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쏘의 항공기)] [include(틀:제트전투기/프랑스)] [include(틀:현대전/프랑스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파일:mirage4000.jpg]] [[이미지:mirage-4000-2.jpg]] Mirage 4000, Le Mirage 4000 [목차] == 개요 == || [youtube(uGp19c-CoPU)] || 1982년 판보로 에어쇼에서 완전 무장 상태로 시범 비행을 선보이는 미라주 4000 == 제원 == ||<:> '''승무원''' |||||| 1명 || ||<:> '''길이''' |||||| 18.7 m || ||<:> '''너비''' |||||| 12 m || ||<:> '''높이''' |||||| 5.8 m || ||<:> '''날개면적''' |||||| 73 m² || ||<:> '''자체중량''' |||||| 13,000 kg || ||<:> '''내부 연료량''' |||||| 11,000 L || ||<:> '''엔진''' |||||| 2x 스네크마 M53-2 후연 터보팬 || ||<:> '''최대추력''' |||||| 2x 64.3 kN (13,500 lbf) || ||<:> '''재연소추력''' |||||| 2x 95.1 kN (21,400 lbf) || ||<:> '''최대 속력''' |||||| 마하 2.2 || ||<:> '''항속 거리''' |||||| 2,000 km || ||<:> '''전투 반경''' |||||| 1,850+ km[* 외부 연료 탱크 및 정찰용 포드 탑재 기준] || ||<:> '''실용 상승 한도''' |||||| 20,000 m || ||<:> '''상승률''' |||||| 305 m/s || ||<:> '''항전장비''' ||||||RDM 다중 모드 도플러 레이더[br]디지털식 오토파일럿[br]다중 모드 시현 디스플레이[br]SAGEM Uliss 52 INS[br]Crouzet Type 80 항공 정보 컴퓨터[* Air Data Computer][br]Thomson-CSF VE-130 HUD[br]디지털 자동화 무장 투하 시스템[* digital automated weapon delivery system] || ||<:> '''하드 포인트''' ||||||'''총 12개소(주익 하부 6개소, 동체 하부 6개소'''[br]최대 8,000 kg의 무장 탑재량 || ||<:><|6> '''무장''' || '''고정''' ||||2x 30 mm [[DEFA]] 554 리볼버 기관포[br](1문당 탄약 125발) || || '''공대공''' ||||[[마트라]] R550 Magic[br]마트라 Super 530 || || '''공대지''' ||||일반 범용폭탄[br]마트라 BGL 레이저 유도 폭탄[br]AS-30L 반능동식 레이저 유도 미사일[br][[엑조세]] 공대함 미사일[br]로켓 포드 등등 || || '''기타''' ||||3x 2,550 L 연료 탱크[br]공중 재급유 포드[br]레이저 타게팅 포드[br]전자전 교란 포드[br]정찰 포드 || == 상세 == [[프랑스]] [[다쏘]] 사가 제작한 쌍발 전투기. [[미라주 2000]]의 개발과정에서 탄생한 [[스네크마]]사의 M53 엔진을 쌍발로 장착하여 보다 대형화된 전투기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프랑스 정부에서 본격적인 도입 의사가 없고 개발에 대한 지원이 미비했기 때문에, 대부분은 개발사인 다쏘가 부담하게 되었다. [[미라주 2000]]의 개발 이후 이를 쌍발 전투기로 개발하였다라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첫 비행은 1979년 3월로, 1978년 첫 비행한 미라주 2000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거의 동시에 개발을 진행하였다고. 즉 [[F-16]]의 라이벌이 미라주 2000이였다면 잠재적으로 [[F-15]]의 라이벌로 미라주 4000을 염두하고 개발한 것이다. 하지만 미라주 4000은 [[프랑스군]]에서 도입할 의사가 없었다. 대형 쌍발기체인 [[미라주 G|미라주 G8]]조차 프랑스군 도입에 실패하였고, [[미라주 III]]와 [[미라주 시리즈#s-3.3|미라주 V]]를 대체하기 위해 [[미라주 2000]]의 도입은 진행하였으나 미라주 4000의 경우에는 프랑스군의 도입 의사가 없었기 때문에 해외 수출을 모색하던가 [[프로토타입]] 수준으로 멈출 것이 자명했다. 하지만 [[사우디 아라비아]]와 [[이란]]이 이 비행기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어 개발 과정은 계속 진행되었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F-15]]를 도입하고 싶어했으나 당시 미국이 거부했고, 이란은 [[팔레비 2세]]가 [[F-14]]와 [[F-16]]으로도 모자라 [[이란군]]을 위해 더 많은 고성능 전투기 도입을 원하였기 때문이였다. 성공적으로 개발이 완료된다면 이 두 국가가 200~300대까지 수입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수출 시장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이였다. 하지만 [[이란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가 몰락하며, 이란 판매가 좌절되었고 사우디 아라비아도 관심을 끊고 [[파나비아 토네이도]] 도입을 추진하며 미라주 4000에 대한 관심을 끊었다. 다쏘사는 추가적인 판매를 시도하였으나 이런 대형기체를 구매할 만한 나라는 거의 없었고, 있더라도 [[프랑스군]]조차 쓰지 않는 미라주 4000보다는 [[미군]]이 대량으로, 오래 사용하여서 성능도 입증되었고 후속 지원이 보다 원활할 [[F-15]] 도입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모두 실패하였다. 결국 미라주 4000은 프로토타입 1기만 비행에 성공한 이후 개발이 중단되었다. 다만 프랑스 군은 [[SEPECAT 재규어]], [[미라주 F1]], [[쉬페르 에탕다르]] 등을 대체할 ACX 사업을 추진하였고, 이로 인해 [[라팔]]이 개발되는데, 이 과정에서 [[카나드]], 복합자재 등의 사용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미라주 2000과의 외향적 차이점은 우선 단발기에서 쌍발기로 확대되어 크기가 커진 점과, 카나드를 장착한 점, 그리고 조종석이 버블형 캐노피를 선택하여 시아확보가 유리한 점이 보인다. 원래대로라면 복좌형도 개발될 예정이였으나 취소되었다. == 참고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9D%BC%EC%A3%BC_4000|(한국어 위키백과) 미라주 4000]] * [[https://en.wikipedia.org/wiki/Dassault_Mirage_4000|(영문 위키백과) Dassault Mirage 4000]] == 관련 문서 == * [[프랑스군]] * [[항공 병기/현대전]] * [[제트전투기]] * [[미라주 시리즈]] * [[다쏘]] [[분류:다쏘]][[분류:전투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 [include(틀:포크됨2, title=미라주 4000, d=2022-07-13 23:3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