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미크로케라투스}}}[br]Microceratus}}}''' || ||<-2> [[파일:microcera_web.jpg|width=100%]] || ||<#F93> '''학명''' || ''' ''Microceratus gobiensis'' '''[br]Bohlin, 1953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각룡류|각룡하목]]^^Ceratopsi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신각룡류^^Neoceratopsia^^||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미크로케라투스속^^''Microcerat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미크로케라투스 고비엔시스(''M. gobiensis'')^^{{{-1 [[모식종]]}}}^^|| [[파일:external/www.geocities.co.jp/mikurokeratopusu.jpg|width=500]] 복원도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백악기]] 후기 [[아시아]] 지역에 서식했던 [[각룡류]] [[공룡]]. 속명은 [[그리스어]]로 작다는 뜻을 가진 단어 '미크로스(μῑκρός, mīkrós)'와 뿔이 달린 것을 의미하는 '케라토스(κερατος, keratos)'를 합쳐 만든 '작은 뿔이 달린 것'이라는 뜻이다. == 연구사 == 이 녀석의 화석 자료는 1927년부터 1931년까지 [[중국]]과 [[스웨덴]]의 고생물학자들이 중국 [[간쑤성]] 일대에서 공동 탐사를 진행하던 중 민허(民和) 층(Minhe Formation)에서 어린 개체의 두개골 일부와 이빨 등으로 이루어진 모식표본이 발굴된 것이 최초로, 이후 1953년 학계에 처음 소개되었는데 당시 부여받은 속명은 '작은 뿔 달린 얼굴'이라는 뜻의 미크로케라톱스(''Microceratops'')였다. 그러나 이 녀석이 명명된 시점보다 1년 앞선 1952년경에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어느 뾰족맵시벌과(Cryptinae) [[https://science.mnhn.fr/institution/mnhn/collection/ey/item/ey10841|곤충]]에게 해당 속명이 이미 부여되었음이 밝혀졌고,[* 다만 1979년 로버트 칼슨(Robert Carlson)이라는 학자가 이 녀석을 네오핌플라속(''Neopimpla'')의 덴티프론스종(''N. dentifrons'')으로 재동정함에 따라 현재 일부 학자들은 해당 속명을 네오핌플라속의 동물이명 중 하나로 취급하고 있다.] 결국 2008년부로 뜻은 그대로지만 철자와 형태가 다소 달라진 지금과 같은 이름으로 재명명되었다.[* [[안키사우루스]]나 [[캄프토사우루스]] 등이 이와 비슷한 케이스다.] 모식표본의 골격 보존률이 그리 좋은 편이라고는 할 수 없는 수준인데다 현재까지 확보된 화석 표본의 갯수 또한 두어 점에 불과한 수준이라 몸길이가 대략 60cm 정도로 각룡류 중에서는 독보적으로 작은 몸집을 가졌다는 것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정보가 아직 베일에 싸여있는 상태다.[* 1975년 [[몽골]] 남부 [[몽골/행정구역#s-2.14|으므느고비]] 지역의 시러긴가순층(Shiregin Gashun Formation)에서 골격 보존률이 꽤나 양호한 상태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화석이 한때 이 녀석의 것으로 여겨진 적이 있었으나, 해당 표본이 2000년부로 그라킬리케라톱스(''Graciliceratops'')라는 별도의 속으로 독립해나가면서 도로아미타불이 되어버렸다.] 원래는 모식종인 고비엔시스종(''M. gobiensis'') 외에도 신민바오(新民堡) 층군(Xinminbao Group)에서 발굴된 이빨과 사지뼈 일부 등을 토대로 모식종과 같은 시점에 명명된 술키덴스종(''M. sulcidens'')이 있었으나, 발견 장소가 다르다는 점 정도를 제외하면 별도의 종으로 분류할 만한 해부학적 특징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모식종의 동물이명으로 보는 관점이 일반적이어서 현재로써는 모식종 외 다른 종을 통한 분석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프시타코사우루스]]나 [[인롱]] 같은 비교적 원시적이라고 여겨지는 각룡류들과 마찬가지로 주둥이 끝에 케라틴질의 뾰족한 부리가 달렸고 두개골 가장자리에 작은 프릴이 돋아나있지만 뿔은 없었을 것이며,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짧아서 민첩하게 움직여야 할 경우에는 이족보행을 했을 것으로 추정하는 선에 머무르고 있다. 이 녀석을 독자적인 속으로 분류하는 근거로 제시된 해부학적 형질은 [[프로토케라톱스]] 등에 비해 이빨의 굴곡이 덜 두드러진다는 점 정도인데, 일부 학자들은 해당 차이점이 단순한 개체 차이 또는 성장 단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음을 지적하면서 추가적인 화석 자료가 발견되지 않는 이상 이 녀석을 의문명으로 취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등장 매체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Microceratops.jpg|width=500]] 2000년 개봉한 [[디즈니]]의 [[다이너소어]]에서 조연으로 출연한 여러 초식공룡들 중 하나인데, 제작 시점이 시점인지라 미크로케라톱스라는 옛 이름으로 나온다. 모래바람 속에서 대이동 중이던 초식공룡 무리와 맞닥뜨린 뒤 잠시 한눈을 판 사이에 [[파키리노사우루스]]에게 들이받혀 쓰러진 알라다의 몸 위를 타넘는 모습으로 처음 등장하는데, 이 장면을 보면 [[여우원숭이]]들과 대충 비슷한 정도의 작은 몸집으로 묘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도 [[브라키오사우루스]]인 베일린이 휴식을 위해 걸음을 옮길 때 행여 이 녀석들을 밟아 죽이기라도 할까봐 조심하는 모습이라든가, 알라다 일행이 찾아낸 물웅덩이에서 목을 축이러 달려온 두 마리가 크론의 고갯짓 두어 번에 맥없이 튕겨나가버리는 장면이 나오는 등 작중 포지션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그냥 여러 엑스트라급 초식공룡 중 "작은 녀석들" 그 자체. 원래는 알라다가 쉴 자리를 얻으려고 기웃거릴 때 미크로케라투스 한 마리가 알라다의 뒷다리를 공격하는 등 나름 성깔을 보여주는 모습도 나올 예정이었지만 해당 장면이 삭제되면서 극중 비중이 더욱 공기화되었다고 한다. 소설 [[쥬라기 공원]]과 이를 토대로 한 영화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도 꾸준히 이름이 거론된 초식공룡들 중 하나다. 소설의 경우 발간 시점이 꽤나 옛날이기 때문에 미크로케라톱스라는 구식 학명으로 등장하며, 직접 모습을 드러낸 것은 쥬라기 공원 시점에서 [[앨런 그랜트]] 일행이 배를 타고 강을 따라 이동하던 중 [[렉스 머피]]가 강가에서 베리류를 먹고 있던 한 무리의 미크로케라톱스들을 발견하는 장면 정도다. [[파일:4A5635C2-5F8C-48BD-8880-024A62CA4338.png|width=600]] 영화의 경우 이 녀석의 존재가 처음 언급된 것은 2015년 개봉한 [[쥬라기 월드]]로, 당초에는 새끼 [[트리케라톱스(쥬라기 공원 시리즈)|트리케라톱스]] 등을 직접 만져볼 수 있는 '젠틀 자이언츠 펫팅 주(Gentle Giants Petting Zoo)' 시설에 전시된 공룡 중 하나로 출연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실제로 [[http://goseetalk.com/wp-content/uploads/2014/07/JW-Brochure-1.jpg|관람객 팸플릿 리스트]]나 [[http://www.followingthenerd.com/site/wp-content/uploads/jw-size-chart1.jpg|크기 비교도]], 공원 중심부에 위치한 [[쥬라기 월드(시설)#s-2|삼성 이노베이션 센터]]에 마련된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jurassicpark/images/e/e2/Kids-touching-screen.jpg/revision/latest?cb=20150202235353|홀로스케이프]] 등에서 이름과 함께 실루엣이 제시되었고[* 팸플릿 리스트의 경우 위에서 여덟번째, 크기 비교도의 경우 맨 오른쪽, 그리고 홀로스케이프의 경우 오른쪽에 자리잡은 세 겹의 동심원 중 가장 안쪽의 맨 위 아이콘이 미크로케라투스의 것이다.] [[http://www.jurassicworld.com/sites/default/files/2016-10/Microceratus_header.jpg|컨셉아트]]도 제작되었으나, 아쉽게도 실제 영화 출연은 불발되었다. 후속작인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개봉 당시 [[이슬라 누블라]]의 공룡 서식 현황을 정리한 [[http://www.dinosaurprotectiongroup.com/images/posters/cruelty.jpg|홍보물]]에도 아직 멸종하지 않고 생존해있는 공룡 중 하나로 언급되지만, 시보산이 분화할 때 공룡들이 도망치는 장면이나 록우드 저택에서의 경매 및 공룡들의 대탈출 장면에서도 무슨 이유에선지 전혀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너무 작아서라고 하기엔 [[콤프소그나투스(쥬라기 공원 시리즈)|콤프소그나투스]]는 잘만 등장했는데 왜죠-- 이후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에서의 출현이 확정되면서 구조된 것으로 판명났다. [[https://jurassicpark.fandom.com/f/p/4400000000000051183|애니매트로닉스도 공개되었다.]] [[미국 애니메이션]] [[공룡시대]]의 TV판 에피소드 중 하나인 'Stranger from the Mysterious Above'에서 주요 악역으로 등장하는데, 동굴 속에서 작은 포유류들의 먹이를 빼앗는 등 나쁜 행동을 일삼다가 주인공 일행에 의해 퇴치된다. 모바일 게임 [[다이노 로봇 시리즈]]에 등장하는 세력 중 하나인 기계군단 진영의 로봇들 중에 이 녀석에게서 모티브를 따온 녀석이 있다. [[분류:신각룡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