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융합(유희왕), top2=엘리멘틀 히어로)]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ミラクル・フュージョン(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미러클 퓨전, 일어판명칭=ミラクル・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Miracle Fusion, 효과1=①: 자신의 필드 / 묘지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제외하고\,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 '''"나는 마법 카드 미러클 퓨전을 발동시키겠어! 그건 묘지에 잠든 엘리멘틀 히어로를 융합 시키는 카드!"''' > ---- > [[주다이(유희왕 듀얼링크스)|주다이]],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묘지의 융합 소재를 제외하고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묘지에서 융합 소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패 1장으로 강력한 융합 몬스터를 소환 가능하다.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의 효과로 서치가 가능하기에, [[융합(마법 카드)|융합]]과 병용하면 단숨에 필드 전개가 가능하다. 융합으로 선라이저를 뽑아내고, 선라이저로 서치한 미라클 퓨전으로 다시 융합 몬스터를 뽑아내는 식.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작중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에서 [[다이토쿠지(유희왕)|아므나엘]]과의 듀얼에서 등장했다. 모든 패를 소모해 좌절한 쥬다이였지만 회심의 드로우로 이 카드를 드로우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에릭실러]]를 융합함으로서 아므나엘은 자신이 믿고 있던 쥬다이의 재능을 확신했다. OCG화되고 나서 등장한 쥬다이의 카드 중 얼마 되지 않는 카드로서, 단숨의 상황을 역전시키는 위용은 그야말로 기적의 융합. 그 후에도 자주 사용되며 상황에 필요한 몬스터를 부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주로 연결되는 건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 마지막 듀얼인 유우기전에서도 어김없이 사용되어 샤이닝 플레어 윙맨을 불러내는 데 사용되었다. [[유희왕 GX(코믹스)|유희왕 GX 코믹스]]에서도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 작중에서는 [[만죠메 쥰]]과의 듀얼 중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를 융합 소환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레지 맥켄지]]와의 듀얼 중에도 사용되어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를 융합 소환하고, [[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의 효과로 샐비지된 뒤에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와 플래시를 소재로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을 융합 소환해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LP 1000 이하일 때 사용 가능한 [[주다이(유희왕 듀얼링크스)|주다이]]의 스킬 '미라클 퓨전 시간(기적의 융합)'로만 사용이 가능했다. 발동 조건이 까다로워 그냥 풀어달라는 유저들의 성토가 이어져오다 2019년 1월에 드디어 메인 박스로 나오게 되었다. 거기에 스킬 발동 조건도 LP 3000 이하로 훨씬 쉬워졌다. 참고로 카드명 표기는 미'''라'''클이 아닌 미'''러'''클 퓨전이다. [[미러클 콘택트]], [[미러클 플리퍼]] 등도 마찬가지. ||수록 시리즈 || ||<(> 2005-05-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RV-JP039 | '''[[사이버 혁명|CYBERNETIC REVOLU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7-09-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04-JP039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4-06-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7-JP023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HEROs STRIKE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TH-JPB12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9-11-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3-JP020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2-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C03-JP034 | [[레어리티 컬렉션|RARITY COLLECTION - PREMIUM GOLD EDITIO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CR)] || ||<(> 2005-08-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RV-EN039 | '''[[사이버 혁명|CYBERNETIC REVOLU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7-11-1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04-EN039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1-04-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U05-EN017 | TURBO PACK BOOSTER FI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10-0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GX-EN078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2-02-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YMP-EN021 | RA YELLOW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5-01-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HS-EN024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HERO STRIKE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4-0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UPO-EN055 | DUEL POWE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0-0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6-EN020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7-2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S3-EN106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2-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RV-KR039 | '''[[사이버 혁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8-09-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04-KR039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2-07-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V12-KR009 | 2012년 하반기 대회용 프로모션 카드: SUMMER FESTIVAL 201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4-09-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7-KR023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스트럭처 덱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2-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HBI-KRB12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크로니클 바인더]]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0-02-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3-KR020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6-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C03-KR034 | [[레어리티 컬렉션|레어리티 컬렉션 2020]]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EXSE)] || == 관련 카드 == === 서포트 카드 === ====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 미러클 퓨전을 서치할 수 있는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 === 기타 관련 카드 === ==== [[미러클 콘택트]] ==== 미러클 퓨전의 콘택트 버전. 원작 기준으로 필드/묘지에서 소재를 조달하는 것은 같지만, 콘택트 융합을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소환하므로 정규 소환이 아니다.] 덱으로 되돌리는 카드이다. OCG에서는 패까지 범위가 넓어졌다. ==== [[미라클 싱크로 퓨전]] ==== 방식은 같으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대신 싱크로 몬스터를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를 소환하는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