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밀양시)] [목차] == 철도 == '''철도 초강세 급을 넘어서 철도가 지배하는 지역이며 버스 교통의 무덤에 속한다.'''[* 철도 초강세 급을 넘어서 철도가 지배하는 지역의 성격을 가진 지방자치단체는 전국에서도 얼마 없는데 [[익산시]], [[동두천시]], [[장성군]], [[영동군]], [[칠곡군]], [[청도군]]이 이에 해당된다. 그 중에서도 밀양이 이 성향이 가장 강한 지역이다. 다른 지역들은 철도 초강세 지역이라 하더라도 버스 교통이 많이 열악하지는 않다. 특히 밀양은 버스 교통이 거의 전멸한 기초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인구가 여섯 자리 수이다.] [[경부선]]라인과 [[호남선]]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익산역]]라인이 철도 초강세 지역으로 유명하지만 밀양시는 이러한 성격이 매우 돋보인다.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밀양역이 KTX 정차역으로 지정되었다. KTX의 [[밀양역]] 정차 목적은 당연히 마산, 창원행 승객들을 환승으로 처리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초창기 정차 편수는 1일 편도 8회뿐이었고 순수 승하차인원은 거의 없었다. 밀양역 이용객의 거의 90%가 [[창원시]]로 가기 위한 사람들이었다. 그마저도 2010년 말 [[경전선]] 복선전철화로 [[창원역]], [[창원중앙역]], [[마산역]]에 KTX가 직접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나 원래 철도 강세 지역이었기 때문에 승하차 수요는 인구 규모 대비 많은 편이다. 다만 최근 [[양산시|옆동네]]에서 [[물금역|자기네 도시의 기차역]]에 KTX를 정차하거나 경부고속선이 지나는 웅상 일대에 역을 [[양산노포역|신설]]해달라고 요구해오고 있어 수요를 어느 정도 뺏길 가능성도 있다.[* 단 [[양산노포역]] 문서에도 나오듯 이 역이 실제로 건설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밀양역]]과 [[상동역(경부선)|상동역]]의 증축이 확정되고 철도편의 정차횟수가 증가하며 철도 강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밀양시는 노후화되어 이용이 불편했던 밀양역사를 면적은 2.5배 규모로 당초 1층이던 역사를 3층까지 설계해 증축하기로 했으며 상동역사는 당초 규모보다 6배 가량 증축하며 육교가 없어 위험하게 철로를 건너 하행선을 타야했던 구조를 육교를 신설해 고객들이 안전하게 역에서 기차를 탈 수 있게하는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울산]]에서 추진중이지만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781|울산-전주간 고속철도]]가 밀양과 전북 장수군 장계면을 거쳐 전주로 거쳐가게 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어 공사까지 성사되면 밀양도 동서간 철도노선을 혜택을 입게 될것으로 본다. == 도로 == [include(틀:밀양시의 로)]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신대구부산고속도로]]가 시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삼랑진IC]], [[남밀양IC]], [[밀양IC]]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함양울산고속도로]] 밀양~울산 구간이 2020년 11월 개통되면서, 울산으로 가는 교통이 좋아졌다. 아직 관내에 나들목은 없지만 [[서밀양IC]]가 공사중이며 2024년 개통 예정이다. 또한 밀양~부산신항고속도로와 밀양~김해(구 밀양진례고속도로 계획) 고속도로가 계획 중에 있어 경상남도 동부권의 교통의 요지로 성장할 가능성이 많이 높아졌다. === [[국도]] === [[24번 국도]], [[25번 국도]], [[58번 국도]]가 있다. * [[24번 국도]]: [[창녕군]]에서 천왕재를 타고 넘어온다. 청도, 무안, 부북, 밀양시내, 산외, 산내면을 거쳐 [[울산광역시]]로 넘어가는 국도로, 부북면에서 그 동쪽으로는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다. 산내면에서 울산으로 넘어가는 길은 [[가지산]]을 끼고 굽이굽이 올라간 뒤 중간에 터널로 넘을 정도로 험한 길이었으나 [[가지산터널]]을 길게 뚫으면서 소요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 * [[25번 국도]]: [[창원시]]에서 넘어와 하남, 상남, 밀양시내, 상동을 거쳐 [[청도군]]으로 넘어간다. [[중앙고속도로]] 개통 전까지 창원 및 부산을 잇는 국도였기 때문에 통행량이 많았고 지금도 적지 않다. 그래서 창원~밀양시내 구간은 2000년대 초반에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다. * [[58번 국도]]: [[김해시]]에서 [[낙동강]]을 넘어와 삼랑진, 밀양시내, 부북을 거쳐 부북면 위양리에서 끝난다. 중간에 단절된 이 국도는 상동면 옥산삼거리에서 다시 나타나 [[청도군]]으로 넘어간다. 부북면 일부 구간은 [[24번 국도]]와 중첩된다. 위양리에서 산 너머 상동면 옥산리로 넘어가는 형태로 도로가 계획되어 있으나 계획만 있다. [[25번 국도]]의 하남읍 수산리~밀양시내 구간, [[24번 국도]]의 밀양시내~가지산터널 구간은 [[밀양대로]]라는 도로명으로 지정되어 있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30번 지방도]] *[[지방도]] : [[1008번 지방도]], [[1022번 지방도]], [[1051번 지방도]], [[1077번 지방도]], [[1080번 지방도]] == 버스 ==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하면 전국에서 유일하게 서울행 버스가 없는 시였으나 [[2015년]] [[4월 21일]]에 1일 2회 [[동서울터미널]]로 가는 노선이 개통되었다. 그 이전에는 [[경부선]]을 담당하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 행선지에도 밀양행 노선이 없었고 경상남도 노선을 주로 운행하는 [[서울남부터미널]] 역시 밀양행 노선이 없었다. 애초부터 철도의 [[포스]]가 강력해서 버스 회사들이 도전 못한 곳으로 설상가상으로 [[대구부산고속도로]]가 민자로 추진되어 통행료가 비싸진 게 철도에 득이 되었다. 2016년 5월에는 드디어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행이 1일 4회로 신설되었으나, 역시 철도에 밀려서 동서울행은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을 이기지 못하고 2016년 10월에 폐지, 서울경부행도 1일 3회로 감축됐다. 현재는 [[코로나19]]로 운행중단중이라 어쩔 수 없이 밀양역에서 여객열차를 이용하거나 동대구로 가서 서울경부/동서울행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그나마 가까운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행 시외버스는 꽤 자주 다닌다. [[경전선]]과 달리 하남읍(수산)을 경유한다. 밀양역 앞에서 창원 경유 마산행 KTX 연계 시외버스도 있었지만(2011년 현재 시외버스는 밀양역을 거치지 않음) [[무궁화호]]에 비해 운임이 배 가까이 비싸다(흠좀무). [[ITX-새마을]]과는 동일수준. [[시외버스 부산서부-밀양|부산행 시외버스]]도 있긴 있으나 경부선 열차에 밀린다. 밀양시에서 호남 지방으로 가기 위해 환승하려는 게 아니면 이점이 적다. 무궁화호는 일단 운임이 저렴하고[* 특히 북부산이나 서부산 쪽으로 가는 경우 철도를 이용하여 [[구포역]]으로 가는 것이 훨씬 편하다. 밀양역에서 구포역까지 무궁화호 운임이 2,800원에 중간 정차역이 없는 열차는 25분에 끊어주고, 경유역이 많은 편성이더라도 30분 내외로 갈 수 있다. 게다가 구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지나가고 있어 밀양에서 동래나 해운대로 가는 경우 도시철도 운임을 포함하여 4,100원으로 1시간 내외로 갈 수 있다.], ITX-새마을이나 KTX는 아무리 비싸도 단거리이기 때문에 그렇게 부담이 크지 않다. 대구, 부산 도심으로 갈 때는 열차가 더 편하다. 특히 대구로 갈 때는 터미널보다 열차를 많이 이용하도록 하자. [[밀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대구 가는 차가 없지 않지만, [[25번 국도]]를 따라 청도와 [[경산시외버스터미널|경산]]을 거쳐 가는 완행버스이기 때문에 시간도 요금도 배로 든다. 거기다 종착지도 하필이면 가장 낙후한 [[남부정류장]]이었으나 동부,남부,고속터미널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합쳐져서 종착지도 변경되었다. 그래도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행이 1일 3회밖에 없어서, 대구방면은 [[빼도 박도 못한다|빼도 박도 못하고]] 철도 확정됐다.[* 사실 밀양 - 대구 노선이 수요가 없는 건 비싼 요금도 한몫한다. 시외버스 요금보다 KTX 요금이 '''1,200원'''이나 더 싸다.] 그 외 철도 교통조차 불편한 호남 방면으로의 노선은 없으며,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구나 부산, 창원으로 가서 환승해야 한다. 그런데 밀양에서 호남 지방으로 가기 상당히 골치아픈 게, 굴곡 선형 아니면 시내 관통 문제가 걸리기 때문에 시간적 손실이 매우 크다. 호남권 최대도시인 [[유스퀘어|광주광역시]]로 가는 노선조차 없으며, 하다못해 순천이나 광양 쪽으로 가는 노선, 혹은 [[섬진강휴게소]]에서 환승할 수 있는 노선조차도 없어서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광신고속]]이라던지 [[금호고속]] 등 장거리를 운행하는 호남권 회사들이 밀양 방면으로 관심이 없으며, [[밀성여객]]조차도 호남지방으로 진출할 생각을 안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함양울산고속도로]]가 완전 개통되어야 해결될 수 있다. 그대신 자전거 타고다니기 편하다. 기타 시외버스 노선에 대해서는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 시내버스 === [[밀양시 시내버스]]에 대해서는 [[밀양교통]]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밀양역]]과 밀양시외버스터미널 간에 거리 진짜 멀다고는 하지만, 밀양역 앞에서 밀양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버스가 많다. 그리고 도심 내에도 차량이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라 택시로는 10분에서 15분, 버스는 20분 내외면 도착할 수 있다. 하지만 편도 2차선의 도로가 많아서, 한 번 막히기라도 한다면 이를 대표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곳이 바로 밀양전통상설시장과 내일동 주민센터 앞이다. 평소에는 그럭저럭 차량 통행이 원활하지만 [[추석]]이나 [[설날]] 등 명절 때는 교통 체증이 심하다. == 택시 == ||<-2> [[파일:밀양시 CI_White.svg|width=25]]{{{#ffffff '''경남 밀양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4,000원(2km) || || 추가(병산제) 100원(31초/130m) || || 심야 할증 20% / 시계 외 할증 30% || || 복합 할증 40% || ||<-2>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분류:밀양시의 교통]]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밀양시, version=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