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018, #F8E018)" '''[[민주당계 정당|{{{#000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통일민주당]]||<:><|2>{{{+1 →}}}||<:><|2>'''{{{#FFF 민주당}}}'''||<:><|2>{{{+1 →}}}||<:>[[민주당(1991년)|민주당]]|| ||<:>[[한겨레민주당]]{{{#!html
(개별 합류)}}}||<:>[[신정치개혁당]][[박찬종계|{{{#!html
(박찬종계)}}}]]|| ||<-2><:>[[파일:민주당(1990년) 로고.svg|width=200]]|| ||<-2><:>{{{#FFF '''민주당'''}}}|| ||<:>'''공식명칭'''||민주당 (民主黨 / Democratic Party)|| ||<:>'''창당일'''||[[1990년]] [[6월 15일]] ,,([[통일민주당]]에서 분당),,|| ||<:>'''해산일'''||[[1991년]] [[9월 16일]] ,,([[민주당(1991년)|민주당]]으로 신설합당),,|| ||<:>'''총재'''||[[이기택]] / ,,6선 (7-10·12·13대),, || ||<:>'''원내총무'''||[[김정길(1945)|김정길]] / ,,재선 (12·13대),, || ||<:>'''사무총장'''||[[이철]] / ,,재선 (12·13대),, || ||<:>'''정책위의장'''||[[김광일]] / ,,초선 (13대),, || ||<:>'''선행조직'''||[include(틀:통일민주당)] ,,([[3당 합당]]에 반대해서 분당),,||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7 ([[여의도동]] 44-73, 충무빌딩)||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a2c43; border: 1px #da2c43;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붉은색 {{{-2 (#DA2C43)}}}}}}}}}[* 다만 1991년 지방의회 선거의 경우 푸른색으로 통일된 색을 사용했다. [[신민주연합당]]의 초록색과 대비되는 색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꼬마민주당_출범.jpg|width=100%]]}}}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으로, 1년도 안 되는 독자 정당 시기와 활동 당시 약한 당세 등으로 인해 '''[[꼬마민주당]]'''으로 불렸다. == 역사 == [[이기택]], [[노무현]], [[김정길(1945)|김정길]], [[김광일]], [[장석화]] 의원 등 [[민주자유당]]으로의 [[3당 합당]]을 반대한 [[통일민주당]] 정치인들이 탈당하여 [[1990년]] [[6월 15일]] 창당되었다. [[이철]], [[박찬종]] 등 [[무소속]] 의원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의 통일민주당과 [[김대중]]의 [[평화민주당]]이 분열될 당시 야권의 통합을 주장하며 무소속을 택한 이들이었다. 흔히 꼬마민주당 의원 8명을 가리킬 때 허탁 의원 대신 [[홍사덕]] 의원을 끼워 넣는 경우가 있는데, 홍사덕은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선거구에서 낙선해 현역 의원이 아니었다. ~~홍사덕, [[박찬종]]의 [[리즈 시절]].~~]이 합류하고 [[1990년 재보궐선거|1990년 4월 재보궐선거]][* 이 재보궐선거는 대구 [[서구 갑(대구)|서구 갑]]과 진천-음성에서 치러졌는데 대구 서 갑에서 민자당 [[문희갑]]이 당선되었지만 겨우 과반을 넘기는 득표를 거두고 꼬마민주당 창당에 합류한 [[백승홍]]이 40% 넘게 득표하면서 3당 합당의 시너지 효과조차 못 누렸고, 진천-음성은 농촌이라 기존 민정당에 우호적이라는 인식이 강했던 지역임에도 허탁 후보가 당선되는데 성공했다.] [[진천군]]-[[음성군]]에서 꼬마민주당의 내천으로 당선된 [[허탁]] 의원까지 합류하면서 국회 의석 수는 8석이었다. 통일민주당의 직계를 자처하며 민주당으로 불러달라고 강조했다. 1990년 여론조사를 보면 개헌선을 차지한 [[민주자유당]]이나 제1야당인 [[평화민주당]]과 지지율이 비슷한 수준이었고, 반년 후인 [[1991년 지방선거]]에서 14.3%를 득표해, 양당의 세가 강했던 [[전라도|호남]],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광역의원 21명을 당선시키며 나름대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 때 당선된 광역의원 중에 훗날 [[한나라당]] 창당에 합류해 장장 3선 국회의원을 지낸 [[권오을]]이 있다.] 이는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통일민주당 지지도(23.8%)의 절반 이상이었다.[* 무소속이 22.4%를 득표했고, 김대중의 신민주연합당이 불과 21.9%([[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19.3%)를 득표한 것을 감안하면 이는 결코 적은 득표가 아니다. 여당인 민자당은 40.6%로 34.6%에서 불과 6% 증가했다. (이는 전체 정당 득표의 52.3%에 달한다.)] 당시 유명 야구선수 출신인 [[최동원]]이 해당 선거에서 이 당의 당적으로[* 이 당시 민주당 의원이던 [[김정길(1945)|김정길]]의 증언에 의하면 부산에서는 인지도 측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최동원이었기에 정치 입문을 고려하자 부산지역 내 지지 기반이 탄탄했던 [[민주자유당]]이 당연하게도 영입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최동원 스스로 [[3당 합당]]에 대해 비판적 의견을 내비치면서 민자당 입당을 거부했다고 한다.] 부산직할시의원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훗날 보수정당으로 이적하는 [[김을동]]도 서울특별시의원으로 출마해서 당선돼 정치인 생활을 시작했다. 또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에서 당직 생활을 해왔던 [[김원웅]]도 3당 합당 후 민자당을 탈당하여 여기에 합류했다. 공화당과 민정당에서만 쭉 당직 생활을 해왔던 김원웅이 민자당을 탈당한 것은 자신의 지역구였던 대전 동구 을에서 전현직 국회의원을 역임했던 [[송천영]]과 [[윤성한(정치인)|윤성한]]이 3당 합당으로 동시에 민자당에 입당하게 되면서 완전히 [[낙동강 오리알]]이 되었기 때문이다. 3당 합당에 반대한다는 명분으로 창당한 꼬마 민주당이 김원웅을 받아들인 것에서 의외라는 시각이 존재하는데, 이는 김원웅이 당시에는 국회의원이 아닌 지역위원장이었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그러나 민주당이 특정 지역의 득표율에서 선전했다고 해도,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대전광역시|대전]] 등에서 신민당과 민주당간의 단일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표 분산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선전을 기대한 [[서울특별시|서울]], [[경기도|경기]], [[인천광역시|인천]] 등 수도권에서 패배를 면치못했고, [[부울경|PK]]에서도 선전하기는 했지만 민자당의 조직력을 뛰어넘지 못했다. 결국 민자당이 11개 시도의회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야권분열에 따른 한계를 여실히 절감해야 했다. 결국 [[김대중|DJ]]의 [[신민주연합당]]과 합당, [[민주당(1991년)]]으로 등장했다. 민주당계 정당을 대략적으로 DJ의 [[동교동계]](신민주연합당계)와 꼬마민주계의 두 계파로 분류하기도 하며, 이 민주당을 [[열린우리당]]-[[친노]]-[[친문]]으로 이어지는 [[더불어민주당]] 주류계파의 역사적 뿌리로 보는 일도 있다. 물론 30년이 넘는 동안 이합집산을 거듭했기에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분류는 아니지만[* 당장 이 당의 직계 후신은 '''[[국민의힘]]'''이다. 실제로 [[한나라당]]에 합류한 꼬마민주계 정치인들도 꽤 많다.], [[노무현]]이라는 중심인물과 [[PK]]라는 공통된 지역적 기반으로 인해 기원으로 여겨지는 일이 많다. == 역대 당직자 == === 총재 === [include(틀:민주당(1990년) 총재)] === 원내총무 === [include(틀:민주당(1990년) 원내총무)] == 관련 문서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제5공화국-문민정부))] [include(틀:제13대 국회의 원내 구성)]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꼬마민주당,version=17)] [[분류:민주당계 정당]][[분류:자유보수주의 정당]][[분류:국민자유주의 정당]][[분류:보수자유주의 정당]][[분류:반공주의 정당]][[분류:1990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1991년 해체]][[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