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미니 미뇨소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시카고 화이트삭스 영구결번)]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white 명예의 전당}}}]] {{{#white 헌액자}}}''' || ||<-2> [[파일:Minnie_Minoso_HOF.jpg|width=250]] || ||<-2> '''[[https://baseballhall.org/minoso|미니 미뇨소]]''' || || 헌액 연도 || [[2022년]] || || 헌액 방식 || 베테랑 위원회 추천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57년 메이저 리그 외야수 골드 글러브}}}'''}}} || || 1957년 첫 수상 || → || '''[[미니 미뇨소]][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윌리 메이스]][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뉴욕 자이언츠]])[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1958년부터 양대리그 수상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59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짐 피어셀[br]([[보스턴 레드삭스]])[br]놈 시번[br]([[뉴욕 양키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미니 미뇨소[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재키 젠슨]][br] ([[보스턴 레드삭스]]) || → || [[로저 매리스]][br]([[뉴욕 양키스]])[br]미니 미뇨소[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짐 랜디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196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미니 미뇨소[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br][[재키 젠슨]][br] ([[보스턴 레드삭스]]) || → || [[로저 매리스]][br]([[뉴욕 양키스]])[br]'''미니 미뇨소[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짐 랜디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짐 피어셀[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br]짐 랜디스[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알 칼라인]][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NNIE-MINOSO.png|width=100%]]}}} || ||<-2> '''{{{#ccac00 시카고 화이트삭스 No. 9}}}''' || ||<-2> '''{{{#000000 {{{+2 오레스테스 "미니" 미뇨소}}}[br]Orestes "Minnie" Miñoso}}}''' || || '''출생''' ||[[1923년]] [[11월 29일]] || || '''사망''' ||[[2015년]] [[3월 1일]] (향년 9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쿠바)] || || '''출신지''' ||페리코 || || '''신체''' ||178cm / 79kg || || '''포지션''' ||[[좌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48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클리블랜드 인디언스|CLE]]) || || '''소속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49, 1951)[br]'''[[시카고 화이트삭스]] (1951~1957)'''[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58~1959)[br][[시카고 화이트삭스]] (1960~1961)[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62)[br][[텍사스 레인저스|워싱턴 세네터스]] (1963)[br][[시카고 화이트삭스]] (1964, 1976, 1980)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동한 '''최초의 쿠바 출신 스타 선수'''이자 명 좌익수. 선수생활을 상당히 오래한 선수 중 한 명이다.[* 은퇴 후에도 2003년까지 독립리그 선수활동을 하였다.] 2022년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 선수 생활 == 선수 시절 별명은 쿠바의 혜성(Cuban Comet)이었다. 1944년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에 입단하면서 선수생활을 시작하였다. 필라델피아에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이적하였다. 1949년 메이저리그에 처음으로 콜업되었고, 1949년 4월 19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와의 경기에서 대타로 처음 출장하여 1볼넷을 얻어내면서 메이저리그 최초의 라틴계 흑인 선수가 되었다. 클리블랜드에서도 큰 기회를 받지 못하다가 1951년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이적하면서 그의 전성기가 시작되었다. 1951년 146경기 622타석 173안타 10홈런 76타점 112득점 31도루 .326 .422 .500을 기록하면서 AL MVP 4위, AL 신인왕 2위 득표를 얻으면서 두각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후 AL 올스타 13회, 골든글러브 3회, 도루왕 3회를 수상하면서 큰 활약을 하였다. 이 기간 동안 팀을 자주 옮기기도 하였다. 그래도 선수생활 말년을 전성기를 보냈던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돌아와서 마쳤다. 선수 생활 32년만인 1980년 10월 5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캘리포니아 에인졀스]]와의 경기에서 대타로 출장하여 1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면서 메이저리그에서 완전히 은퇴하였다. 그의 통산 성적은 1946경기 출장 8223타석 7048타수 2110안타 195홈런 1093타점 1225득점 216도루 .299 .387 .461 .848 WAR 53.8. 은퇴 후인 1983년 그의 등번호인 9번이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분류:쿠바의 야구 선수]][[분류:1923년 출생]][[분류:마탄사스 주 출신 인물]][[분류:2015년 사망]][[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화이트삭스/은퇴, 이적]][[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MLB 영구결번 선수]][[분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1949년 데뷔]][[분류:1980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