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미합중국 유럽사령부)]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 [[파일:800px-USAREUR_Insignia.svg.png|width=200px]] [목차] == 개요 == United States Army Europe and Africa, 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육군사령부는 미국 육군의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을 담당하는 근무구성사령부이자 [[미합중국 유럽사령부]]와 [[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의 근무구성군으로 사령관은 육군 대장이 보임된다. == 역사 == 본래 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사령부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서부전선을 맡던 미 육군 유럽 전구에서 유래한 부대로, 1947년 유럽사령부로 재편되었으며 소련의 위협에 맞서는 역할을 했다. 이후 1952년 현재의 유럽사령부가 새롭게 편성되자 기존의 유럽사령부는 유럽육군사령부로 재편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5군단과 7군단을 편제에 두었고 유럽육군사령관은 [[NATO]]의 중부군집단사령관을 맡아왔다. 냉전 이후에는 감축의 주된 대상이 되어 휘하의 5군단과 7군단이 모두 해체되고 사령관 역시 기존의 대장이 부임하던 중 중장으로 계급이 낮추어졌다. 그러던 중 2020년, 5군단 본부가 재소집되고 아프리카 육군/9군과 통합이 확정되며 사령관 역시 대장이 부임하게 되었다. 현 사령관은 크리스토퍼 G. 카보리 육군 대장으로 25보병사단장을 맡던 중 중장 진급과 함께 부임했으며, 사령부 통합과 함께 대장으로 진급했다. ==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Army_Europe#Subordinate_units|예하 부대]] == === 하위 부대 === * 제5군단 : 켄터키 주 포트 녹스 * 5군단 전방 사령부 : 폴란드 [[포즈난]] * 제7군지원사령부 : 독일 그라펜뵈어 * 제2기병연대 : 독일 빌세크 * 제41야전포병여단 : 독일 그라펜뵈어 * 제173공수여단 : 독일 그라펜뵈어 , 이탈리아 빈첸차 * 제12전투항공여단 : 독일 안스바흐 * 제10육군항공미사일방어사령부 :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19야전조정분견대 :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 * 제21전구지원사령부 :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7임무지원사령부(육군 예비군) :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16지원여단 : 독일 바움홀더 * 제405육군야전지원여단 :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409계약지원여단 : 독일 호이베르크 * 제30의무여단 : 독일 셈바흐 * 제18군사경찰여단 : 독일 빌세크 * 미 육군 나토 여단 : 독일 슈베칭겐 * 본부 및 본부 대대 : 독일 비스바덴 * 남유럽 임무부대 - 아프리카 : 이탈리아 빈첸차 === 지원 부대 === * 제2전구신호여단 : 독일 비스바덴 * 제5군사경찰대대 :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66군사정보여단 : 독일 비스바덴 * 제598수송여단 : 독일 셈바흐 * 유럽 육군시설관리사령부 : 독일 셈바흐 * 유럽 지역 의무사령부 : 독일 셈바흐 * 미 육군 공병대 유럽 지구 : 독일 비스바덴 * 미 육군 항공작전분견대 : 독일 하이델베르크 * 미 육군 유럽 의무물자센터 : 독일 피르마젠스 [[분류:사령부]][[분류:미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