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베네수엘라의 정당, rd1=민주행동당(베네수엘라), other2=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당, rd2=민주행동당(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include(틀:말레이시아 의회의 원내 구성)]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bah_bird,_the_official_mascot_of_the_DAP.png]] 우바 버드(ubah bird), 참고로 '우바'의 의미는 '바꾸다'를 뜻한다. ||||<:>[[파일:external/pbs.twimg.com/DAP_logo.jpg|width=100%]]|| ||||<:> {{{#ffffff '''Parti Tindakan Demokratik[br]Democratic Action Party'''}}}|| || '''창당일''' || 1965년 10월 11일 || || '''등록 약칭''' || DAP ||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좌파]] || || '''이념''' ||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다인종주의[* 다문화주의가 아니다. 다문화주의에 대해서는 되려 보수적 태도를 취한다.] [[좌익 내셔널리즘]] || || '''당 색''' || {{{#white 적색}}} || || '''의석수''' || 2석/70석 (상원), 40석/222석 (하원) || || '''국제조직''' || [include(틀:진보동맹)] ||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dapmalaysia.org/|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말레이시아]]의 주요 [[중도좌파]] 정당. 주로 약칭인 DAP로 알려져 있는데 [[영어|영문]]인 Democratic Action Party의 약칭이다. [[말레이어]]로는 Parti Tindakan Demokratik이라고 하나, 이를 줄여서 PTD라고 하지는 않는다. == 역사 ==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하고 있던 [[인민행동당]]이 그 시초인데,[* 당 로고의 기본틀도 인민행동당과 유사하다. 싱가포르 PAP는 번개, 말레이 DAP는 로켓.] 1965년 싱가포르가 탈퇴한 후 자연스럽게 말레이시아에서 등록이 취소되어 무소속이 된 일부 인민행동당 잔류 세력들을 중심으로 창당되었다. [[사회주의]]를 내세운 정당으로 1966년에 창당되었으며 '민주화'를 목표로 했다. 이 중에는 싱가포르의 전 대통령 데반 나이르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나이르는 훗날 싱가포르행을 결정하면서 자연스럽게 탈당했다.[* 이에 대한 사연이 있었으니, [[리콴유]]가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간의 관계를 목표로 했으며 당초에는 성향이 유사했던 두 정당이 공존하였다가, 1981년 리콴유의 초대로 데반이 싱가포르행을 결정한 것이다. 이후 데반은 싱가포르의 대통령에 올랐으나 알코올 중독 문제로 4년만에 사임했다.] 1969년 [[5.13 사건|말레이시아 역사상 최악의 사건]]이 터진 후 총선에서 반사이익을 다소 얻어, 여당인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을 견제할 수 있는 주요 야당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의석 수가 터무니없이 적었으며 실제로 그리 견제할 수 있는 힘은 안 되었고, 냉전시기 사실상 자본주의 진영의 편에 섰던 말레이시아 입장에서 사회주의 정당은 그야말로 위협적인 존재였기 때문에, 이 정당은 UMNO의 일당독재에 의한 탄압의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었다. 1987년 [[랄랑 작전]] 당시, [[림킷시앙]]을 포함한 많은 당 수뇌부들이 대규모로 투옥된 적이 있었다. 1990년대까지 UMNO를 견제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의 야당이었음에도, UMNO의 위세 탓에 집권은 무리였다. 그러나 계파간 이념 갈등이 치열하던 UMNO에서 2인자였던 [[안와르 이브라힘]]이 숙청되고 당에서 축출되면서, 잔류 세력들이 별도의 [[인민정의당]](PKR)을 결성, DAP와 연대하면서 서서히 승승장구의 길이 열렸고, 마침내 2008년 총선에서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과 연대하고 개헌저지선을 차지, 사실상 야권의 승리를 알렸다. 이를 계기로 2013년 사상 첫 정권교체까지도 갈 뻔 했으나 UMNO의 부정선거로 패했으며, 2016년 [[사라왁]] 주 총선에서도 여권연합인 [[국민전선(말레이시아)|국민전선]](BN)에 밀리면서 패배했다. == [[/비판|비판]] == === 제노포비아 === 인민정의당과 마찬가지로 진보정당을 표방하지만, 극우적 태도도 간혹 보인다. 실제로 [[풀라우피낭]] 주에서 승리한 뒤로 '[[신토불이|피낭 음식 고유의 풍토를 지키고자]] 외국인들의 요리를 금지한다'(...)는 황당한 법안을 상정했고[* 사실 이는 민주행동당의 주요 지지층인 화교 등 말레이내 소수 민족 계층의 피해 의식이 작용한게 크다. 수십년을 말레이계 우대 정책 속에 지내다보니 인종간 평등한 말레이시아를 외치면서도 소수 인종 권리도 좀 찾아보자는 한풀이 속에 자신들의 기반을 침해한다고 생각하는 이민자 문제에선 배타적인 성향도 보이는 것. 실제 자국내 정책에 있어선 이슬람주의에 거리를 두는 세속주의 등 진보적인 성향도 보인다.], 이게 주민 투표 결과 압도적인 찬성을 얻으면서 2016년부터 적용되었다. 자세한 것은 [[외국인 요리 금지법]] 참조. 국빈 셰프테이너 [[레주아완 이스마일]]도 법안이 지나치다고 이를 강력하게 비판한 바 있었다. 이외에도 외국인들의 프로퍼티(property; 집 및 토지) 소유를 금하는 법안을 상정하거나, 심지어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를 두고 외국인이 참여하는 것에 [[http://sabahkini.com/dap-why-are-renewable-energy-projects-going-to-foreigners/|불평]]하는 등 배타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 밖의 비판은 [[민주행동당/비판|문서]] 참조. [[분류:말레이시아의 정당]][[분류:사회민주주의 정당]][[분류:사회자유주의 정당]][[분류:대중주의 정당]][[분류:좌익 내셔널리즘 정당]][[분류:1965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진보동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