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구 관련 인물(NPB)]]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77년 출생]] [[분류:스미노에구 출신 인물]] [[분류:일본의 야구감독]] [[분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은퇴, 이적]] [include(틀: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간략(코칭스태프))] ||||<#900><:>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No.88}}} || ||||<#600><:> {{{#ffcc00 미키 하지메 (三木肇)}}} || ||<:> '''생년월일''' || [[1977년]] [[4월 25일]] ([age(1977-04-25)]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 [[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노에구]] || || '''학력''' || 우에노미야 학원 고등학교 || ||<:> '''포지션''' || 내야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1995년 드래프트 1순위 || ||<:> '''소속팀'''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996~2007)[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08) || || '''지도자'''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군 내야수비·주루코치 (2009~2011) [br]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내야수비코치 (2012~2013)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군 내야수비·주루코치 (2014)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군 작전·내야수비·주루코치 (2015)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군 수석·내야수비코치 (2016)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군 수석코치 (2017)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군 총괄코치 (2018) [br]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 감독 (2019) [br]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감독 (2020) [br]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 감독 (2021~) || ||||||||||<#900>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역대 감독'''}}} |||||||| ||<:> [[히라이시 요스케]] [br] (2018.6.17.~[* 2018년 시즌은 감독대행]2019) || → ||<:><#600> '''{{{#ffcc00 미키 하지메}}}'''[br]'''{{{#ffcc00 (2020)}}}''' || → ||<:> [[이시이 카즈히사]] [br] (2021~) || [목차] == 소개 == 일본의 프로야구 전 선수, 현 지도자. 2020년부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감독을 맡는다. == 선수 시절 == 우에노미야 학원고를 졸업하고 1995년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야쿠르트에 입단했다. 11년동안 야쿠르트에 있었으나 활약은 극히 미미했으며, 2008년에 닛폰햄에서 은퇴하였다. 통산 12시즌 359경기 출장 59안타 2홈런 14타점 타율 0.195. == 지도자 시절 == 은퇴 후 닛폰햄과 야쿠르트에서 코치로 일했으며, 2019년에 라쿠텐 2군 감독을 맡았다. 2019년 시즌을 끝으로 [[히라이시 요스케]] 감독이 자진사퇴하자 후임 자리에 앉게 되었다. 2018년 60개였던 2군 도루개수가 2019년 미키 하지메 감독이 부임하면서 99개로 늘어난 것으로 보았을 때 미키 하지메가 감독에 부임하게 된 이유로는 [[이시이 카즈히사]] 라쿠텐 GM이 "혁신"을 이야기하며 팀의 체질개선을 주장함에 있어 2019년 48개로 닛폰햄과 같이 리그 최하위 도루개수를 기록하며 1,2점차에서 패배가 많았던 라쿠텐에게 가장 아쉬웠던 기동력부분의 발전을 이끌 재목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20년 시즌을 4위로 마감했고 GM이었던 [[이시이 카즈히사]]가 감독직을 맡게 됨에 따라 2군 감독으로 복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