바레인과 쿠웨이트 외무부도 이에 대해 비난하고 미국 정부의 적극 개입을 요청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649641?sid=103|#]] 2017년 7월 10일, [[2017년 카타르 단교사태]] 때 미국, 영국, 쿠웨이트는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마크 세드웰 영국 국가안보자문가, 쿠웨이트 국무장관과 합동 성명을 했다.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4710|#]] 2018년에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 전 대통령이 서거하자 애도를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500731|#]] 2019년 12월 31일,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미 대사관 피습에 대응하여 일부 공수사단 및 부대 소속 군인 500명 또는 750명을 쿠웨이트에 배치했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00101_0000876661&cID=10101&pID=10100|#]], [[https://www.mk.co.kr/news/world/9145232|#]] ==== 2020년대 ==== 2020년 12월 13일, 쿠웨이트에서 미국과 독일이 개발한 화이자 코로나 19 백신을 긴급사용하기로 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5070286&ref=A|#]] 2021년 7월 29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쿠웨이트를 방문했다. [[https://www.news1.kr/photos/view/?4899381|#]] 2022년 6월 2일, 주쿠웨이트 미국 대사관 트위터에서 성소수자 지지한다는 글을 올리자 쿠웨이트 정부는 대사관을 불러 항의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603042600009?input=1195m|#]] == 상호 교류 == 2018년 기준으로 쿠웨이트에서 미국산 제품들의 비중이 꽤 있는데 이중 의료기기수입품이 30%였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84545|#]] == 교통 교류 == [[쿠웨이트 항공]]과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이 이어져 있다.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쿠웨이트/외교]] * [[미국/경제]] * [[쿠웨이트/경제]]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쿠웨이트/외교, version=48, paragraph=4.1)] [[분류:미국의 대국관계]][[분류:쿠웨이트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