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민생당)] [목차] [clearfix] == 개요 == [[민생당]]의 민생당 비판 및 문제점을 서술한 문서. == 당내 분규 == 2021년 재보궐선거 이후 원외정당임에도 당대표 자리를 놓고 분열을 겪었다. 비대위원장과 서울시장 후보를 했던 이수봉은 자신이 정당한 당대표이며, 일부 세력이 민생당을 '사칭'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https://www.breaknews.com/816713|#이수봉의 인터뷰]] 다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이수봉의 당대표 등록을 보류중에 있다. 여기에서 비롯된 갈등은 2022년 7월까지 당의 정상적인 운영을 방해했고, 민생당은 주요 선거에 참여할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 미래 권력의 부재 == 비대위 출범 이후 [[이수봉]] 위원장은 선거용 정당에 불과했던 민생당에 '제3정치경제론'이라 명명된 이념을 세우고, 민주당, 호남 지역주와의 차별화를 시도했다. 그러나 이는 당원들의 지지가 뒷받침되지 못한 독자적 움직임에 그쳤고, 전당대회 연기와 재보선 손수 공천 등으로 신뢰를 잃었다. 결국 반대파와의 법적 공방 끝에 사실상 축출되었다. 이후 당권을 잡은 반 이수봉파는 2021년 8월 전당대회를 개최하지만, 당대표로 선출된 [[서진희(정치인)|서진희]] 후보의 당적 상실이 밝혀져 또 한번 내홍을 겪었다. 지도부가 마비된 민생당은 대선과 지선에 참여할 수 없었다. 2022년 7월, [[김정기(1967)|김정기]], [[이관승]] 체제로 회귀하고 나서야 간신히 당무를 정상화할 수 있었다. == 당비 횡령 의혹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민생당이 제출한 회계보고서와 영수증의 사업자번호가 다른 곳이 김정기 아들의 업체로 확인돼 논란이 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289807?sid=100|#]] 2021년 7월 16일 민생당 경기도당 위원장으로 임명된 이후 12월까지 약 6개월만에 도당 예산의 90%인 4억 5000만원을 소진한 것이 밝혀져 예산 횡령 의혹이 불거졌다. 결국 [[이내훈]] 전 최고위원과 [[이승한(정치인)|이승한]] 최고위원이 김정기 위원장을 고발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858971?sid=100|#]] 이들은 김정기 위원장이 예산 사용 권한이 없었음에도 조직활동비로 매달 250~300만원, 총 1,900만원의 현금을 사용했지만 이를 증빙하지 않았고 김정기 개인 소송 비용으로 600만원을 사용했으며 차량 두 대를 구입하면서 약 5,000만원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정기의 배우자가 500만원을 수령했다고 밝혔다. == 기타 == 김정기, 이관승 비대위원장 공공동직무대행은 2021년 8.28 전당대회 이후에도 계속 당대표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 해당 전당대회를 주관한 것도 김정기와 이관승이었지만, 이 과정에서 선거 자격 없는 비당원의 전당대회 참여를 방조하는 등 제대로 전당대회를 치르지도 않았으며, 이후 직무집행 가처분을 제기해 현재까지 당대표 권한을 행사하고 있는 등 당의 정상화를 위한 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 당직자의 이탈 == 당적을 기준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실제로 하나하나 살펴보면 잔류파 중에서도 윤석열, 이재명 지지를 선언한 인물이 꽤 많다. *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계 포함) * [[바른미래당]]계 대다수([[임재훈]], [[이행자]], [[김삼화]], [[황한웅]], [[이동섭]], [[김수민(정치인)|김수민]], [[김중로]], [[정동희]], [[강석구]], [[김경민(1954)|김경민]], [[박민영(정치인)|박민영]], [[김신호]], [[장진영(1971)|장진영]], [[백현종(1965)|백현종]], [[백금산]], [[이기원(정치인)|이기원]], [[김화진]], [[김한솔(1988)|김한솔]], [[이숙자(정치인)|이숙자]], [[김소영(1971)|김소영]], [[김지나(정치인)|김지나]], [[우태주]] 등) * [[민주평화당]] - [[대안신당]]계 일부([[윤영일]], [[배준현]], [[조배숙]] 등) *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계([[이태규(정치인)|이태규]], [[신용현]], [[정경진(1965)|정경진]], [[정규룡]] 등) * 더불어민주당 탈당 후 입당인원 일부([[김성제(정치인)|김성제]], [[양승숙]] 등) * [[시대전환]]계([[진예찬]]) * [[더불어민주당]]([[열린민주당]]계 포함) * [[바른미래당]]계 일부[* 대부분이 호남 출신이다.]([[주승용]], [[채이배]], [[고연호]], [[장정숙]], [[김철주(1957)|김철주]], [[이설아(1994)|이설아]], [[김유정(정치인)|김유정]], [[이영희(1962)|이영희]], [[백종주]] 등) * [[민주평화당]] - [[대안신당]]계 대다수([[천정배]], [[정동영]], [[박지원]], [[유성엽]], [[최경환(1959)|최경환]], [[이윤석(정치인)|이윤석]], [[부좌현]], [[김광수(1958)|김광수]], [[정헌율]], [[명현관]], [[김희철(정치인)|김희철]], [[홍성문]], [[권노갑]], [[정대철]], [[김명진(정치인)|김명진]], [[김기옥(1965)|김기옥]], [[조형철]], [[기도서]], [[고상진]] 등) * [[열린민주당]]계([[김성환(1961)|김성환]], [[노승일]] 등) * [[정의당]] * [[하금성]] * [[한국의희망]] * [[오경석(1965)|오경석]] * [[새로운선택]] * [[김철(1964)|김철]], [[정해정]] * [[통일한국당]] * [[류근찬]] * 무소속 * 친 더불어민주당([[김종회(1965)|김종회]][*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지만 제7회 지방선거 김제시장 후보에서 컷오프 되자 반발하며 탈당하였다.], [[이계안]], [[채영병]], [[임정엽]]) * 친 국민의힘([[강신업]], [[김동철]], [[김정화(정치인)|김정화]], [[이해성(정치인)|이해성]], [[송기석]], [[유재규]], [[김한길]], [[김종구(정치인)|김종구]], [[박주선]], [[박홍기]]) * 기타([[손학규]], [[김종훈(1952)|김종훈]], [[박상규(정치인)|박상규]], [[박준선(1966)|박준선]], [[송귀근]], [[황주홍]], [[유기상]], [[이상돈(1951)|이상돈]], [[서진희(정치인)|서진희]]) === 민생당 잔류 === * [[바른미래당]]계([[박대우]], [[박매호]], [[박선숙]][* 다만 이쪽은 오래전부터 당무에서 손을 뗀 상태였다.], [[손석민]], [[양순필]], [[이강일(정치인)|이강일]], [[이기현(정치인)|이기현]], [[이내훈]], [[이상범(1957)|이상범]], [[이수봉]], [[이창록]], [[정환석]], [[최도자]], [[최상임]]) * [[대안신당]]계([[고재유]], [[김정기(1967)|김정기]], [[신오동]], [[장병완]], [[황인철(정치인)|황인철]]) * [[민주평화당]]계([[김연관]], [[김호산]], [[문정선]], [[박주현(1963)|박주현]], [[박준영]], [[양윤녕]], [[이윤행]], [[임동순]], [[이관승]], [[이승한(정치인)|이승한]], [[이진(1961)|이진]], [[허영(1961)|허영]]) * [[정의당]]계([[임한솔]])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민생당/2022년, version=331, paragraph=12)][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민생당, version=1840)][[분류:민생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