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봉준호 감독 연출 작품)] ||
'''{{{+1 {{{#fff 미국 개봉일까지}}}}}}''' || {{{+5 {{{#fff '''D[dday(2024-03-29)]'''}}}}}} || ||<-2> '''{{{+1 미키17}}}''' (2024)[br]Mickey 17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jPp_CeaYAIYQWx.jpg_large.jpg|width=100%]]}}} || ||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 || '''감독''' ||<|2>[[봉준호]] || || '''각본''' || || '''각색''' || || || '''제작''' ||봉준호, 최두호[* [[한국영화아카데미]] 15기 출신의 프로듀서로, 봉준호 감독의 전작인〈[[설국열차(영화)|설국열차]]〉와 〈[[옥자(영화)|옥자]]〉의 제작에도 참여했다. 참고로 봉준호는 한국영화아카데미 11기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때부터 이미 알고 지낸 사이다.], [[브래드 피트]] 등 || || '''원작''' ||에드워드 애슈턴 - 소설 《[[미키7]]》[* 출판사 [[황금가지(출판사)|황금가지]]에서 7월 25일 출간되었다.] || || '''출연''' ||[[로버트 패틴슨]] 外 || || '''촬영''' ||[[다리우스 콘지]] || || '''편집''' ||양진모[* 영화 〈[[뷰티 인사이드]]〉, 〈[[부산행]]〉, 〈[[밀정(영화)|밀정]]〉, 〈[[럭키(영화)|럭키]]〉, 〈[[옥자(영화)|옥자]]〉, 〈[[1987(영화)|1987]]〉, 〈[[독전]]〉, 〈[[기생충(영화)|기생충]]〉, 〈[[콜(영화)|콜]]〉, 〈[[인생은 아름다워(2022)|인생은 아름다워]]〉 등의 편집감독이다.] || || '''음악''' ||[[정재일]][* 봉준호 감독과 〈[[옥자(영화)|옥자]]〉, 〈[[기생충(영화)|기생충]]〉에서 호흡을 맞추었다.]|| || '''미술''' ||피오나 크롬비[* 영화 〈[[맥베스(영화)|맥베스]]〉,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더 킹: 헨리 5세]]〉, 〈[[크루엘라]]〉 등의 미술감독이다.] || || '''의상''' ||캐서린 조지 || || '''조명''' || || || '''제작사''' ||오프스크린[br]케이트 스트리트 픽쳐스[br][[플랜B#영화사|플랜 B 엔터테인먼트]]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워너 브라더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스트리밍''' || || || '''촬영 기간''' ||[[2022년]] [[8월 3일]] ~ [[2022년]] [[12월]]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024년]] [[3월 29일]] (예정)[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24년]] [[3월]] (예정) || || '''화면비''' || || || '''상영 타입''' || || || '''상영 시간''' ||136분 (2시간 16분) || || '''제작비''' ||'''1억 5,00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봉준호]] 감독의 8번째 장편 영화. 〈[[괴물(한국 영화)|괴물]]〉, 〈[[설국열차(영화)|설국열차]]〉, 〈[[옥자(영화)|옥자]]〉에 이은 봉준호의 4번째 SF 영화이자 첫 [[우주]] 영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작가 에드워드 애슈턴[* 양적 MRI 등 영상과학 분야를 공부하면서 대학에서 양자물리학을 가르치는 교수이기도 하다.]이 자신이 쓴 복제인간을 소재로 한 SF 소설 《[[미키7]]》의 원고를 [[봉준호]] 감독에게 선물했고[* [[https://www.space.com/edward-ashton-novel-mickey7-interview|인터뷰]]에 따르면 2019년 말 초고를 완성한 상태였는데 출판사 측이 먼저 미국 내 판권을 판매하기도 전에 브래드 피트의 제작사인 플랜B가 원고를 옵션 계약(영화화 우선권을 갖는 계약)으로 가져갔다고 한다. 이후 2021년에 작가와 봉준호 감독과 통화를 하며 봉준호 감독이 이 소설에 흥미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봉준호]] 감독은 이를 읽고 소설 출판 전부터 각색 작업에 돌입했다고 한다.[* 때문에 봉준호 감독이 차기작 관련 인터뷰 도중 '아직 출판되지 않은 원고를 가지고 미국 영화를 만들 건데 영화 제작 전에 소설이 나올 것이다.'라는 식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 개봉 전 정보 == * [[워너 브라더스]]가 전 세계 배급을 맡았으며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가 국내 배급한다. * '''제작비는 1억 5천만 달러로 알려져, 봉준호 감독의 연출작 중 최고로 많은 제작비가 투입되었다.''' 과거 연출작의 경우 [[설국열차(영화)|설국열차]]가 4000만 달러[* 역대 한국 영화 중 제작비 순위 1위로, 한국 자본이 투자한 영화 중에서는 역대급으로 높은 금액이다.], [[옥자(영화)|옥자]]가 6000만 달러[* 넷플릭스 투자] 수준으로, 보통 1억 달러 이상의 제작비가 들어가는 할리우드 영화에 비교하면 저예산 영화 수준이었다. 그에 비하면 본작의 1억 5천만 달러는 매우 상승한 금액이며, 특히 2023년 개봉한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의 제작비 1억 달러, [[바비(영화)|바비]]의 제작비 1억 4500만 달러보다도 높아 기대를 모았다. * 2021년 [[하반기]]부터 캐스팅을 진행하였으며, 2022년 8월[* [[https://twitter.com/robpattinsonww/status/1545913460973772806|로버트 패틴슨의 스케줄]]로는 8월 23일 촬영이 시작된다고 한다.]부터 영국 리브스덴 스튜디오[* 25만평 규모의 초대형 스튜디오로, 대규모의 세트장 건설이 필요한 영화 제작에 적합한 스튜디오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서 촬영된 영화들 대부분 1억 달러 이상의 제작비가 투입되었다. [[https://extmovie.com/movietalk/80474813|#]]]에서 촬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22년]] [[12월 6일]] 공개된 첫 티저 예고편에 따르면 영화 제목이 원작 소설의 《[[미키7]]》이 아닌 〈미키17〉이며, 2024년 3월 29일에 미국에서 개봉한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KCvK270F_IE)]}}} || || {{{#ffffff '''티저 예고편'''}}} || 배경 음악은 레이 첸이 연주한 [[주세페 타르티니]]의 '악마의 트릴' 소나타 - 3악장: Allegro Assai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j_ZtxDfdWEk|#]]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 '''미키 반스''' ([[로버트 패틴슨]][* 헐리우드의 여러 30대 A급 배우들을 상대로 오디션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봉준호]] 감독이 [[로버트 패틴슨]]과의 미팅 후에 바로 그 자리에서 캐스팅을 결정했다고 한다. "(로버트 패틴슨은) 주인공 역에 완벽하다"라고 봉준호 감독이 평했다는 후문.]) * '''나샤 에쟈야''' (나오미 애키[* [[넷플릭스]] 시리즈 〈[[빌어먹을 세상 따위|빌어먹을 세상 따위 시즌2]]〉, 영화 〈레이디 멕베스〉에 출연한 배우.]) * '''그웬 조핸슨''' ([[토니 콜렛]]) * '''히에로니무스 마샬''' ([[마크 러팔로]]) * '''베르토 고메즈''' ([[스티븐 연]]) * '''?''' (홀리데이 그레인저[* 영국 멘체스터 출신의 1988년생 배우. 영화보다는 TV드라마 쪽의 경력이 많다.[[https://m.imdb.com/name/nm0334441/|IMDB]]])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IMDb=, IMDb_user=, ##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 레터박스=, 레터박스_user=,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 Filmarks=, Filmarks_user=, ## Filmarks_highlight=display, ## 도우반=, 도우반_user=,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 야후키모_highlight=display, ## 왓챠=, 왓챠_user=, ## 왓챠_highlight=display, ## 키노라이츠=,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다음영화_highlight=display, ## CGV=, CGV_egg=, ## CGV_highlight=display,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 TMDB=, TMDB_user=,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 == 흥행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 관객 수 -명 / 누적 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기타 == * 소설은 인류 문명이 우주로 뻗어나가는 [[디아스포라]]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즉 인류가 하나의 행성에서 다른 행성으로 개척단을 보내고, 그 개척단이 그곳을 테라포밍하여 인류의 새로운 개척지로 만드는 과정 중에 위험한 임무를 대신하는 복제인간을 소재로 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이야기가 게임 [[시드 마이어의 문명]]과 유사한 부분이 있는데, 소설의 첫머리에도 아내가 문명을 못 하게 하는 바람에 이 모든 일이 일어났다는 헌사까지 있다. 저자는 이미 너드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문명 5]]를 그만두지 않으면 아내가 자신과 이혼하거나 죽이거나 아니면 둘 다 해버릴 거라고 엄포를 놓는 바람에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고 할 만큼 시드 마이어의 문명의 마니아로 보인다. [[https://thenerddaily.com/edward-ashton-author-interview/|#]] * 원작의 제목 <미키7>은 죽은 전임자의 기억을 갖고 복제된 7번째 미키라는 뜻인데, 이 때문에 영화의 제목이 <미키17>로 바뀐 것을 두고 영화판에서는 미키를 10번 더 죽이는 거냐는 반응이 나왔다. * 〈기생충〉의 성공 덕에 제작비가 무려 1억 5천만 달러, 한화 2천억 원 정도 된다. 보통의 한국 텐트폴 영화 제작비가 250억 원 내외임을 감안하면, 여름 방학 시즌을 겨냥한 대작 영화 8편을 만들 정도의 엄청난 예산. 물론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치고는 평균적인 수준이다. 그래서 영화 팬들은 드디어 한국 감독이 연출하는 블록버스터를 볼 수 있다며, 봉준호 감독의 기존 영화와는 다른 스케일을 기대 중이다. * 봉준호의 장편 연출 영화 중에서 유일하게 협업 없이 본인이 단독으로 각본을 집필했다. 봉준호는 영화 제작에서의 가장 힘든 과정이자 창작자로서 가장 고된 작업은 각본 집필이라고 누누이 말해왔고, 원작이 존재하는 〈살인의 추억〉과 〈설국열차〉에서도 협업 작가와 각본 집필을 함께했던 것을 감안하면 봉준호의 단독 각본 집필은 매우 이례적인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외국어 영화인 만큼 봉준호가 한국어로 작성한 각본을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 주연 배우 [[로버트 패틴슨]]은 촬영 기간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미키17〉는 이전에 본 적 없는 완전히 새로운 영화다.", "대사량이 너무 많다."라고 밝혔다. 하루에 커피를 17잔씩 마시면서 일하느라 매우 피곤하고 유령이라도 볼 것 같은 몰골이 되었다고 한다. 빡빡한 일정을 소화하면서도 항상 미래에 대한 걱정 때문에 제대로 쉴 수가 없다고. 이런 성격은 유전적인 것으로, 그의 아버지도 휴일을 잘 즐기지 못하는 분이었다고 덧붙였다.[[https://www.standard.co.uk/esmagazine/robert-pattinson-dior-bong-joonho-twilight-potato-diet-b1053685.html|#]] * 같은 배급사 영화인 [[듄: 파트 2]]가 [[2023년 미국작가조합 파업]]으로 2024년 3월 15일 개봉으로 미뤄지면서 미키17도 개봉일에 변화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분류:봉준호/작품]][[분류:워너 브라더스]][[분류:2024년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브래드 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