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include(틀:러시아 5인조)] ||<-2> '''{{{+1 밀리 발라키레프}}}[br]Милий Балакирев | Mily Balakirev'''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lakirev1860s_CuiIP_73_600.jpg|width=100%]]}}} || || '''본명''' ||밀리 알렉세예비치 발라키레프[br]Милий Алексеевич Балакирев[br]Mily Alexeyevich Balakirev|| ||<|2> '''출생''' ||1837년 1월 2일|| ||[[러시아 제국]] [[니즈니노브고로드]]|| ||<|2> '''사망''' ||1910년 5월 29일 (향년 73세)||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매장지''' ||상트페테르부르크 티흐빈 공동묘지||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제국)]|| || '''직업'''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 '''장르''' ||[[오페라]], [[교향곡]]|| || '''아버지''' ||알렉세이 콘스탄티노비치 발라키레프 ^^(1809~1869)^^||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작곡가. 러시아 국민악파를 대표하는 러시아 5인조의 지도자였다. == 생애 == 1837년 1월 2일에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가난한 서기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그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차리고 10살 때 그를 모스크바로 데려가게 된다. 알렉산더 두브크에게 음악을 배우게 했는데 중간에 집안사정으로 인해 음악을 그만둬야 할 처지가 되었지만 스승인 알렉산더 두브크가 그를 후원해줘서 학업을 마칠 수 있었다. 그 후 대학을 졸업한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와 [[미하일 글린카|글린카]]를 알게 되었고 그의 소개로 1856년 데뷔를 할 수 있었다. 1860년 전후로 [[무소르그스키]]와 [[림스키 코르사코프]], [[세자르 큐이]]를 만나게 되고 이들과 함께 [[러시아 5인조]]를 결성하고 지도자가 되었다. 또한 1862년 안톤 루빈스타인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맞서 무료 음악학교를 설립했고, 러시아 음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베를리오즈, 슈만 등 서구의 음악을 소개하기도 했다. 1867년에는 프라하로 가서 글린카의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지휘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시아 음악협회 연주회의 지휘자가 되기도 했다. 1870년에는 피아노 독주자로 나서서 연주회도 개최했다. 하지만 음악학교 선생과 연주활동은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재정난에 시달렸으며 1860년대 후반에는 자신의 부친과 여동생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게다가 음악적 반대파들의 비난에도 시달려야 했다. 결국 생활고와 싸움에 지친 발라키레프는 한동안 음악 활동을 중단하게 된다. 특히 1870년 이후에는 과거와 달리 말수가 적어지고 우울한 모습을 보이면서 한동안 정신이 이상해진 게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들었다. 음악적 활동을 일체 중단한 발라키레프는 생계를 위해 철도 부설 노동자로 일하는 등 고생을 했다. 다행히 기력을 회복한 발라키레프는 1876년부터 다시 음악계에 복귀하였으며 188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음악활동을 재개했다. 하지만 과거처럼 활발하게 음악인 모임에 나가서 토론을 하고 음악적 동지를 만들거나 학교에서 제자들을 양성하는 대신 조용히 연주활동과 작곡에 몰두했다. 발라키레프는 러시아 5인조를 결성한 지도자라는 전력으로 명예는 가질 수 있었지만, 사실상 말년에는 음악적 영향력이 거의 없는 상황이었다. 그는 1910년 5월 29일 73세의 나이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 음악 성향 == * 동양적 요소와 슬라브 지역색이 강한 낭만적이고도 개성적인 음악을 만들었다. 그의 대표작 대부분은 젊은 시절인 1850~1860년대 작곡된 것이며 공백기를 거쳐서 복귀한 1880년대 이후의 작품은 피아노 소나타 2번 정도를 제외하고는 주로 피아노 소품이나 가곡이다. 다만 이 시기에 젊은 시절에 작곡하다 중단한 미완성 곡을 완성하거나 개작하는 일도 했다. * 그의 작품 대부분이 피아노곡이며 그 외에는 2곡의 교향곡과 교향시, 관현악 서곡, 가곡 등이 있다. * 작곡하는 시간이 느리기로 유명하다. 교향시 타마라를 작곡하는 데 7년, 교향곡 1번은 36년, 피아노소나타는 무려 '''50년'''이나 걸렸다.[* 물론 진짜 50년 내내 작곡을 한 것은 아니고 기존에 완성된 곡을 여러 번 고치고 개작한 것이다.] 그래서 73살로 비교적 장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작품수가 많지 않다. 게다가 음악가로서 한창때인 30대에 공백기 까지 있었으니(..) * 발라키레프는 자신의 음악의 출판에 적극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생전에 출판된 곡이 많지 않다. 19세기말 이후 러시아에서 발라키레프 등이 추구했던 낭만주의 성향의 음악은 시대에 뒤떨어진 음악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물론 현재에 발라키레프 음악을 구시대적이라고 평가하는 전문가는 없다. 어디까지나 당시의 인식이 그랬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발라키레프가 더욱 출판에 소극적이 되었다고 한다. * 상당히 독선적인 인물이었고, 자신이 지도자 역할을 맡지 않으면 성미가 안 차는 성격이었다. 그리하여 [[러시아 5인조]]의 첫 삽을 뜨기는 했지만, 훨씬 재능이 뛰어났던 [[무소르그스키]]나 [[알렉산드르 보로딘|보로딘]], [[림스키 코르사코프]]가 오늘날 족적을 남긴 것과 달리[* [[세자르 큐이]]는 이 세 명보다 존재감이 훨씬 미미하며, 평론가의 역할이 더 강했다.] 발라키레프는 별 음악적 역할을 담당하지 못했다. 게다가 자신도 아마추어 수준이면서 자신에게 배우는 사람들을 아랫사람 취급하는 성격도 썩 호감을 얻지 못했는데, 일례로 그는 개성이 뛰어난 무소르그스키를 바보 취급하면서 음악에 대해 한참 배워야 할 사람으로 여겼다. 무소르그스키의 재능이 빼어남을 처음부터 간파하고 평생에 걸쳐 그의 작품을 재조명하는 데에 힘쓴 림스키 코르사코프와는 대조되는 부분. * 자신에게 배우는 처지였던 림스키 코르사코프가 이후에 [[청출어람|러시아 음악계의 지도자로까지 올라가자]], 그와도 절연했다고 한다.[*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데뷔 25주년 연주회가 성대하게 열리자 림스키 코르사코프는 옛 선배인 발라키레프를 초대하였고, 발라키레프는 씹어버렸다. 참고 참아왔던 림스키 코르사코프도 다시는 그에게 연락하지 않았다.] 발라키레프가 고난을 겪을 때마다 림스키 코르사코프가 그의 재기를 위해 힘쓰고 배려했던 것을 감안하면, 순전히 그의 속 좁은 면모 때문이었다. == 주요 작품들 == || [youtube(78AslTXMp30)] || || 이슬라메이 Op.18 || * 교향시 타마라 (1867~82) * 8중주[* 1850년대에 작곡된 발라키레프의 초기 작품으로 그의 유일한 실내악곡이다.] * 교향곡 1번 C장조 (1864~66) * 피아노 협주곡 1번 f# 단조 Op.1(1855~6) * 피아노 협주곡 2번 Eb 장조(미완성)[* 1867년경 작곡하다가 중단했으며 결국 작곡가 생전에는 완성되지 못했다. 작곡가 사후 세르게이 랴푸노프(Sergei Lyapunov)라는 작곡가가 완성했다.] * 피아노 소나타 1번 bb 단조 Op.5 * '''[[이슬라메이]] Op.18(1869)'''[* 발라키레프 곡 중 가장 유명한 곡이면서도 테크닉적으로 발라키레프의 모든 곡들 중 가장 어렵다.] * 피아노 소나타 2번 B플랫 단조 Op.102(1905) * 교향곡 2번 D단조(1900~8) * 종달새[* 원곡은 [[미하일 글린카]]의 연가곡집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이별' 중 10번의 동명의 가곡이지만, 오늘날에는 발라키레프가 피아노곡으로 편곡한 소품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분류:러시아의 작곡가]][[분류:러시아의 피아니스트]][[분류:러시아의 지휘자]][[분류:러시아 제국/인물]][[분류:1837년 출생]][[분류:1910년 사망]][[분류:후기 낭만주의의 작곡가]][[분류:국민악파 작곡가]][[분류:니즈니노브고로드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