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투르크메니스탄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fff '''미국'''}}}]] || [[투르크메니스탄|{{{#fff '''투르크메니스탄'''}}}]] || == 개요 == [[미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2001년 1월, 투르크메니스탄은 미국 주도의 카스피 해역 관통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 기대를 한 적 있었으나 러시아의 견제로 가능성이 불투명해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46034?sid=104|#]] 2001년 9월 18일, 투르크메니스탄도 테러를 척결하려는 미국을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아프가니스탄]] 무력 공격에 대해서는 이렇다할 의사를 표명하지 않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100745?sid=104|#]] 2001년 10월, 투르크메니스탄과 [[카자흐스탄]]은 미군이 자국 영공을 지나가는 것을 허용해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105164?sid=104|#]] 2006년 12월 27일, 미국 국무부는 투르크메니스탄이 2007년 2월 대선을 공개적으로 할 것을 주문했으나 옛 소련식으로 대선 후보들을 지명한 것에 대해서는 언급을 삼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508331?sid=104|#]] 2007년 9월,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이 미국 뉴욕을 방문했으며, 미국 기업가들을 만난 자리에서 카스피 해 연안의 관광단지들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언급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775517?sid=104|#]] ==== 2010년대 ==== 2018년부터 미국 정부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인권 문제를 이유로 투르크메니스탄산 면화 제품 수입을 금지했다. [[https://www.apil.or.kr/press-releases/2712607308|#]] ==== 2020년대 ==== 2023년 5월 31일, 미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은 메탄 가스 누출 감소를 하려는 협력을 추진했다. [[https://www.emerics.org:446/newsBriefDetail.es?brdctsNo=347751&mid=a10100000000&systemcode=04|#]] == 대사관, 교통 교류 == [[워싱턴 D.C.]]에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이 있으며, [[아시가바트]]에도 투르크메니스탄 주재 미국 대사관이 있다. 두 나라 사이를 직접 잇는 노선이 없기에 [[이스탄불 공항]]이나 [[두바이 국제공항]]을 경유한다.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투르크메니스탄/외교]] * [[미국인]] / [[투르크멘]]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중앙아시아 국가]] [[분류:미국의 대국관계]][[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