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로마 제국의 황제, rd1=미하일 1세 랑가베스)] [include(틀:역대 루스 차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f6f00, #f28d00 20%, #f28d00 80%, #bf6f00)" '''[[루스 차르국|{{{#fff 루스 차르국 로마노프 왕조 초대 차르}}}]][br]{{{+1 미하일 1세}}}[br]Михаи́л 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ichael-I-Romanov-Wedekind.jpg|width=100%]]}}} || ||<|2> '''출생''' ||[[1596년]] [[7월 22일]] || ||[[루스 차르국]] [[모스크바]] || ||<|2> '''사망''' ||[[1645년]] [[7월 23일]] (향년 49세) || ||[[루스 차르국]] [[모스크바]] || || '''묘소''' ||대천사 성당 || ||<|2> '''재위기간''' ||루스 차르 || ||[[1613년]] [[2월 21일]] ~ [[1645년]] [[7월 23일]]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미하일 1세 서명.svg|height=75]]}}}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문''' ||[[로마노프 가문]] || || '''이름''' ||미하일 표도로비치 로마노프[br](Михаи́л Фёдорович Рома́нов) || || '''아버지''' ||[[필라레트(모스크바)|표도르 니키티치 로마노프]] || || '''어머니''' ||크세니야 이바노브나 셰스토바 || || '''형제자매''' ||타티아나 || ||<|2> '''배우자''' ||마리아 블라디미로브나 돌고루코바 ,,(1624년 결혼 / 1625년 사망),, || ||예브도키야 루캬노바 스트레시네바 ,,(1626년 결혼),, || || '''자녀''' ||[[이리나 미하일로브나 로마노바|이리나]], 펠라기아,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알렉세이]], 안나, 마르파, 이반, 소피아, 타티아나, 예브도키야, 바실리 || || '''종교''' ||[[러시아 정교회]] ||}}}}}}}}} || [목차] [clearfix] == 개요 == [[루스 차르국]]의 [[차르]]. [[러시아 제국]]까지 이어지는 [[로마노프 왕조]]의 개창자로, [[표트르 대제]]의 할아버지이다. 현재 [[러시아]] 영토의 80%정도를 완성시킨 [[차르]]이며 [[알렉세이 1세|아들]]과 [[표트르 1세|손자]]도 영토확장을 많이 했다. == 생애 == [[이반 4세]] 사후 [[동란 시대]]를 거쳐 젬스키 소보르(전국 회의)에서 [[루스 차르국]]의 새 [[차르]]를 선출했는데, 그는 공포의 [[이반 4세]]의 첫 번째 황후였던 [[아나스타샤 로마노브나]]의 오빠인 '니키타 로마노프'의 손자였다. 겨우 16살의 어린 나이로 즉위했으며 [[보리스 고두노프]] 시절 때 수녀되기를 강요당했던 어머니를 따라 수도원에 살았던지라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해서 주변 친척들이 대부분 정치를 담당했다. 시작 배경이 이러다 보니 손자, [[표트르 1세]]의 시절까지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들은 대 보야르, 정교회의 집중 견제를 받아 왕권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었다. 즉위 초 정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와 정전 협정을 맺었으나 그 대가로 [[발트해]]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출구인 [[잉그리아]]를 할양했으며 덤으로 [[카렐리야]] 일부 지역까지 할양했다. 또한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지그문트 3세 바사]]와도 데울리노 휴전협정을 맺어 [[스몰렌스크]] 등을 양도했다. 또한 폴란드에서 인질 생활을 하다가 풀려단 미하일의 아버지인 총대주교 필라렛이 귀환함에 따라 사실상 총대주교가 군주로서 국가를 통치했다. 1619년부터는 [[정교회]] [[수도자]]였다가 [[폴란드]]로 잡혀갔던 그의 부친 '표도르 니키티치 로마노프'가 귀국하여 모스크바 총대주교가 되었고 동시에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1633년 아버지가 죽은 이후 다시 단독 통치자가 되었으나 심약하여 외척들이 정권을 장악했다. 지그문트 3세가 죽자 즉위 초 빼앗겼던 스몰렌스크를 되찾기 위해 폴란드-리투아니아에 선전포고를 감행했으나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에게 탈탈 털리며 폴란드-리투아니아에 넘어간 영토 할양을 최종 인정하고 루스 차르국의 무능함만 드러내는 굴욕을 당했다. [각주] [[분류:1596년 출생]][[분류:1645년 사망]][[분류:루스 차르]][[분류:로마노프 가문]][[분류:모스크바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