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터키 민주좌파당.png|width=150]] || ||<-2> {{{#ffffff '''Demokratik Sol Parti (DSP)'''}}} || || '''영문 명칭''' ||Democratic Left Party|| || '''창당일''' ||1985년 [[11월 14일]]|| || '''당사 주소''' ||[[터키]] [[앙카라]] 베쉬에블레르 || || '''대표''' ||왼데르 악사칼|| ||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좌파]]|| || '''당 색''' || {{{#ffffff 하늘색 ,,(#00BFFF),,}}} || || '''이념''' ||[[사회민주주의]][br]케말주의[br][[세속주의]]|| [목차] [clearfix] == 개요 == 튀르키예의 [[사회민주주의]] 정당. == 역사 == 1980년 [[케난 에브렌]]의 쿠데타로 [[뷜렌트 에제비트]] 전 총리와 [[공화인민당]]의 정치횔동이 금지된 이후, 뷜렌트 에제비트의 부인이 1985년에 창당한 정당이다. 뷜렌트 에제비트의 정계 복귀 이후에도 한동안 원내 진입에 실패하다가 1991년 총선에서 처음 원내 진입에 성공한 이후, 1995년 총선에서는 76석을 확보하며 조국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했고, 1999년 총선에서는 연정 붕괴 이후 [[뷜렌트 에제비트]]를 총리로 과도내각을 구성한 상태에서 136석으로 제1당이 되었고, 조국당, [[민족주의행동당]]과 연정을 구성했다. 그러나 내부 분열 끝에 당이 분당되고 경제위기까지 겹치면서 2002년 총선[* 역대 가장 많은 정당('''76개''' 정당)이 참여하여 튀르키예 역사에서 깨지지 않을 대기록을 세운 선거로, 표가 제대로 분산된 덕분에 [[정의개발당]]이 34% 득표하고 550석 중 363석(...)을 차지했다. 해당 선거에서 민주좌파당은 1.22% 득표에 그쳤다.]에서는 민주좌파당을 포함한 연정 3당이 모두 원외정당이 되는(...) 굴욕을 겪는다. 2007년 총선에서 공화인민당과의 선거연합으로 다시 원내정당이 되었으나, 이후에는 계속 원외 군소정당으로 남아 있다. 최근 선거인 2018년 총선에서는 아예 출마 자격을 상실했다(...). 2023년 총선에서는 오랜만에 1석을 획득했는데, 튀르크 민족주의 성향으로 인해 함께 치러지는 대선에서 공화인민당과 그 선거연합인 민족연합이 [[쿠르드족]] 중심 정당인 [[인민민주당(튀르키예)|인민민주당]]과 연대하는 것을 비판하며 정의개발당 주도의 선거연합인 인민연합에 참여했다. == 성향 == 당의 실질적 창당자인 뷜렌트 에제비트 전 총리는 공화인민당 시절부터 [[케말주의]]와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를 결합한 '민주좌파'라는 용어를 창안해 정치 노선으로 추구했고, 현재까지도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케말주의 정당으로 분류되고 있다. 관세동맹에 비판적이지만 [[유럽연합]]과의 관계 강화를 지지하며, 키프로스 통일에 반대한다. == 역대 선거결과 == 1986년: 8.5% 1987년: 8.53% 1991년: 10.8%(7석) 1995년: 14.64%(76석) 1999년: 22.19%(136석) 2002년: 1.22% 2007년: 공화인민당 연합에 참여. 합계 20.85%. (민주좌익당 몫으로 13석 배분) [[분류:튀르키예의 정당]][[분류:사회민주주의 정당]][[분류:공화주의 정당]][[분류:1985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