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ffffff '''믿을 수 없는 이야기''' [br] '''Unbelievable'''}}}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믿을수없는이야기.jpg|width=100%]]}}} || || '''{{{#ffffff 장르}}}''' ||[[드라마]]|| || '''{{{#ffffff 원작}}}''' ||《[[믿을 수 없는 강간 이야기]]》|| || '''{{{#ffffff 제작}}}''' ||수재나 그랜트, 에일렛 월드먼, 마이클 셰이본 || || '''{{{#ffffff 출연}}}''' ||[[토니 콜렛]], [[메릿 웨버]], [[케이틀린 디버]] 外 || || '''{{{#ffffff 공개일}}}''' ||[[2019년]] [[9월 13일]] || || '''{{{#ffffff 방송사}}}'''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50]]]]|| || '''{{{#ffffff 링크}}}''' ||[[https://www.netflix.com/title/80153467|[[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50]]]] || || '''{{{#ffffff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초기.svg|width=60]]||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Prz0DJIz-s)]}}}|| ||<:>'''{{{#ffffff 공식 예고편}}}''' || >그 누구도 믿어주지 않은 충격 실화. 한 십 대 소녀가 성폭행 신고를 한 뒤 며칠 만에 허위 신고였다고 자백한다. 그러나 소녀가 진실을 말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진다. 다른 지역에서 일어났지만, 믿을 수 없을 만큼 비슷한 강간 사건을 조사하던 두 형사에 의해. 책 《[[믿을 수 없는 강간 이야기]]》를 원작으로 하는 [[넷플릭스]] 드라마. == 출연진 == * [[토니 콜렛]] - 그레이스 라스무센[* 콜로라도주 웨스트민스터 경찰서 형사. 원작에서는 스테이시 갤브레이스.] * [[메릿 웨버]] - 캐런 듀발[* 콜로라도주 골든 경찰서 형사. 원작에서는 에드나 헨더샷. ] * [[케이틀린 디버]] - 마리 애들러 * 카이 레녹스 - 스티브 라스무센[* 그레이스의 남편. 검찰 수사관] * 데일 디키 - 로즈마리 * 퍼트리샤 파수아 - 베카[* 오크데일 위기청소년 상담사] * 찰리 맥더멋 - 타이[* 오크데일 위기청소년 상담사] * 오스틴 허버트 - 맥스 듀발[* 캐런의 남편. 웨스트민스터 경찰서 경찰관] * 헨드릭스 얀시 - 데이지 * 오브리 풀러 - 로지 * 오마 마스카티 - 일라이어스[* 로즈마리의 웨스트민스터 경찰서 데이터 분석 인턴] * 엘리자베스 마블 - 주디스[* 마리의 최근 위탁모] * 브리짓 에버렛 - 콜린[* 마리의 예전 위탁모] * 브렌트 섹스턴 - 알[* 콜린의 남편. 마리의 예전 위탁부] * 리자 라피라 - 미아 * 에릭 랭 - 파커 형사[* 마리 사건에 배정된 린우드 형사] * [[빌 파거바키]] - 푸르티 형사[* 마리 사건에 배정된 린우드 형사] * 바네사 벨 콜로웨이 - 세라 * 대니엘 맥도널드 - 엠버 * 애널리 애슈퍼드 - 릴리 * 스콧 로런스 - FBI 특수요원 빌리 태가트 * 셰인 폴 맥기 - 마리의 전남자친구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unbelievable, critic=83, user=8.4)]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unbelievable, tomato=89, popcorn=90)] [include(틀:평가/IMDb, code=tt7909970, user=8.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unbelievable-2019, user=4.2)] 강간 사건 피해자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알 수 있는 가이드북 같은 작품이다. 수사관들을 비롯해 주변 사람들도 피해자를 대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알려주는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듀발 형사가 여러 차례 대사로 강조하지만 강간 피해자들은 육체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더 크게 무너진다. 교통사고 CCTV 처럼 일목요연한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을 시킨 후 모든 진술을 끝까지 들어주는 장면들이 좋은 예다. 반대로 작중 마리 에들러를 대하는 형사들이 안좋은 수사의 전형이다. 또 얼마나 꼼꼼하게 수사를 해야 하는지, 어떻게 공조하는게 효율적인지도 잘보여준다. 또 주목할 점은 많은 수사물은 주로 현장 수사에 초점을 맞춘다면 이 작품에서는 디지털 증거를 먼저 찾고 현장에서 입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래서 합동수사이긴 하나 현장 인력보다 증거 분석 인력이 더 많다. 그덕에 현장에서 수집한 것들을 조합해 결정적인 증거도 확보한다. 국내 수사기관도 참고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각색은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수사기관에 바라는 모든 걸 담았다고 할 수 있는 작품으로 평가 받는다. [[분류:2019년 드라마]][[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드라마]][[분류:도서 원작 드라마]][[분류:실화 바탕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