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내셔널리즘)] [목차] {{{+2 '''民衆民族主義''' / '''Minjung nationalism'''}}} == 개요 == 한국의 [[좌익 내셔널리즘]], [[종족 내셔널리즘|민족주의]](ethnic nationalist)[*A 출처: Gi-Wook Shin (2006). Ethnic Nationalism in Korea: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운동이다. == 역사 == 민중민족주의는 1980년에 형성되었다. 1990년대 이후 점차 쇠락했다고 평가받는다.[*A] 90년대 기점으로 민중민족주의가 쇠락한 이유에는 이 시기에 [[북한의 핵개발]] 논란이 점화됨네 따라 주한미군과 미국의 필요성이 다시 대두되면서라고 볼 수 있다. [[한민족주의]](Korean ethnic nationalism)는 권위주의 정권에 의해서 악용되기도 했으나, 반대로 좌파세력에 의해 '민족반역자' 권위주의 정권과 외세에 반대하기 위한 운동으로도 나타났다.[* 출처: [[https://books.google.co.kr/books?id=PzDLDwAAQBAJ&pg=PT77&dq=%22Korean+ethnic+nationalism%22&hl=ko&newbks=1&newbks_redir=0&sa=X&ved=2ahUKEwiniJSOreWDAxVFdPUHHfLpCJE4FBDoAXoECAwQAg|A Representation of Nationhood in the Museum]]] 다만 한국 좌파 운동권 내부의 [[민중]]운동 자체는 1970년대에 형성되었다. 민중운동 그 자체가 아닌 민중민족주의가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의 영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출처: Mario Carretero, Stefan Berger, Maria Grever (2017). Palgrave Handbook of Research in Historical Culture and Education] 오늘날 민중민족주의를 옹호하는 정당은 [[진보당(2020년)]]과 [[민중민주당(2017년)]]이 있다. == 성향 == 민중민족주의의 핵심은 반[[식민주의]]/[[반제국주의]]와 [[반일]]/[[반미주의]]였으며 노동해방, 통일운동 등을 추구하였다. [[주한미군]]에도 반대하였다. NL(민족해방파) 계열과 혼동하기 쉽지만 모든 민중 민족주의자가 당대 운동권 계파에서 NL이였던것은 아니며 CA(제헌의회파) 계열도 있었다. CA는 범PD로 간주되기도 한다. 민족주의 계열 좌파 운동가였던 [[백기완]]도 계파적으로는 NL보다는 범PD인 CA에 가까웠다. 물론 NL은 거의 기본적으로 민중민족주의를 추구하긴 한다. == 인물 == === NL계 === 전향한 인물 혹은 민주당계 정당 성향으로 변화한 이들은 ◇ 표시 (다만 민주당계에 있더라도 임수경, 이래경같이 여전히 강한 NL 노선을 표방하는 이들은 제외) * [[강성희]] * [[강위원]]◇ * [[김재연]] * [[오영식]]◇ * [[이래경]] * [[이석기]] * [[이인영]]◇ * [[이정희]] * [[임수경]] * [[임종석]]◇ * [[정태흥]] === 비 NL계 === * [[문익환]] * [[백기완]] * [[조국]] [[분류:좌익 내셔널리즘]][[분류:한국의 민족주의]][[분류:대한민국의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