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이라 시리즈)] ||<-2>
{{{#fab737,#fab737 '''{{{+1 미이라 3: 황제의 무덤}}}''' (2008)[br]''The Mummy: Tomb of the Dragon Empero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미이라 3 황제의 무덤.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모험]], [[판타지]], [[액션]]}}}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롭 코헨]]}}}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프레드 고흐[br]마일스 밀러}}}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제임스 잭스[br]숀 대니얼[br][[스티븐 소머즈]][br]밥 덕세이[br]이초화[br]조제트 페로타[br]마륵 피트레[br]매튜 스투엑켄[br]서 팽글[br]사 도리스[br]이뢰}}}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브랜든 프레이저]][br][[이연걸]][br]마리아 벨로[br]존 한나[br][[양자경]][br]루크 포드[br]이사벨라 롱[br][[황추생]][br][[러셀 웡]][br][[우징]][br]리암 커닝햄[br]데이비드 칼더[br]멍광메이[br]전량}}}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사이먼 듀건}}}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엘 네그론[br]켈리 마츠모토}}}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랜디 에델만}}}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릴러티비티 미디어[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상해 필름 그룹[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북경 해피 픽처스[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필름 그룹 코퍼레이션[br]알파빌 필름[br]더 소머즈 컴퍼니[br]자이언트 스튜디오스[br]맬스 시테 듀 시네마[br]션 대니얼 컴퍼니[br]노위타 픽처스[br]인터네셔널레 필름프로덕숀 블랙버드 드리트}}}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유니버설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8년 8월 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7월 31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9 : 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2분}}} || ||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45,000,000}}}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403,449,830}}} || ||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02,491,776}}}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4,090,795명}}} || || '''국내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https://www.netflix.com/kr/title/70099790|▶]][br][[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60]]]]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CG01_NU0000011216|▶]]}}}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uphe.com/movies/the-mummy-tomb-of-the-dragon-empero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랜든 프레이저]] 주연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 이번에는 중국이 배경이며, 미이라의 모티브는 [[진시황]]의 [[병마용]]이다. 전편의 감독 스티븐 소머즈는 제작 담당이 되었고, <[[분노의 질주(영화)|분노의 질주]]>, <[[트리플 엑스]]>의 감독 롭 코헨이 메가폰을 이어받아 연출을 담당했다. == 예고편 == [youtube(ij_gIjt02IE)] == 시놉시스 == >기원전 221년, 세계를 정복하려던 [[황제(미이라 시리즈)|황제 한]]은 여사제의 저주에 묶여 미이라로 땅속에 묻힌다. >이후 2000년이 지나 상하이 박물관으로 유물 인수에 착수한 [[릭 오코넬]]과 그의 가족은 우연히 황제의 무덤을 발견하게 되고, 황제는 미이라의 힘을 이용하려는 세력의 음모에 의해 깨어나게 된다. >분노와 욕망에 사로잡힌 미이라와 그의 테라코타 군사들을 막기 위해 오코넬 가족은 다시 한번 위험한 모험을 시작하게 되는데... >---- >― 네이버 영화 소개 == 등장인물 == * [[릭 오코넬]] ([[브랜든 프레이저]] 扮) * [[에블린 카나한]] (마리아 벨로 扮) * [[알렉스 오코넬]] (루크 포드 扮) * [[조나단 카나한]] ([[존 해나(배우)|존 해나]] 扮) * [[황제(미이라 시리즈)|황제 한]] ([[이연걸]] 扮) * [[지유안]] ([[양자경]] 扮) * [[린(미이라 시리즈)|린]] (양락시 扮) * [[밍장군]] ([[러셀 웡]] 扮) * [[양장군]] ([[황추생]] 扮) * 초이 (멍광메이 扮) * 매드독 맥과이어 (리암 커닝햄 扮) * 로저 윌슨 (데이비드 칼더 扮) == 설정 == * [[진시황릉/대중매체#s-2.1|병마용]] * [[예티]]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youtube(t0aM3YhaA0g)] >(배경은 고대 중국, 한 사람이 말을 타고 세 개의 피라미드가 있는 곳으로 간다.) >Long ago, a mythic battle between good and evil played out in ancient China. The country was torn by civil war, with many kingdoms struggling for land and power. >But one king had a ruthless ambition to make himself emperor by the sword. >오래 전, 고대 중국에서 선과 악 사이의 신화적은 전투가 벌어졌다. 나라는 전쟁으로 분열되어, 많은 왕국이 영토와 권력을 두고 경쟁했다. >그중 한 왕이 무자비한 야심을 품고 황제가 되기 위해 칼을 빼들었다. 배경은 고대 중국으로 나라가 여러 개로 분열되어 전투를 벌이던 중 한 왕이 황제가 되려고 한다. 황제는 머리 셋달린 용을 상징으로 삼고 온 나라를 정복하려 한다. >The other rulers hired assassins to kill the King before he could conquer them all. >다른 나라의 통치자들은 왕이 모두 정복하기 전에 그를 죽이기 위해 암살자들을 고용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mummy-tomb-of-the-dragon-emperor, critic=31, user=3.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mummy_tomb_of_the_dragon_emperor, tomato=13, popcorn=30)] [include(틀:평가/IMDb, code=tt0859163, user=5.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mummy-tomb-of-the-dragon-emperor, user=2.2)]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19031, presse=2.8, spectateurs=2.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30573, user=2.9)]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21484, user=3.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53530, user=5.7)]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997679, user=5.7)]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8082, light=39.44)]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66569, expert=3.75,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5.6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3730, user=5.1)] [include(틀:평가/CGV, code=38395, egg=75)] [include(틀:평가/MRQE, code=the-mummy-tomb-of-the-dragon-emperor-m100005052, user=42)] [include(틀:평가/TMDB, code=1735-the-mummy-tomb-of-the-dragon-emperor, user=54)] 관객들의 평가는 그냥 눈뽕용. 그 외에는 단순한 오락 영화나 그럭저럭 볼 만한 평작으로 보며, 그나마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인디아나 존스 4편]]보다는 좀 낫다고 평했다. 다만 평론가들은 인디아나 존스 4편에는 후한 평을 내린 반면, 이쪽에는 혹평을 쏟아냈다. 수많은 평론가들이 모여서 활동하는 로튼토마토에서도 호평 비율은 13%인데, 이는 단순히 소수 인원끼리 모여서 그들만의 리그식 평론을 내린 게 아니라 170명의 평론가들을 통해 검증을 받은 것으로, 그중 좋은 평가를 내린 것은 22명 정도고, 나머지 148명의 평가는 좋지 못했다. 미이라 시리즈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여주인공 [[에블린 카나한]]을 연기한 배우가 [[레이첼 바이스]]에서 마리아 벨로로 바뀐 어색함을 극복하지 못했다.[* 레이첼 바이스가 이런저런 이유로 출연을 거부했다고 한다.] 차라리 플롯에서 에블린을 배제하는 것이 나았을 정도로 배우 교체에 대한 싱크로율뿐 아니라 존재감에서 팬층의 외면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작중 악역으로 등장하는 [[황제(미이라 시리즈)|황제]](이연걸 분)는 전작의 [[이모텝]]이나 [[스콜피온 킹]]에 비해 포스가 너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능력 자체는 불, 물, 쇠를 다루기에 이들보다 압도적으로 강하나, 정작 필요할때 쓰지 않고 주인공의 도발에 넘어가, 1대1 주먹 다툼까지 하면서 납득하기 힘든 주인공 보정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무명에 가까운 루크 포드가 분한 릭과 에블린의 아들인 [[알렉스 오코넬]]은 전작인 2편의 꼬마에서 대학생으로 급성장하며 내러티브를 무너뜨렸는데, 아버지 역할인 릭에 비등한 비주얼로 몰입을 방해한데다가, 이처럼 설득력이 떨어지는 알렉스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 스토리의 균형을 더욱 붕괴시켰다는 평가였다. 연출에서 어드벤처 액션 블록버스터의 범작 수준인 이 작품은 작위적인 캐스팅과 산만한 스토리가 완성도를 끌어내렸다고 할 수 있다. 작중의 무대인 [[진시황릉]]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실망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크기가 줄어들었으나, 지금도 작은 산이라고 할 정도로 큰 봉분이 진시황릉인데, 이 작품에서는 봉분도 안 보이는 데다가, 무덤이 엉뚱하게도 사막 한가운데에 있다. 무덤 내부에는 기록에 나오는 수은이 흐르는 강, 전국의 산하를 재현한 모형, 지하 궁궐, 꺼지지 않는 인어로 만든 등불, 보물과 보석으로 만든 천문도도 없어 허전하다. 고증도 엉망인 게, 프롤로그를 보면 기원후 [[서하]]의 왕릉군이 나오는데 진시황이 통치하던 시기는 기원전 3세기 초 전국시대 말이다. 함께 황제와 동참하는 군벌은 병영 규모가 수십 미터, 장군과 함께 거느린 사병은 100명 정도로 빈약하다. 그리고 노예들을 동원해서 건설하는 만리장성이 보여질 때, 흔히 알려진 벽돌로 지어진 웅장한 모습으로 나오는데, 현재와 같이 벽돌 형태로 지어진 건 명나라 대에 와서 지어진 것이고, 진나라 대에는 흙으로 지었으며 높이도 높지 않았다. 또 진시황릉을 보면, 황제의 관이 실려 있는 청동 수레 옆에 순장된 후궁이 열댓 명에 불과한데, 시황제가 수도 함양과 전국에 크고 작은 궁궐을 만들고 궁중에 여인들을 둔 것을 보면, 후궁은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명은 되어야 한다. == 흥행 == 비평가에게도 관객에게도 호평을 받지는 못했으나, 의외로 흥행에는 성공했다. 제작비는 1억 4500만 달러인데, 북미 시장에서는 성적이 좋지 못했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괜찮은 성적을 거두어서, 전 세계에서 극장 흥행만으로도 4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케팅 비용을 생각하면, 극장수익만으로는 아쉽게 손익분기점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2차 3차 시장에서 수익을 냄으로 결과적으로 흥행에 실패하지는 않았다. 참고로 북미를 제외하면, 한국 시장에서의 흥행 성적이 가장 좋았는데, 시리즈 대대로 흥행한 전통을 이어받아 1330만 달러를 벌어들이고, 2008년도 외화 흥행 5위를 차지하였다. == 기타 == * 작중 [[에블린 카나한]]을 맡은 배우가 바뀐 것을 재치 있게 설명하고 싶었는지, 초반에 마리아 벨로가 자신의 소설[* 미이라 1, 2편의 스토리랑 똑같다. 일종의 극중극.] 낭독회에 갔을 때, 한 독자가 그 소설들의 모델이 작가 본인이 아니냐고 묻자, "1, 2편의 여주인공은 제가 아니랍니다."라고 말한다. * 배경 연도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1949년 사이임에도 [[양장군]]의 진영에서 [[황제(미이라 시리즈)|황제]]가 보는 지도를 보면, 한반도에 일령조선[* 일본령 조선. 즉, [[일제강점기]]]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작중 시점이 [[대한민국]]이 건국된 이후인 1949년 9월 또는 그 이후일수도 있음에도 대한민국과 북한이 아닌 조선으로 표기된 셈. * 1편과 2편, 그리고 3편 개봉 이전에 나온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이집트를 배경으로 다뤘기에, 3편에서 또 이집트를 배경으로 할 경우 식상해져서 소재 고갈 염려가 있었지만, 이 영화로 인해 이집트 외 국가도 작중 배경으로 나올 수 있고, 해당 국가의 신화 및 전설 요소를 중심 소재로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시리즈에 새로운 소재를 제시했기에 긍정적으로 보는 의견들도 있다. 실제로 영화 마지막에 [[페루]]에서 미이라가 발견됐다는 자막을 후속작 떡밥이라고 보는 팬들도 있고, 네번째 영화의 배경이 아즈텍이었다는 루머도 돌았다.[* the mummy 4 rise of the aztec]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미이라 시리즈, version=445)] [[분류:미이라 시리즈]][[분류:2008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