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송영길 前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신당, rd1=민주혁신당(2024년))] [include(틀:대한민국의 진보정당(제1공화국-노태우 정부))] ||<-2><:>{{{#fff '''민주혁신당'''}}}|| ||<:>'''약칭'''||민혁당|| ||<:>'''창당일'''||[[1957년]] [[10월 15일]]|| ||<:>'''해산일'''||[[1960년]] [[2월 2일]]|| ||<:>'''대표'''||[[서상일]]|| ||<:>'''의석 수'''||{{{#!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f88379 0%, #ddd 0%)" {{{#000 '''0석 / 233석'''}}}}}}||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0115F; border: 1px #E0115F;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붉은색 {{{-2 (#E0115F)}}}}}}}}} || [[1957년]] [[서상일]]이 혁신계 세력을 통합하여 만든 정당. 본래는 [[조봉암]]도 참여하려 했었으나 조봉암은 의견 차이로 인해 참여하지 않고 [[진보당(1956년)|진보당]]을 따로 창당한다. 이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했으나 1석의 의석도 건지지 못한 채 원외정당으로 있다가 1960년 2월 해체하고 만다. 정당 해산 이후 남은 인사들은 [[사회대중당]], [[한국사회당(1960년)|한국사회당]] 등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이 당에 참여한 대표적인 인물로는 훗날 [[제15대 국회]]의 전반기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이 되는 [[김수한]]을 비롯해 [[장건상]], [[정현섭]], [[김성숙]], [[고정훈]], 신숙, [[박기출]] 등이 있다. 참고로 약칭이 민혁당이지만 1999년에 있었던 [[민혁당 사건]]의 민족민주혁명당하고는 전혀 관련이 없다. [[분류:대한민국의 진보정당]][[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