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미스코리아(동음이의어))] || [[파일:미스코리아 로고 (흰색).svg|width=100%]] || [[파일:미스코리아 로고 (골드).svg|width=100%]] || || {{{#ffffff 흰색}}} || {{{#b29d6a 골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www.misskorea.or.kr|홈페이지]] || 아름다운 꽃 진선미 보란듯이 피었네 햇빛처럼 달빛처럼 찬란하고 은은하게 꿈속에서 뽑힌 너는 미스코리아 꽃 구름에 쌓인 너는 미스코리아 자랑스런 꽃 진선미 향기롭게 피었네 하늘처럼 바다처럼 넓은마음 푸른마음 꿈속에서 뽑힌 나는 미스코리아 꽃 구름에 쌓인 나는 미스코리아 '''공식 주제가'''[* 1966년 10회 대회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유호 작사, [[손목인]] 작곡이다.] || [[한국일보]]의 자회사인 [[글로벌 E&B]]가 주최하는 [[대한민국]]의 [[미인대회]]로 1957년부터 시작했다. 본래 [[한국일보]]에서 주최하다가 2018년부터 이관되었다. 미스코리아 입상자는 글로벌 E&B와 계약하여 글로벌 E&B 소속으로 활동하게 된다. 2017년 당시엔 회사 이름이 (주)미스코리아였으나, 2018년 한국일보 E&B, 2021년 글로벌 E&B 순서로 이름이 변경됐다.[* 2015~2017년 대회를 개최한 한주미디어네트워크, 한주E&M과는 별개의 회사다.] 미스코리아에서 입상하게 되면 [[미스 인터내셔널]], [[미스 어스]] 등 국제 미인대회에도 나갈 수 있다. 과거에는 [[미스 유니버스]], [[미스 월드]]에도 나가도록 연계되어 있었지만, [[미스 유니버스]]는 라이센스가 회수되어 2016년 미스 유니버스 코리아로 별도의 대회가 열려 우승자가 2018년 대회에 출전했고, 2017년 대회엔 미스 월드 코리아 [[김제니]]가 출전하게 되어 기존에 미스코리아 진으로 당선된 이민지, 김진솔은 미스 유니버스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이전에는 미스코리아 선이 한국 대표로 [[미스 월드]]에 나갔지만 2011년부터 미스 월드 코리아란 별도의 대회의 우승자가 한국 대표로 나가게 되었다.[* 그런데 2012년 8월에 미스 월드 코리아 주최사가 미스코리아 주최사인 [[한국일보]]를 고소하고 한국일보 측도 맞고소를 하여, 2012년에는 미스 월드 코리아 대회는 열리지 못했다. 그래서 2012년 미스 월드 대회에는 2011년 미스 월드 코리아 2위 입상자가 대신 나갔다. 2013년에도 대회가 열리지 못해 2011년 미스 월드 코리아 3위가 출전했다. 2013년 5월 미스 월드 코리아 측이 패소하였고, 2014년부터 다시 미스 월드 코리아가 열렸다.] '미스코리아 출신'이라는 타이틀은 전국 단위의 '''본선 대회 입상자에게만''' 붙이는 말이다. 지역대회 수상자로 본선대회에 출전했다고 해서 미스코리아 출신이라는 말을 쓸 수 없다. [[http://www.beautyhankook.com/news/articleView.html?idxno=7278|#]] 허나 이러한 규정은 전혀 지켜지지 않는다. 그나마 지역대회 입상자들은 어쨌든 본선 참가자들이라 크게 문제가 되는 편은 아니지만, 몇몇은 지역대회에 참가만 해놓고 본선에는 발도 안 담근 사람들이 멋대로 미스코리아 출신이라는 말을 쓰는 경우도 있다. == 자격요건 == 학력([[고졸]] 이상), 연령(만 18~28세)[* 26세까지 였으나 2021 대회부터 28세로 변경되었다.], 기혼 유무(미혼) 등의 제한 요소가 있으며 본선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미스코리아 지역 대회에서 입상해야 한다. 예전에는 신장도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신장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 입상 단위 == 미스코리아의 1등, 2등, 3등은 각각 '진선미'라고 불린다. [[眞|진(眞)]]은 참됨, [[善|선(善)]]은 착함, 그리고 [[美|미(美)]]는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미인대회인데 왜 아름다움이 3위인지에 대해 의아할 수 있는데, 이것은 [[플라톤]]의 영혼3분설에 기반한 심미적 아름다움의 기준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즉, 표면적인 아름다움인 미(美)보다는 참됨(진리)이 진정한 아름다움이라는 의미이다. 미스코리아의 영향을 받아 다른 국내 미인대회들도 진, 선, 미 칭호를 쓰는 편이다. 참고로 영어로는 특별한 명칭 없이 그대로 Winner, 1st runner-up, 2nd runner-up으로 호칭한다. == 왕관에 대하여 == 미스코리아의 꽃은 왕관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그만큼 왕관의 디자인과 스타일도 계속 바뀌었는데, 대표적으로는 '''미스코리아의 황금기를 알렸던''' 1970년 제14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부터 1992년 제36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까지 '''무려 23년간''' 사용한 왕관이 제일 유명하며, 2000년 제44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부터 2004년 제48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까지 미스코리아 진에게 수여한 신라 시대 스타일의 금관도 유명하다. 이후 대회부터는 계속 대회별로 왕관을 새로 제작하고 있다.[* 2006년 빅토리아, 2007년 로즈베이, 2008년 마르첼라 등등] 특히 2009년 제53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에서 사용된 진 왕관 "동양의 빛"은 1270개의 다이아몬드가 사용되었고 왕관의 사용된 총 캐럿만 해도 1000캐럿에 달하며 당시 가치로 15억에 달했다. 하지만 실제 보석이 사용된 왕관은 대회 시상식 당일 무대에서만 사용되고 대회가 끝나면 왕관 제작 업체가 회수하게 되어있다. 당선자에게는 보석이 아닌 큐빅이 사용된 모조 왕관이 제공된다.[* 모조 왕관 또한 가치가 5000만원 이상이다.] == 위상 == 한국의 미를 대표하는 사절로서 과거에는 높은 인기를 누렸으며, 미스코리아 입상 경력을 바탕으로 연예인이 되는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심사과정에서의 뇌물 수수 사실이 밝혀지고 대중들의 공감을 사지 못하는 후보자들이 입상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최고 권위의 미의 제전이라는 위상이 흔들리고, 주최사 [[한국일보]]의 평판도 함께 떨어졌다. 이에 더해 [[페미니스트]]들과 여성단체들의 반발로 인해 1972년부터 [[지상파]]에서 생중계되었던 미스코리아 본선 중계 방송은 2001년 5월 27일 [[MBC]]에서 단독 중계한 것이 마지막이었으며, 2002년부터는 지상파가 아닌 [[케이블 방송]]으로 옮겨가면서 화제성과 관심도가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다. 2019년 대회는 TV 중계 없이 [[유튜브]], [[V LIVE]] 등 오로지 온라인으로만 중계를 하게 되었으며 수영복 심사도 폐지했다.[* 수영복 심사는 2004년에도 한번 폐지를 했다가 2005년에 다시 부활한 바 있다. 2004년 때는 VCR 영상으로 대체했으며 상반신만 나왔다.] 과거에는 미스코리아 진으로 선발되면 [[박정희]]를 면전에서 직접 만나서 그 박정희가 직접 축하를 해주고 덕담을 해 줄 정도로 엄청나게 메이저했다. 미스코리아 인지도가 많이 떨어져 [[2016년]]에 [[아는 형님]] [[아는 형님/방영 목록/2016년 상반기#s-2.4|8회]]에서 가짜 미스코리아를 찾는 진실게임 포맷의 게임을 진행했는데 단 1명만, 그것도 찍어서 맞힐 정도. [[슈퍼모델]] 1명 외엔 모두 2015 미스코리아 진, 선, 미였는데 아무도 몰랐다. === 90년대 후반부터 지속된 추락의 원인 === [youtube(-31r1Fo28rk)][youtube(g1s59ZOClMg)]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여성단체]] 측에서 여성의 [[성상품화]]라는 이유로 안티 미스코리아 운동을 벌여 [[공중파]]에서 생중계되던 미스코리아 대회를 [[케이블 방송]]국으로 내쫓은게 가장 큰 타격을 입혔다. 안티 미스코리아 운동으로 인해 케이블에서 방송된 이후로는 관심도나 인기가 급하락할 수 밖에 없었고[* 당시엔 지금처럼 케이블 채널 보급이 보편화되지 않았던 시절이라 방송에서 접하기 더욱 힘들었다.] 이로 인해 예전만큼의 지원자도 모이지 않게 된 것이다. 지상파에 방송될 때만 하더라도 전국민의 관심을 받아 생중계되던 날은 전가족이 같이 모여 시청하고 미스코리아 진은 방송계에 러브콜을 받아 단숨에 당대 최고 인기 연예인이 되곤 했으나, 이는 단순히 미스코리아 자체의 문제만이 아닌, 당시 페미니즘 단체[* 대표적으로 [[김신명숙]]이 있는데, [[1999년]]에 '미스코리아 대회를 폭파하라'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크게 비판했다.]들의 안티 미스코리아 운동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04년]]에는 [[KBS]] 케이블 채널에서 방송하려던 미스코리아 대회도 [[공영방송]]이라는 이유로 못하게 막았고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70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190599|#]]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671|#]] [[http://women21.or.kr/board_SWQx60/7174|#]] 지역방송에서 중계하는 지역대회에 반발하는 모습도 보였다.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9809|#]] 2019년에는 미스코리아 폐지를 위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하기도 하는 등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43597|#]] 성 상품화를 이유로 미인대회의 폐지를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 당시에는 프로듀스 101 같은 대국민 투표참여형 전국대회가 없었고 심사위원들의 평가가 절대적으로 크게 작용했으며, 미스코리아 지역대회 심사위원진 관련 '''부정행위, 편파판정''' 등의 비리는 그 전부터 고질적으로 터져나오던 문제점이었고, 유명 미용실과 주최사와의 관계도 문제가 많았다. 여성운동이 본격화되기 전인 [[1980년대]]에는 이런 문제가 없었을까? 그럴리가 없다. 공식적으로 밝혀진 비리 사건이 [[1990년]]부터 등장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비리사건의 형성과 폭로의 유형을 보면 [[1980년대]]에 이미 일반화 되었다는 이야기다. 과거 "세리" 미용실과 "마샬" 미용실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까지 미스코리아 미용실의 양대산맥으로 유명했다. 기존에 마샬이 패권을 가지던 상황에서 [[1988년]] 진 김성령을 세리가 배출하면서 라이벌로 떠올랐고, 분노한 마샬의 원장이 다음해 고등학생 [[고현정]]을 발굴하여, 세리가 키우던 오현경과 배틀이 되었다고 한다. 당시 1989년 진 오현경과 선 고현정의 대결이 양대 미용실의 배틀로 유명했다고 한다. 당시 미용실 원장끼리 누가 더 자기 미스코리아 머리를 크게 키우나 배틀을 했다고도 알려져 있다.[* [[미스코리아(드라마)|MBC 드라마 미스코리아]]에서도 이러한 내용을 작중 세력다툼의 설정으로 사용했다.][* 참고로 [[2011년]]부터 헤어와 메이크업을 전문가의 도움 없이 후보자들이 직접 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을 변경하면서 미용실의 비중이 크게 줄었다.] 그리고 여성운동과 비리 말고도 이유가 하나 더 있다. 1990년대부터 대한민국 연예계에 '''[[아이돌]]'''이 등장한 이후, 남녀를 불문하고 빼어난 미모를 가진 젊은 인재들이 죄다 [[아이돌]]로 몰리는 바람에 미스코리아 지원자들이 '''아이돌로 뽑혀가고 남은 인원'''들로 채워지다 보니 인재유출이 굉장히 심각해져서 미스코리아가 그 시점, 정확히는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쇠락했다. 게다가 미스코리아 진으로 선발되면 이후 [[미스 유니버스]] 등 상위 국제대회 출전 준비를 해야만 했으며 그 외에도 여러가지 홍보대사 등으로 장기간 활동을 해야 하는 등 이런저런 활동에 대한 의무가 추가적으로 부과되어 있는 상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이 만료가 되고 나서야 연예인으로서의 첫 발걸음을 내디딜 수 있지만, 문제는 활동 만료 이후의 나이가 대체적으로 20대 후반 내지 30대 초반이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연예계로 데뷔를 한다는 게 문제였다.[* 이렇게 된다면 미스코리아 활동 후에 연예계를 데뷔할 경우, 미스코리아 진 & 선 & 미고 무엇이고 간에 이유를 막론하고 무조건 신입 후배가 되는데, 연예계는 선배 & 후배 간의 위계 질서가 은근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자신보다 한참 나이도 어린 배우(아이돌로 연예계에 입문하고 5~7년차 이후에 배우로 데뷔하거나 혹은 아역 배우로 데뷔한 케이스)에게 선임자 혹은 선배 대우를 해줘야 하는 다소 우습고 어처구니없는 상황을 겪게 된다. 거기다가 드라마로 출연하면 주연 캐스팅은 어림없고, 대부분 '''조연 내지 엑스트라 혹은 주인공을 괴롭히는 악역 캐릭터로 출연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오히려 주연 캐스팅은 인기 배우 혹은 아이돌 & 걸그룹 출신 배우나 아역배우 출신 배우들이 차지'''한다. 그리고 정작 악역을 맡은 미코 출신 배우는 드라마를 시청하는 시청자 및 네티즌들에게 욕 한 사발을 거하게 먹어야 하는 설움(?)은 덤.][* 당장 2024년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피라미드 게임(드라마)|피라미드 게임]]의 주연이 누구인지 생각해보자. 주연은 걸그룹 [[우주소녀]] 멤버 [[보나]]로 알려진 김지연이며, 미스코리아 출신은 아니지만 2020년 춘향대회 진 출신인 [[신슬기]]는 조연에 그쳤다. 물론 출연진 중에 4번째로 이름이 올라가기는 했지만, 냉정하게 말해서 드라마 전체적인 비중 100% 중 85% 정도가 주연이었던 김지연의 비중이 훨씬 더 높았다. 또한 2012 미스코리아 진 출신인 배우 [[김유미(1990)|김유미]]는 미코 활동 종료 후 연예계에 진출, 드라마 [[최고의 연인]]에 출연했다. 그러나 주연은 커녕 조연에 그쳤고, 물론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기는 했지만 악역 캐릭터인 [[강세란]]을 맡아 욕을 거하게 한 사발을 먹어야 했다. 그리고 정작 주연은 역시나 걸그룹 [[다비치]] 멤버 [[강민경]]이 맡게 되면서 드라마 제작진들이 미스코리아나 춘향 대회같은 미인 대회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게 된다. 한 마디로 ''''미스코리아 진? 춘향 진? 그러니까 어쩌라고?? 연예계에 들어왔으면 신인이나 마찬가지니까 밑바닥부터 기어서 시작해야지. 너네는 조연이나 나쁜 년 맡아.''''라고 보면 된다.] 아이돌 걸그룹은 본인의 외모와 성장세가 극도로 뛰어나면 14살~15살에 데뷔해 크게 성공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런 아이돌 걸그룹 멤버보다 10년 이상 늦는다. 연예계에서 10년이라는 기간은 '''어마무시하게 큰 기간'''이다. 실제로도 [[피현지]]는 입상을 하고도 이를 거부하는 바람에 입상이 취소되었다.[* 사실 이전에는 미스코리아 대회가 연예인 데뷔의 등용문이였으나 현재는 각 기획사별 오디션 공채가 폭넓어지고 아이돌로 활동하다가 20대 중후반이 넘어가면 각자 개인활동에 집중하게 되고, 연기자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굳이 미스코리아에 참가하지 않아도 연예계에 데뷔하는 길이 넓어진 편. 이전에 90년대 미스코리아 출신들이 연예계에 데뷔 후 활발하게 활동을 하여 인지도를 알렸으나, [[2000년대]] 이후로는 [[이하늬]]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연예계에서 이렇다 할 자리를 잡지 못하였다. 요즘 미스코리아 참가자 출신들은 배우 진출보다 아나운서, 기상 캐스터로 연예계에 진출하는 편이다.] 일각에서는 경제 발전과 여성 인권 신장으로 인해 과거보다 여성이 사회진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미인대회의 관심도가 줄어들어서 그렇다는 의견도 있다. 현재 미스코리아 대회는 여러 부분에서 변화의 요구를 받아들여 수영복 심사를 폐지했고 영향력도 현저히 줄어들었다. == 역사 == === 미스코리아 이전 ===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0111121491410001010-001.jpg]] 한국 최초의 미인 대회는 [[일제강점기]]에 있었다. 1931년 [[국경의 밤]]을 쓴 시인 [[김동환]]이 창간한 잡지사 삼천리가 개최한 '반도의 대표적 려인(麗人) 미쓰 코레아 삼천리 일색(一色)'으로, 사진 응모를 통해 선발하였다. 심사위원이 의외로 화려한데, [[이광수(소설가)|이광수]], [[염상섭]], 김억, 안석주, 이승만[* 李承萬. 초대 대통령 [[이승만]]과는 동명이인으로, 행인이라는 호를 쓰던 삽화가이다.], 허영숙, [[나혜석]], [[김일엽|김원주]], [[최승희]]가 심미안을 갖췄다라는 이유로 선발되었다. 총 326명의 응모를 받아서 14명이 입상했다. 그중에서 1등을 특상이라고 불렀는데, 당대 여류문인 최정희의 여동생 최정원(崔貞嫄)이 선택되었다[* 인터넷에는 이걸 최정희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좀 있다.]. 최정원은 이후 카프 소속인 이갑기[* [[이효석]]이 [[조선총독부]]에 취직하자 '''"너도 개가 되었구만"'''이라고 발언해 이효석이 [[조선총독부]]를 그만두는 원인이 된 인물로 유명하다.]와 결혼했는데, 결혼 몇 주만에 이갑기가 카프 참여 혐의로 체포되는 아픔을 겪었다고 한다. 이후 언니 최정희처럼 소설 <낙동강>을 발표하면서 문인으로도 데뷔. 다음은 1940년 8월 [[일본]] 잡지사인 <모던 니뽄>이 황기 2600년을 기념하여 미스 조선을 선발하였는데, [[전남]] [[목포]] 정명고등여학교를 갓 졸업한 19세 김영애가 선발되었다. 이후 김영애는 화가 문재덕과 결혼하였는데, 이쪽도 운수가 좋지 못했는지 [[6.25 전쟁]]때 남편이 납북되게 된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미인대회는 1949년 월간잡지 <신태양>이 미스 대한 선발대회를 개최한 것이 기원이다. 신태양은 사진 응모로 후보를 추린 다음에 명동에 그 사진을 걸어놓고 지나가는 사람의 투표로 미인을 선발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시대가 시대인지라 고등학생이나 사무직 여직원 등 47명의 사진만 도착하였다. 그나마 영 아니다 싶은 경우를 추리자 7명만 남았고, 이 7명 역시 잡지에 실을 수준은 아니었다. 결국 기자들에게 나가서 외모가 되는 미인들을 찾아오라고 했으니, 주 대상은 '''다방 마담들과 요정 직원들이 주가 되었다'''[* 덕분에 심사가 가관이었다는 이야기가 많다. 후보들이 담배를 꼬나물거나 치마를 걷어서 올리고 노려보는 등, 업소 분위기가 물씬 풍겼기 때문이라고.]. 이렇게 20명을 채웠으니, 우승자도 역시 명동 지역 다방 마담이었던 임현숙이 선정된다. 이후 임현숙은 나름대로 연예계 생활을 좀 했다. 이 다음은 더욱 가관이다. [[한국전쟁]]이 막바지로 달리던 1953년 5월 피난 수도였던 부산시청 강당에서 미인대회가 열렸다. 중앙일보 주최[* 현재의 [[중앙일보]]와는 별개의 단체다.]였던 제1회 여성 경염대회(競艶大會)로 미스 유니버스에 파견할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제1회라고 하지만 어차피 2회는 없었다. 이 대회의 1등은 [[숙명여자대학교]] 재학 중에 부산으로 피난온 강귀희가 차지하였는데, 이 과정도 골치 아프다. 원래 강귀희는 참가자 명단에도 없었는데, 심사위원들의 요청으로 후보가 되었다. 이 본선은 수영복 심사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수영복 심사는 비공개로 진행하고 나머지는 공개로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미인대회에서 수영복 심사한다는 소리를 듣고 인파가 많이 몰렸기 때문에 결국 모조리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다만 본선 진출자 10명으로 모아놓고 발표회만은 공개로 진행했다. [[파일:external/munjanet.net/05193.jpg]] 이 발표에서 당연히 심사위원이 초빙한 강귀희가 1등으로 발표되었는데, 이 때 명칭을 미스코리아라고 했기 때문에 강귀희를 최초의 미스코리아라고 부르는 사람도 가끔 있으나 이 대회는 공식적인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에 포함되지 않는다.[* 강귀희는 미스 유니버스에 사정이 여의치 못해 나가지 못했다.] 이후 강귀희의 앞날도 그렇게 순탄하지 않아서 유명세로 몇 년간 공부를 못하질 않나, 이후 [[프랑스]]로 건너가 한국 음식점을 여네 디자인을 하네 하다가 결국 로비스트로 활동했다. 단적으로 [[노태우]] 전 대통령 부인 [[김옥숙]]의 고교 1년 선배라는 이유로 [[KTX]]의 시스템 및 열차 도입 과정에서 프랑스 [[알스톰]]사의 [[TGV]]의 로비를 담당하였고[* 결과적으로 [[KTX]] 대상 열차는 [[노태우]]가 아닌 [[김영삼 정부]] 시기에 선정되었으므로 로비는 실패.], [[개신교]]계 유명 목사와 프랑스 나비부인과의 관계를 주선하는 인물이라서 이후의 소송에서 참여했다. 그리고 1957년 5월, 서울 명동 시립극장에서 한국일보 주최로 세계대회에 파견할 한국 대표를 뽑는 최초의 미스코리아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 === 역대 대회 및 입상자 === [[http://company.hankookilbo.com/business/sub1_1_pop.html|한국일보 제공 역대 미스코리아 명단]] ||<:>'''연도'''||<:>'''진''',,眞,,||<:>'''선''',,善,,||<:>'''미''',,美,,||<:>'''준미스코리아'''||<:>'''한국일보'''|| ||[[틀:미스코리아/1957년|1957]]||박현옥||<-2><|3>-||김정옥[br]홍인방||<|2>-|| ||[[틀:미스코리아/1958년|1958]]||오금순||정연자[br]김미자|| ||[[틀:미스코리아/1959년|1959]]||오현주[* 국회의원 [[오위영]]의 딸.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불문과 학생이었다. 전 [[천주교 제주교구]]장 [[강우일]] 베드로 주교의 막내이모. [[미스 유니버스]]에서 한국인 최초로 인기상, 포토제닉상, 스피치상 등을 수상했다. 2010년 숙환으로 사망.]||정옥이[br]서정애||나인덕|| ||[[틀:미스코리아/1960년|1960]]||[[손미희자]]||김정자||이영희||진: 박수자[br]선: 장인자[br]미: 김미자||김자현|| ||[[틀:미스코리아/1961년|1961]]||서양희||이옥자||한창애||진: 임영빈[br]선: 임미애[br]미: 엄순영||이명주|| ||[[틀:미스코리아/1962년|1962]]||서범주||손양자||정태자||진: 송혜자[br]선: 임경실[br]미: 최인자||정의자|| ||[[틀:미스코리아/1963년|1963]]||김명자||최유미||최금실||진: 김혜원[br]선: 강경림[br]미: 강애리사||신정화|| ||[[틀:미스코리아/1964년|1964]]||신정현||이혜진||윤미희||진: 문순자[br]선: 최승자[br]미: 이수진||최정인|| ||[[틀:미스코리아/1965년|1965]]||김은지[* 배우 [[김정은(배우)|김정은]]의 이모이다.]||김민지||이은아||진: 장혜경[br]선: 모성량[br]미: 이숙영||최수아|| ||[[틀:미스코리아/1966년|1966]]||윤귀영||진현수||정을선||진: 이봉분[br]선: 임수향[br]미: 김영성||이명숙|| ||[[틀:미스코리아/1967년|1967]]||홍정애||최양지||정영화||진: 손은정[br]선: 김윤[br]미: 김춘진||김정숙|| ||[[틀:미스코리아/1968년|1968]]||김윤정||김희자||이지은||진: 장문정[br]선: 방인숙[br]미: 장혜선||진경례|| ||[[틀:미스코리아/1969년|1969]][* 원래 김지연(본명: 김정혜)이라는 사람이 진으로 당선됐으나 결혼을 한 사실과 실제로는 풍문여고 중퇴임에도 숙명여자대학교 가정학과에 재학중이라고 학력까지 속인 것이 드러나 당선이 취소되었다. 사실이 밝혀지자 김지연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났고 이에 입상자들의 순위가 한 단계씩 상승. 그래서 선 임현정(본명: 임희선)이 진이 되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60113550002|#]] 공교롭게도 임현정은 숙명여대 영문과에 실제로 재학중이었다.]||임현정||김유경||김승희||진: 임정은[br]선: 서원경[br]미: 이주희||- || ||<:>'''연도'''||<:>'''진''',,眞,,||<:>'''선''',,善,,||<:>'''미''',,美,,||<:>'''정''',,貞,,'''숙''',,淑,,[br]'''현''',,賢,,'''량''',,良,,||<:>'''한국일보'''|| ||[[틀:미스코리아/1970년|1970]]||유영애||김인숙||이정희||정: 이은자[br]숙: 김경순[br]현: 이지수||박지연|| ||[[틀:미스코리아/1971년|1971]]||노미애||최숙애||차순영||정: 홍신희[br]숙: 이영은[br]현: 조애자||이명신|| ||[[틀:미스코리아/1972년|1972]]||박연주||서윤희||신가정||정: 배정자[br]숙: 정금옥[br]현: 오영은[br]량: 김성실||이인숙|| ||[[틀:미스코리아/1973년|1973]]||김영주||김매자||김준경||정: 박신화[br]숙: 이태현[br]현: 안순영||이혜숙|| ||[[틀:미스코리아/1974년|1974]]||김은정||김경옥||심경숙||정: 김지현[br]숙: 강영숙[br]현: 이희영||전혜경|| ||<:>'''연도'''||<:>'''진''',,眞,,||<:>'''선''',,善,,||<:>'''미''',,美,,||<:>'''협찬사상'''|| ||[[틀:미스코리아/1975년|1975]]||서지혜||이성희[br]이연옥||이형목[br]노덕자[br]진숙||태평양: 김자영[br]한국일보: 이경아|| ||[[틀:미스코리아/1976년|1976]]||정경숙||정광현[br]한영애||차장옥[br]신병숙[br]이혜경||태평양: 조인옥[br]한국일보: 유재선|| ||[[틀:미스코리아/1977년|1977]]||[[김성희(1959)|김성희]]||정정화[br]이정화[br]||김영선[br]신병옥[br]김순애||태평양: 백경선[br]한국일보: 정미희|| ||[[틀:미스코리아/1978년|1978]]||손정은||채정숙[br]박경애||김은희[br]제은진[br]박숙재||태평양: 최현아[br]한국일보: 이수미|| ||[[틀:미스코리아/1979년|1979]]||서재화||[[홍여진]]||김진선||태평양: 이주연[br]한국일보: 김미재|| ||[[틀:미스코리아/1980년|1980]]||김은정||장혜지||김혜란||태평양: 정나영[br]한국일보: 강민정|| ||[[틀:미스코리아/1981년|1981]]||이은정||이한나||김소형||태평양: 김종숙[br]한국일보: 박현주|| ||[[틀:미스코리아/1982년|1982]]||박선희||최성윤||이현주||태평양: 김미선[br]한국일보: 정애희|| ||[[틀:미스코리아/1983년|1983]]||임미숙||김선미||서민숙||태평양: 오숙희[br]보령: 정영순[br]한국일보: 김종중|| ||[[틀:미스코리아/1984년|1984]]||최영옥||김경리||장시화||태평양: 임지연[br]보령: 박은경[br]한국일보: 이주희|| ||[[틀:미스코리아/1985년|1985]]||[[배영란(1966)|배영란]]||안정미||김윤정||태평양: 최은희[br]보령: 서현경[* 골프 선수 [[미셸 위]] 어머니.][br]한국일보: 임명숙|| ||[[틀:미스코리아/1986년|1986]]||김지은||정화선||정명선||태평양: 권민경[br]엘칸토: 오수경[br]르망: 이혜정[br]한국일보: 민선경|| ||[[틀:미스코리아/1987년|1987]]||[[장윤정(배우)|장윤정]][* [[미스 유니버스]] 2위 입상으로 이것은 [[이하늬]]의 4위 입상보다 높은, 현재까지 역대 대한민국 최고 기록이다. 참고로 1988년 미스 유니버스 대회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렸다고 잘못 알려진 경우가 많은데 1988년 미스 유니버스는 대한민국이 아닌 [[대만]] [[타이페이]]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에서 개최한건 1980년이다.]||[[최연희(미스코리아)|최연희]][* 1988년 [[미스 월드]] 2위 입상으로, 역시 현재까지 역대 최고 성적][* 1984년 진 최영옥의 동생이다.]||김미림||태평양: 이윤희[br]엘칸토: 김희연[br]르망: 장혜영[br]국제페리: 이지연[br]한국일보: 황보경[* 미국 유명 댄스 강사, 댄서, 안무가 2004년생 '베일리 속'의 어머니. [[https://youtu.be/lsY6m7OjFYI|#]]]|| ||[[틀:미스코리아/1988년|1988]]||[[김성령]]||[[김혜리(배우)|김혜리]]||김희정[* 2002 한국일보 김연수의 첫째언니]||태평양: 채화정[br]엘칸토: 양현정[br]국제페리: 추영미[br]쌍방울: 김유나[br]한국일보: 오현주|| ||[[틀:미스코리아/1989년|1989]]||[[오현경(1970)|오현경]]||[[고현정]]||이윤영||태평양: 신소금[br]엘칸토: 채경진[br]국제페리: 조애선[br]실버벨: 김미진[br]한국일보: 장영희|| ||[[틀:미스코리아/1990년|1990]]||[[서정민(1972)|서정민]][* 1993년에 미스코리아 당선 과정에서 뇌물 수수 의혹이 검찰에 의해 드러났다. 그때까지 미스코리아 산실로 명성을 날리던 마샬미용실 원장에게 서정민의 어머니가 3천만 원을 건넸고, 마샬미용실 원장은 한국일보 사업본부장에게 9천만 원을 건넨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뉴스를 타면서 연예계에서 사실상 은퇴, 이후 재판에서는 무혐의로 종결되었으며, 결혼 후 현재 캐나다에서 거주 중이다.]||김태화||윤제선||태평양: 이승은[br]엘칸토: 권정주[br]국제페리: 김현숙[br]실버벨: 강은숙[br]한국일보: 이혜정[* [[다이어트 서바이벌 빅토리]]에 나와 충격적인 근황을 알렸으며 최종 우승했다.]|| ||[[틀:미스코리아/1991년|1991]]||[[이영현(1971)|이영현]]||[[염정아]]||이미영||태평양: 김현주[br]엘칸토: 이선혜[br]국제페리: 장미영[br]유림: [[전혜진(1970)|전혜진]][br]한국일보: 소영경|| ||[[틀:미스코리아/1992년|1992]]||[[유하영(배우)|유하영]]||[[장은영]]||[[이승연]]||태평양: 서연정[br]엘칸토: 우정아[br]국제페리: 김인영[br]유림: 구교현[br]한국일보: 이정희|| ||[[틀:미스코리아/1993년|1993]]||[[궁선영]]||[[허성수(배우)|허성수]][* MBC 공채 27기 연기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미스코리아 대회 참가자가 공채 연기자로 들어간 상당히 드문 경우.]||김영아||태평양: 채연희[br]엘칸토: 윤수진[br]에스페로: 장미호[br]유림: 정지영[br]한국일보: 손수미|| ||[[틀:미스코리아/1994년|1994]]||[[한성주]]||이유리[br]윤미정||김미숙[br]김예분[* 연예계로 진출해 연기 및 MC를 맡았으며 특히 SBS [[달려라 코바]] MC를 맡아서 연기 활동보단 MC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 하지만 결혼 후 간통 및 방송에서 거짓사연 언급으로 논란을 빚고 연예계에서 은퇴하였으며, 지금은 식품사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54889|#]]][br][[성현아]]||태평양: 전민선[br]한국일보: 최명련|| ||[[틀:미스코리아/1995년|1995]]||김윤정||[[최윤영(1975)|최윤영]][br]김정화||김민정[* 2002 한국일보 김연수의 셋째언니][br]김아린[br]한성원[* 배우 [[한고은]]의 언니.]||태평양: 이경숙[br]한국일보: 임주연|| ||[[틀:미스코리아/1996년|1996]]||[[이지안(1977)|이은희]]||[[설수진]][br]김양희||최숙영[br]이지희[br]최정윤||태평양: 이자영[br]한국일보: [[권민중]]|| ||[[틀:미스코리아/1997년|1997]]||[[김지연(1978)|김지연]]||[[조혜영]][br]김진아||[[임선홍]][* 이후 걸그룹 [[샤크라]]에 '''이니'''라는 예명으로 데뷔했다. 샤크라에서는 최연장자 + 최장신 + 비주얼 담당이었다. 미스코리아와 걸그룹을 둘 다 해본 매우 보기 드문 케이스이다.][br]여혜전[br]정은주[* 2008년 [[원광대]] 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태평양: [[함소원]][* 이 입상년도 때문에 학력 의혹이 불거졌다. 분명 자기 말로는 숙대 95학번이랬고 1학년 때 미스코리아 입상했다 했었는데 입상년도는 학번과 2년 차이나는 97년도이기 때문이다. 이게 가능하려면 3학년 때 편입을 해서 95학번을 받아야 된다. 게다가 여태 차석 입학이라는 말을 한 번도 안 했다가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처음 언급했었다. 모 네티즌이 함소원은 편입생이라고 폭로했었다.][br]한국일보: 조윤주|| ||[[틀:미스코리아/1998년|1998]][* 사상 초유의 재심 사건으로 상당한 파장을 일으켰다.]||최지현||김건우[br][[이재원#s-2.1|이재원]][* [[심재학]] [[MBC SPORTS+]] 해설위원의 아내.]||이정민[br]양소현[br]최윤희||태평양: 이정희[br]한국일보: 곽신혜|| ||[[틀:미스코리아/1999년|1999]]||[[김연주(배우)|김연주]]||[[한나나(배우)|한나나]]||[[설수현]][* 1996년 선 설수진의 동생.]||드봉: 김효주[br]에이스침대: 강옥미[br]FILA: [[이혜원(1979)|이혜원]][br]한국일보: 손혜임[* 배우 [[손태영]]의 언니, [[이루마]]의 아내.]|| ||[[틀:미스코리아/2000년|2000]]||[[김사랑]]||[[신정선]]||[[손태영]]||갤러리아: 장은진[br]골든듀: 손민지[* 2006년 혈액암으로 투병 중 사망. [[도전 지구탐험대]]에 출연한적이 있었는데 [[https://star.mt.co.kr/stview.php?no=2006111810382415760|그때 만난 원주민들과의 인연이 사후에 알려졌다.]]][br]한주여행사: [[박시연(1979)|박미선]][br]한국일보: 박소윤|| ||[[틀:미스코리아/2001년|2001]]||[[김민경(1981년 8월)|김민경]]||[[서현진(방송인)|서현진]]||백명희[* 백민희라는 예명으로 배우로 활동했었다. 하지만 배우 생활은 단기로만 활동하여 기억하는 사람들은 잘 없다. 그뒤 연예계에서 은퇴하고 진로를 변경, [[대한항공]] 승무원에 합격하여 근무하다가 퇴사 후 유학을 떠났다고 한다. 대한항공에 합격 당시 그룹 [[버즈(한국 밴드)|버즈]]의 멤버 [[민경훈]]의 전 연인인 남호정도 같이 합격하여 승무원 카페에선 화제가 된바가 있다.]||갤러리아: 고윤미[br]골든듀: 김지혜[br]무크: [[정아름]][br]한국일보: 한지원[* 당시 미스코리아에 뽑히면 한동안 여러 방송에 수상자들이 단체로 출연하여 대외활동을 하였으나, 수상 후 단 한번도 방송에 출연한적이 없다. 결국 다음해 미스코리아 대회에도 불참하여, 정아름이 대신 수상을 하였다. --김민경도 시상식에 불참하였으나 미스 유니버스 출전으로 인해 불참이라 예외--]|| ||[[미스코리아/2002년|2002]]||[[금나나]]||장유경[* 미스코리아로 뽑힌 이후 예능 프로 보조 MC로 잠시 활동한적이 있다.]||기윤주[* 다이어트워 시즌5에 나와 충격적인 근황을 알렸으며, 중간에 탈락했으나 본인이 혹독하게 관리하여 다이어트에 성공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7/08/2012070800182.html|#]]]||갤러리아: [[금단비|이진아]][br]골든듀: 김소윤[br]쉬즈노블: 이재남[br]한국일보: 김연수[* 5자매중 4명이 모두 미스코리아 출신. 김연수는 5자매중 막내. 이 중 넷째만 제외하고 모두 입상에 성공하였다. [[https://news.joins.com/article/1865830|관련기사]]]|| ||[[미스코리아/2003년|2003]]||[[최윤영#s-1.3|최윤영]]||박지예[* [[통일교]] [[문선명]]의 4남 [[문국진]]과 결혼.][br]신지수||[[오유미]][br]안춘영[* 축구 선수 [[현영민]]과 결혼.][br]양혜선||와인코리아: 이소훈[*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수달 장군을 연기했던 배우 김시원의 양딸이다. [[http://woman.donga.com/List/3/all/12/129808/1|#]]]|| ||[[미스코리아/2004년|2004]]||[[김소영#s-2.3.2|김소영]]||[[한경진]]||[[김민주(아나운서)|김인하]]||JU네트워크: 조혜진[br]모나리자: 최영아[br]한국일보: 김혜연|| ||[[미스코리아/2005년|2005]]||[[김주희(방송인)|김주희]]||[[오은영(동명이인)#s-4|오은영]][br][[이경은(동명이인)#s-3|이경은]]||유혜미[br][[김은지#s-2.3.3|김은지]][br][[유혜리(미스코리아)|유혜리]]||한국아이닷컴: 김정현|| ||<:>'''연도'''||<:>'''진''',,眞,,||<:>'''선''',,善,,||<:>'''미''',,美,,|| ||[[미스코리아/2006년|2006]]||[[이하늬]]||[[박샤론]][br][[장윤서]]||[[박희정]][br][[김유미#s-2.1|김유미]][br][[박지원(동명이인)#s-10|박성민]][br][[김수현(1985)|김수현]]|| ||[[미스코리아/2007년|2007]]||[[이지선(1983)|이지선]]||조은주[br][[박가원]]||[[이진(아나운서)|이진]][br][[유지은]][br]~~[[김주연]]~~[* 축구 선수 [[황재원(1981)|황재원]]과의 스캔들로 엄청난 파문이 있었다. 결국 조직위원회에서 자격을 박탈하고, 뒤이어 누드 모델 파문을 일으킨 김희경과 함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정보가 삭제되었다.][br]이재아|| ||[[미스코리아/2008년|2008]]||[[나리(미스코리아)|나리]]||최보인[br][[김민정]]||[[서설희]][br][[장윤희#s-3|장윤희]][br][[이윤아(미스코리아)|이윤아]][br]~~[[김희경]]~~[* 2006년 '서마린'이라는 예명으로 누드 모델로 활동한 사실이 드러나 자격 박탈.]|| ||[[미스코리아/2009년|2009]]||[[김주리]]||[[차예린]][br][[서은채|서은미]]||[[박예주]][br]유수정[br][[이슬기(미스코리아)#s-1|이슬기]][br][[최지희(미스코리아)|최지희]][* 민서연이라는 예명으로 모델 활동.]|| ||[[미스코리아/2010년|2010]]||[[정소라]]||[[장윤진]][br][[김혜영#s-2.2|김혜영]]||[[하현정]][br][[고현영]][br][[이귀주]][br]안다혜|| ||[[미스코리아/2011년|2011]]||[[이성혜]]||[[김이슬(미스코리아)|김이슬]][br][[김혜선(미스코리아)|김혜선]]||[[이세미나]][br][[남미연]][br][[김수정#2011년|김수정]][br][[공라희|공평희]]|| ||[[미스코리아/2012년|2012]]||[[김유미(1990)|김유미]]||[[이정빈(배우)|이정빈]][br][[김사라(미스코리아)|김사라]]||[[김영주(미스코리아)|김영주]][br][[김나연(미스코리아)|김나연]][br][[김태현(미스코리아)|김태현]][br][[김유진(미스코리아)|김유진]]|| ||[[미스코리아/2013년|2013]]||[[유예빈]]||[[한지은(미스코리아)|한지은]][br][[김효희]]||[[구본화]][br][[최혜린]][br]한수민[br][[서민주|김민주]][br][[최송이]][* 2013년 [[미스 어스]] 대회에 출전해 한국의 역대 최고 성적인 4위에 랭크되었다. 본명은 카타리나 최 누녜스.]|| ||[[미스코리아/2014년|2014]]||[[김서연]]||[[이서빈]][br][[신수민]]||[[김명선(1993)|김명선]][br][[이사라]][br][[백지현]][br][[류소라]]|| ||[[미스코리아/2015년|2015]]||[[이민지(1991)|이민지]]||[[김예린]][br][[김정진(배우)|김정진]]||[[한호정]][br]--최명경--[br]소아름[br][[박아름]]|||||| ||[[미스코리아/2016년|2016]]||[[김진솔(미스코리아)|김진솔]]||문다현[br][[신아라]]||이채영[br][[홍나실]][br][[김민정#s-8.6|김민정]][br][[이영인]]|| ||[[미스코리아/2017년|2017]]||[[서재원]]||[[이한나]][br][[정다혜]]||[[이수연(1995)|이수연]][br][[남연수|남승우]][br][[임사랑|김사랑]][br]--[[피현지]]--|| ||[[미스코리아/2018년|2018]]||[[김수민(1994)|김수민]]||[[송수현(미스코리아)|송수현]][br][[서예진]]||[[이윤지(아나운서)|이윤지]][br][[김계령]][br][[박채원]][br][[임경민]]|| ||[[미스코리아/2019년|2019]]||[[김세연(미스코리아)|김세연]]||[[이채인|이하늬]][br][[우희준]]||[[이혜주]][br][[신윤아]][br][[이다현(1997)|이다현]][br][[신혜지]]|| ||[[미스코리아/2020년|2020]]||[[김혜진(미스코리아)|김혜진]]||[[이화인]][br]류서빈||[[전연주]][br][[전혜지]]|| ||[[미스코리아/2021년|2021]]||[[최서은]]||[[최미나수]][* 2022 '''[[미스 어스]] 우승'''.][br][[김수진(1997)|김수진]]||[[조민지(1998)|조민지]][br][[정보빈|정도희]]|| ||[[미스코리아/2022년|2022]]||[[이승현(1999)|이승현]]||[[유시은(1997)|유시은]]||[[김고은(2000)|김고은]][* 축구 [[김현수(1973년 3월)|김현수]]의 딸.]|| ||[[미스코리아/2023년|2023]]||[[최채원]]||[[정규리]][br][[김지성(배우)|김지성]]||[[조수빈(1997)|조수빈]][br]장다연|| ||[[미스코리아/2024년|2024]]|| || || || 1963년 진 김명자는 한국이 지지리도 못살던 시절, 별다른 후원도 없이 [[미스 유니버스]]에서 5위 입상했다. 당시 [[미국]] 측에서도 김명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연예계 활동을 제안했으나 김명자 측에서 가족의 반대로 거절. 1960년대에 의외로 단아하고 복스러운 전통 미인들이 미스 유니버스, [[미스 월드]]에서 성적이 좋았다. [[파일:external/3.bp.blogspot.com/Uni1963c-p%5B1%5D.jpg]] 1963년 미스 유니버스에서 김명자가 5위 입상한 모습. 이 당시 1위는 [[브라질]]의 이에다 마리아 바르가스가 차지했다. [[파일:yesterday2fpix2f112f25146_s5we.jpg]] 1963년 미스 유니버스 5위, 미스 월드 Top14, 미스 인터내셔널 5위의 성적으로 당시 세계에 잘 알려지지도 않았던 나라 코리아의 이름을 알린 공로로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위원장에게 초대받은 모습. === [[/역대 참가자|참가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스코리아/역대 참가자)] == 지역 대회 == [include(틀:미스코리아 지역대회)] == 논란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미인대회의 논란, rd1=미인대회, anchor1=비판)] === 수영복 심사 === [[수영복]] 심사에 대한 논란과 여성계의 비판 때문에 안티 미스코리아 운동[* 여성계뿐만 아니라 여성 국회의원들도 적극적으로 미스코리아 TV 중계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쳤으며, 前 [[국토교통부]] 장관 [[김현미]]도 안티 미스코리아 운동을 지원한 이들 중 한 명이다.]이 일어나기도 했다. 2019년 대회부터 수영복 심사를 폐지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수영복 모습을 VCR 영상으로 대체했다.][* 수영복 심사는 2004년에도 한번 폐지를 했다가 2005년에 다시 부활한 바 있다. 2004년 때도 VCR 영상으로 대체했으며 상반신만 나왔다.] === 국제 대회 출전권 박탈 === 미스코리아는 1980년대가 지난 후 유난히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서 성적이 좋지 않다. 아마 미스 유니버스 대회가 태닝된 구릿빛 피부에 근육으로 다져진 당당한 이미지와 키도 175cm를 전후하거나 넘는 장신의 미인을 선호해서 다소곳하고 키 165cm 이하여도 얼마든지 선발될 수 있는 순수한 이미지의 여성을 선호하는 미스코리아와는 코드가 안 맞는거라 보기도 한다. 미국, 일본도 국내대회인 [[미스 아메리카]], 미스 재팬은 [[엄친딸]] 속성인 사람을 뽑고, [[미스 유니버스]] 대표 선발전인 [[미스 USA]], 미스 유니버스 재팬에서는 태닝한 파티걸 스타일을 뽑는다. 2015년도 미스 유니버스 재팬에서는 흑인 혼혈 참가자 미야모토 아리아나[* 아버지가 [[미국인]], 어머니가 [[일본인]]. 2살 때 부모가 이혼한 후, 어머니와 함께 [[일본]]에서 살았다. 키 173cm.]가 우승하기까지 했다. 미스코리아가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청순하고 다소곳한 이미지보다도 위에도 언급되었듯이 태닝된 피부에 거침없고, 당당하고, 솔직한 매력이 통통 튀는 사람을 뽑아야 한다, 그래야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까 말까하는 상황이 반드시 온다. 모든 미코들의 롤 모델이자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서 4위를 한 [[이하늬]]를 예로 들어보자. 이하늬는 국악 전공자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국악 전공자들은 대부분 청순하고 다소곳한 이미지가 있다.] 솔직하고 당당한 매력을 거침없이 어필할 뿐 아니라 글래머한 몸매에 11자 복근을 바탕으로 한 몸매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세계의 스포트라이트를 끌 수 있었다. 거기다 동양적 마스크에 예쁜 몸매, 차분하면서 관능적인 목소리가 이하늬의 매력을 한층 더 높이게 해줬다. 덕분에 그 결과 2007년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당시 1위는 2016년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출전한 [[김제니]]에게 망언을 퍼부은 일본의 리요 모리.] 결국 미스코리아 대회는 2011년에는 [[미스 월드]]의 출전권을 상실하더니[* 미스 월드 측은 미스코리아 1위에 해당하는 진을 미스 유니버스에 내보내고 2위에 해당하는 선을 미스 월드에 내보내는 것에 불만이었던지라 국내 출전권을 다른 회사로 넘긴 것이다.], 2016년부터는 국제 양대 미인대회 중 하나인 '''[[미스 유니버스]]에 나갈 한국 대표를 뽑을 권리를 상실'''하게 되어버렸다. 이로써 미스코리아 대회는 미스 월드에 이어서 미스 유니버스라는 국제 양대 미인대회의 출전권을 모두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2015년 이후 미스코리아 선, 미 당선자 중에서 남은 국제대회인 [[미스 인터내셔널]], [[미스 어스]]에만 출전하게 되어 미스코리아 진이 국제대회에 출전하지 못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2019년에는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일본 상품 불매운동]]에 편승해 일본에서 개최하는 미스 인터내셔널에는 후보자를 출전시키지 않아 국제대회는 미스 어스만 출전했다. 현재 미스 유니버스, 미스 월드 출전권은 [[미스퀸 코리아]] 입상자에게 있다. 2022년 [[미스 어스]] 대회에서 [[최미나수]]가 파이널 4인까지 진출하였고, 끝내 '''1위'''를 차지하면서 미스코리아의 위상을 다시 끌어올렸다. === 대회 관련 비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r4KPTVvfcY)]}}}||{{{#!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f1nXWLTn-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RGyoHKl4nA)]}}}||{{{#!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_ewY7qbjVU)]}}}|| 사건사고가 많이 터졌고, 뒷말도 엄청나게 많은 것이 현실이다. 공식적으로 이야기가 나온 것만 해도 1990년 대회에는 [[한국일보]] 임원과 미용실 원장이 뇌물수수혐의로 구속되었다. 1993년 미스코리아 선 역시 뇌물의 결과로 드러났고 역시 관련 인물들이 구속되었다. 2012년 대회에서는 후보자의 모친이 해당 언론사 팀장을 통해서 심사 위원들에게 뇌물 총 4,000만원을 전달했다가 결국 입선하지 못하자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고, 심사위원들이 거부하면서 대형 논란으로 발전했다. 이쪽과 관련된 것이 소위 말하는 미스코리아 미용실들로, '''미스코리아 당선 소감으로 나오는 어느 어느 미용실 원장님에게 감사하고'''라는 이야기가 그냥 나온 것이 아니라는 평이 많다. 지역 대회의 경우는 정말 관련된 악명이 자자한 편으로, 원래 심각하던 지역 대회의 비리가 이젠 지상파를 타지 못하는 본대회까지 퍼졌다는 식의 이야기도 많다. 심사위원의 편파판정으로 특정 참가자를 진출시키기 위한 매수금만 억 단위라는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332|기사]]까지 있었으니... 이런 비리의 온상으로 유지가 되는 것은, 미스코리아라는 것이 아직도 소위 '스펙'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쉽게 생각하게 되는 결혼시장, 취업 관련은 물론이고, 심지어 전문대학원에서도 '''미인대회 입상은 예체능 특기자로 취급'''해서 특차입학의 조건이 된다. [[의학전문대학원]]에 들어가려고 미스코리아 지역 예선에 뇌물썼다가 돈으로 분쟁이 벌어진 [[http://v.media.daum.net/v/20110907094354616|사건]]이 2011년 경기지역에서 이미 벌어졌었다. 이 문제를 특히 열심히 뒤지는 프로그램이 [[시사매거진 2580]]으로 2010년에는 '놀랍고도 추악했던 미스코리아', 2013년에는 '돈 주고 사는 미스코리아'라는 취재로 비리가 사라질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증명했다. 2010년 당시의 관련된 [[http://neblog.com/282|블로깅]] 내용과 그 댓글들을 보면 참 답이 없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된다. [[미디어오늘]]이 2019년 5월 22일에 미스코리아 비리를 폭로하는 기사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560|‘63회 한국일보 미스코리아 대회’ 잡음 여전]]를 냈고, 한국일보 측에서 허위사실을 통해 기사를 작성했다며 6월 법원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를 냈다. 2020년 4월 23일, 한국일보 측이 일부 승소하여 미디어오늘 측이 손해배상금과 함께 기사 중 일부 부분을 삭제할 것을 명령받았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4221684338630|#]] === 사상 최초의 재심사 === 1998년 대회에서는 심사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9대의 채점용 컴퓨터를 도입했으나 1대의 채점용 컴퓨터에 이상이 생겨, 점수를 입력해 합산하는 기능에 오류가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2차 선발에 진출할 예정이었던, 4명의 후보가 점수 오류 때문에 불이익을 받아 탈락하는 어처구니 없는 대형 사고가 발생되었다. 본선 대회 종료 직후, 2차 선발에서 탈락된 당사자 4명과 그 가족들이 주최측에게 강력하게 항의하면서, 후원사이자 주관방송사인 문화방송과 미스코리아 조직위원회가 진상조사에 착수했는데, 감사 결과 기술상 문제로 특정 후보들에게만 심사위원 1명의 점수가 합산이 되지 않아서 최종 점수 채점 결과를 잘못 산정해 생방송에 내 보낸것으로 확인돼 미스코리아 조직위원회가 사상 최초로 오늘 벌어졌던 본선대회에서의 최종 선발와 수상을 모두 취소했으며, 추후 재심사를 통해 98 미스코리아를 수상자를 다시 선발하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역대 최악의 주최 사고로 인해, 문화방송은 3시간 분량의 본선대회 원본 테잎 전량을 폐기 처분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서도 뇌물 받아먹은 것이 꼬여서 이렇게 된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미리 점수를 맞춰놓은 것이 아니면 이 총점이 제대로 된 것인지 아닌지 알 수도 없거니와, 현장에서 관련인들 사이에서 욕설과 몸싸움이 벌어졌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1주일 후, 녹화방송을 통해 희대의 미스코리아 선발 컴퓨터를 이용한 재투표와 재심사가 벌어지면서, 상위 15명만을 다시 데리고 나와 심사하는 웃지 못 할 광경이 벌어졌다.[* 재심사는 세종문화회관이 아닌 MBC 공개홀에서 이루어졌는데 관객은 없이 사실상 심사위원들만 놓고 초라하게 치뤄졌다.] === 미모의 기준과 성형 수술 논란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UpHIp4dFp0)]}}}||{{{#!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N1MIuy1h7g)]}}}|| >"한국의 성형 광풍은 결국 모든 이의 얼굴을 똑같게 만들었다." 한국의 미인 선발대회 후보자들의 얼굴 사진이 국외 웹사이트에서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다… >----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130426/54729282/1|미스 코리아 후보 20명, 모두 자매?” 성형 논란]] 동아일보 2013-04-27 기사 미스코리아가 뽑혔다는 기사의 댓글에 많이 달리는 내용은 '어떻게 저런 얼굴로 미스코리아가 되었냐?', '아니, 미인대회라면서 왜 이렇게 미인들이 없어?'라는 등의 내용들이다. 즉, 미스코리아 주제에 외모가 별로라는 평으로, 원인은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의 위상이 점차 떨어짐과 동시에 지원자의 수도 적어지면서 그만큼 질적 저하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파일:V1S9ewu.png]] 최악의 경우는 [[샤크라]] 출신 이니와(본명 [[임선홍]]),[[함소원]]이 출전한 1997년 대회에서 이니와 같은 미스코리아 미에 뽑힌 [[정은주]].[* 이후 [[중앙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원광대학교]]에서 강의를 하였다.] 정은주의 경우 일반적인 미인상과는 매우 거리가 있다고 평가받는다. [[파일:external/media.santabanta.com/korea4.jpg]] 2001년 미스코리아 진 [[김민경(1981년 8월)|김민경]]은 한때 김지유라는 가명으로 배우로 활동하였으며 파스타 싸다귀로 유명해진 아침 드라마에 출연했다. 당선 당시 대구 지역 미인대회 우승자 배출의 산실 송죽미용실의 원장인 어머니의 배경으로 우승을 했다는 루머와 성형전 사진등의 인터넷을 떠돌아 안티 미스코리아 카페의 붐이 일기도 했다. 무엇보다 김민경(164cm)은 선과 미로 당선된 [[서현진(방송인)|서현진]](172cm)과 백명희(174cm)에 비해 단신인 키로 인해 더욱 논란이 일었다. ||[[파일:external/mimgnews2.naver.net/1218025809.524009_PP08080600089.jpg|width=400]]||[[파일:external/thimg.todayhumor.co.kr/2a841b93ea69b1589492038870bef609.jpg|width=400]]|| [[2008 미스코리아]] 진 [[나리(미스코리아)|나리]]와 진행자 [[박정아]]. [[파일:external/www.beautyhankook.com/9358_26258_2437.jpg]] 특히 2013년 [[미스 울산]] 지역의 진, 선, 미 당선자들은 지금까지 회자된다. 선착순으로 뽑힌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을 정도. 진, 선, 미 모두 키도 그렇고, 얼굴도 그렇고 타 후보들에 비해 현저히 수준이 떨어졌다. 화장법이 별로여서 그렇게 보였다는 의견도 있었으나,당시 입상자와 탈락한 후보들이 나란히 한 자리에 서있는 사진이 공개되자 이 말은 쏙 들어갔다. 탈락자들의 외모가 오히려 훨씬 돋보였던 것.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다음 대회인 2014년부터 부산과 통합해 대회를 치르고 있다. [youtube(DCDUWjh_kwU)] 2000년대 중후반 이후로는 많이 사라졌지만 아직까지도 몇몇 지방 지역대회에서는 1980~1990년대 스타일의 메이크업이나 사자머리 헤어스타일이 유지되는 것도 문제다. === 기타 === 게다가 대회의 인지도가 갈수록 떨어지며 정말 미스코리아에 걸맞는 출중한 미모의 소유자들은 쓸데없이 시키는 것도 많고 고생하면서 경쟁해야되는 미스코리아 대회를 외면하고, 바로 연예인 쪽으로 도전하는 경우가 많아서 양질의 참가자를 구하기도 쉽지 않아지고 있다고 한다. 유튜브, 아프리카TV 심지어는 SNS 포스트로도 얼굴을 알리기가 더 쉬운 상황이니 연예계 등용문으로서의 파워도 낮아졌고. 입상을 하고 난 이후에 각종 포털사이트에 미스코리아, 미스코리아 진 이름 등이 실검 1위 혹은 상위권을 장악한다 하더라도 거기까지... 이후에 언제 그랬냐는 듯이 실검에서 사라지면서 잊혀진다. 그만큼 예전같은 인기나 존경을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미모가 출중한 인재들의 참여 욕구를 불러일으키기가 쉽지 않다. 미코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던 이전에는 수많은 지상파 프로그램이나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것은 물론, 연예 기획사로부터 연예인 제안을 받고 연예계쪽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2006 진으로 뽑혔던 이하늬 같은 경우, 그 당시에 미코에 대한 인지도는 떨어지기는 했어도 지금보다 심하지는 않았다. 거기다 2007 미스 유니버스에서 4위를 차지한데다가 [[김태희]](이하늬 서울대 동기)와 [[박봄]] 등 연예인들과 친분이 있는 것은 물론, [[YG 엔터테인먼트|YG]]에서 가수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미 연예계로 진출하기 위한 준비를 나름대로 착실하게 진행하고 있었던 셈. --물론 본인은 연예인이 되지 않겠다고 언급했지만...--] == 녹원회 == [[http://misskoreancc.or.kr/|홈페이지]] 1987년에 설립된 미스코리아 수상자들의 모임으로 봉사단체로 이루어져 있다. 2013년엔 사단법인이 출범되면서 공익성을 더욱 강화했다. === 역대 회장 === 회원들이 직접 선거를 통해 회장을 선출한다. 사단법인 출범 전 * 초대: 이다나 (1961 선) * 2대: 김성희 (1977 진) * 3대: 임미숙 (1983 진) * 4대: 김재키 (1977 미) * 5대: 최영옥 (1984 진) * 6대: 권정주 (1990 엘칸토) 사단법인 출범 후 * 초대: 권정주 (1990 엘칸토) * 2대: 김미숙 (1994 미) * 3대: 장은진 (2000 갤러리아) * 4-5대: 이정민 (1998 미) == 관련 문서 == * [[미스코리아 비밀의 화원]] * [[춘향 선발대회]] * [[미스퀸 코리아]] * [[미스 유니버스]] * [[미스 월드]] * [[미스 인터내셔널]] * [[미스 어스]] * [[미스 USA]] [[분류:미스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