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천문학]][[분류:항성]]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의미, rd1=미라(동음이의어))] [목차]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opo9726c.jpg|width=100%]]}}} || ||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미라 A''' || == 개요 == {{{+1 Mira}}} '''미라'''는 [[고래자리]]에 위치한 [[지구]]에서 200~400 [[광년]] 떨어진 [[적색거성]]이다. 미라 성계 자체는 [[쌍성|쌍성계]]이며, 적색거성인 미라 A와 [[백색왜성]]인 미라 B로 이루어져 있다.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고래자리 오미크론(Omicron Ceti)"이라 부른다. == 미라 A == 미라 A는 수명을 다 해가고 있는 적색거성으로 동시에 밝기가 크게 변하는 [[변광성]]이다. 특기할 것으로는 [[초신성]]이 아닌 별들 중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변광성이라는 점인데, 용골자리 에타같은 특수한 천체들을 제외하면 미라 A는 맨눈으로 보이다 마는 과정을 반복하는 변광성들 중에서는 가장 밝은 별에 해당한다. 아울러 변광 주기가 332일 정도이며 [[겉보기 등급]]이 2등급에서 10.1등급까지일 정도로 변광 양상 또한 매우 활동적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천문학자]]들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미라(Mira)"라는 이름도 별의 밝기 변화가 놀라웠기 때문에 '놀랍다'라는 의미의 미라(Mira)를 붙여준 것이다. 이는 흔히 아는 영단어인 "Miracle(미라클)"과 뿌리가 같은 말이다. 처음 이 별이 변광성임을 알게 된 것은 1594년의 일이다. 의외로 1592년 [[조선]]의 천문학자들이 우연히 이 별을 관측하기도 했는데 처음에는 객성으로 생각했으나, 다시 나타나는 것을 보고 이것이 별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 미라 B == 미라 B는 [[1918년]]에 그 존재가 추정되었으며, 이것은 [[1923년]] 미국의 천문학자인 로버트 그랜트 에이킨(Robert Grant Aitken)의 관찰로 증명되었다. 이후 [[1995년]]에는 [[허블 우주 망원경]]이 실제로 미라 A로부터 70AU 가량 떨어져 있는 미라 B를 확인했으며, 이 결과는 1997년에 발표되었다. 이때 미라 B는 낮은 [[X선]] 광도와 같은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해 당초 예상되었던 [[백색왜성]]이 아니라 [[태양]] 질량의 0.7배인 [[K형 주계열성]]으로 새롭게 추정되었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자료가 정확하다고 가정한다면, 미라 B는 미라 A 주위를 약 500년 주기로 평균 100 AU 가량의 거리에서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빠른 광도 변화에 대한 [[2010년]]의 분석 결과, 미라 B는 K형 주계열성이 아니라 다시 백색왜성으로 밝혀졌다.[* J. L. Sokoloski; Lars Bildsten (2010). "Evidence for the White Dwarf Nature of Mira B". The Astrophysical Journal. 723 (2): 1188–1194. [[arXiv]]:[[https://arxiv.org/abs/1009.2509|1009.2509]]. Bibcode:[[https://ui.adsabs.harvard.edu/abs/2010ApJ...723.1188S|2010ApJ...723.1188S]]. doi:[[https://doi.org/10.1088%2F0004-637X%2F723%2F2%2F1188|10.1088/0004-637X/723/2/1188]]. S2CID [[https://api.semanticscholar.org/CorpusID:119247560|119247560]].] == 여담 == 일본의 지구과학 만화 [[사랑하는 소행성]]의 주인공 [[코노하타 미라]]의 이름이 이 별에서 유래하였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미라(동음이의어), version=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