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0000 β Car [br]{{{+3 '''미아플라시두스'''}}}[br]Miaplacidus}}} || ||||<-3>{{{#!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파일:Miaplacidus.webp|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000 '''위치'''}}} || {{{#000 적경}}} || 09h 13m 11.97746s || || {{{#000 적위}}} || −69° 43′ 01.9473″ || || {{{#000 별자리}}} || [[용골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000 '''형태'''}}} || [[A형 주계열성]] || ||<-2> {{{#000 '''분광형'''}}} || A1 III || ||<-2> {{{#000 '''거리'''}}} || 113 [[광년]][br] 37 [[파섹]] || ||<-2> {{{#000 '''반지름'''}}} || 6.8 태양반경 || ||<-2> {{{#000 '''질량'''}}} || 3.5 태양질량 || ||<-2> {{{#000 '''평균 온도'''}}} || 8,886 [[켈빈|K]] || ||<|2> {{{#000 '''운동'''}}} || {{{#000 시선속도}}} || -5.2 km/s || || {{{#000 자전 속도}}} || 145 Km/h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000 '''겉보기 등급'''}}} || 1.69 || ||<-2> {{{#000 '''절대 등급'''}}} || -1.03 || ||<-2> {{{#000 '''광도'''}}} || 288 태양광도 || ||<-3> {{{#FFFFFF '''명칭'''}}} || ||<-3> β Car, 미아플라시두스, CD−69 600, FK5 348, HD 80007, HIP 45238, HR 3685, SAO 250495 || [목차] == 개요 == {{{+1 미아플라시두스/β Car}}} 미아플라시두스 또는 용골자리 베타는 [[용골자리]]의 베타성으로 지구에서 대략 113 광년 떨어져 있다. == 상세 == 미아플라시두스라는 명칭은 18세기 중반 한 천체 지도서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해당 명칭은 아랍어로 물을 뜻하는 مياه(miyāh)와 라틴어로 온화한이라는 뜻을 가진 placidus의 합성어라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겉보기등급이 1.69로 다른 별자리에선 [[알파별]]자리 먹고도 남을 정도의 밝기를 가지고 있지만, 같은 별자리에 전체 천구에서 2번째로 밝은 [[카노푸스]]가 위치해 베타별 자리를 가지게 되었다. 다만 이런 미아플라시두스도 50년간은 알파별 자리를 차지한 적은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참나무자리]] 문단을 참고 바란다. 미아플라시두스는 대략 2억 6천만의 나이를 가지고 있어 [[A형 주계열성]] 또는 A형 준거성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향후 몇억년 안에 [[적색거성]]으로 진화해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관측 == 상술했듯이 겉보기등급이 1.69이기 때문에 도심에서도 맨눈으로 보일 정도로 충분히 밝지만, 안타깝게도 [[용골자리]]의 남쪽 끝부분에 위치해 있어 한국에선 관측이 불가능하다. 흔히 [[다이아몬드 십자가]]로 알려진 십자가를 [[용골자리 세타]], [[용골자리 웁실론]], [[용골자리 오메가]]와 구성하고 있으며 이 다이아몬드 십자가는 [[남십자자리]]나 [[거짓 십자가]]보다는 덜 알려졌지만 구성 별들이 충분히 밝기에 옛날에는 가끔씩 방향을 찾는데 이용되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용골자리]] * [[A형 주계열성]]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