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蜜柑 (밀감) || || [[히라가나]] || みかん || || [[외래어 표기법/일본어|국립국어원 표준 표기법]] || 미칸 || || 통용 표기 || 미칸, 미캉 || || 최영애-김용옥 일본어 표기법 || 미칸 || || 백괴사전 표기법 || 미칸/미캉[* ん은 원칙적으로 ㄴ으로 쓰지만, みかん(蜜柑) 등의 일부 예외를 인정한다.] || || 로마자 표기 || mikan || [목차] == [[귤]]을 뜻하는 [[일본어]] == みかん. 제주도에서 미캉이라는 표현은 꽤 현대에 들어온 것인데, [[중국]]의 개량 [[귤]]인 온주밀감(溫州蜜柑) 품종이 [[일본]]을 거쳐 [[제주도]]로 들어오면서 '미깡'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실제로도 발음은 미깡이다. 아주 나이든 어르신은 일본에서 들여온 큼직큼직한 품종은 '미깡'이라고 부르고, 옛날의 조그마한 귤들은 '줄([[구개음화]])/귤'이라고 부른다. 현재 제주땅에 있는 대부분의 귤은 '미깡'이라고 보면 된다. 제주도에서 '귤'의 파생어는 '벤줄, 펭귤, 벵줄(조그만 병모양의 귤), 귤낭, 줄남(귤나무)'등으로 남아 있다. 병귤은 1653년 <탐라지>에 '別橘(별귤)'로 나타나며, 병귤은 현재 제주의 토종 귤로 품종이 등록되었다. 이 병모양의 '벵귤'을 '벵미깡'이라고 부르지 않는다는 것이 '미캉'을 현대에 들여왔다는 증거다. 일반적으로 [[ん]]은 국내에서 ㄴ받침로 표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사실 か(ka), が(ga) 행 앞에서는 ん이 ㅇ 받침과 비슷한 발음이 나게 된다. [[온천|온센]]처럼 ん뒤에 ㄷ,ㅌ,ㅅ,ㅈ,ㅊ 계열 발음이 붙는 경우는 확실히 ㄴ발음으로 나지만 뒤에 아무 글자도 안 오는 경우는 구개수 비음이나 비모음으로 발음이 명확하게 들리게 되고 한국인들은 이를 받침ㅇ처럼 듣는다. 때문에 국내에선 미'''깡'''이란 표기가 '미칸'보다 훨씬 범용적으로 쓰인다. 이는 [[쨩]]이나 [[팡(드래곤볼)|팡]]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런 단어들은 ん이 ㅇ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일반적. == 매체에서 == [[샤먼킹]]의 그 악명높은 결말에선 미캉과 미완의 발음이 같은걸 이용한 농담이 있었으나 (귤이 그려져있다.) 워낙 프린세스 하오에 분노해 작가의 메시지를 알아챈 사람이 많지 않았다. [[모닝구 무스메]]의 싱글 [[みかん]]도 이런 언어유희를 이용, 뮤직비디오 배경으로 대형 귤 CG가 나온다. == [[동명이인]] == * [[길모퉁이 마족]]의 등장인물 [[히나츠키 미캉]] * [[다!다!다!]]의 등장인물 [[야마무라 미캉]] * 라이징 라이딘의 등장인물 라이고 미캉 * [[란스 시리즈]]의 견습 [[레벨 신|레벨 신 미캉]] * [[레이디×버틀러!]]의 [[미캉(레이디X버틀러!)|미캉]] * [[렌탈 마법사]]의 등장인물 [[카츠라기 미캉]] * [[사실 나는]] - [[아케미 미캉]] * [[슈퍼 단간론파 2 -안녕히 절망학원-]]의 등장인물 [[츠미키 미캉]] * [[아따맘마]]의 등장인물 [[타치바나 미캉]] * [[에어기어]] - [[노야마노 미캉]] * [[투 러브 트러블]]의 등장인물 [[유우키 미캉]]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등장인물 [[규리(포켓몬스터)|규리]]의 일본명 * [[포테마요]]의 [[나츠 미캉]] * [[프리파라]]의 [[시라타마 미캉]] * [[하이후리]]의 이라코 미캉 * [[학원 앨리스]]의 등장인물 [[사쿠라 미캉]] == [[크리에이터]] == * 일본인 크리에이터 [[MIKAN]] * 한국인 트위치 스트리머 [[김보나|미깡]] [[분류:동음이의어]][[분류:동명이인]][[분류:이름/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