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바닥이란 게.jpg]] > '''밑바닥에도 바닥이란 게 있다는 걸!''' >'''(下には下がいるという事を!)''' [목차] == 개요 == 애니메이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35화에 나온 대사이다. 의미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관용어구이기 때문에 인터넷 밈이 되어 한국에서 자주 인용되는 대사가 되었다. == 번역 == 원래는 일본어 관용구인 '위에는 위가 있다(上には上がある)'[*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랑 비슷하다 생각하면 된다.]를 거꾸로 비틀어 만든 말로, 직역하면 '밑에는 더 밑이 있다'가 된다. 여기서 일본어 '시타(下)'는 바닥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바닥에는 더 바닥이 있다'로도 옮길 수 있게 된 것인데, 앞서 언급한 관용구를 생각하면 '밑'으로 염두에 두고 라임을 맞추는 게 맞다. 어차피 바닥이나 밑이나 대충 뜻은 통하긴 하니 그냥 '밑바닥'으로 쓰는 것.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나보다 못난 놈도 있다는 걸!"'''로 번역되었다. == 상황 == 1기 35화. [[듀얼 아카데미아]]를 인수하려는 [[만죠메 쥰]]의 큰형 쵸사쿠는 오너 [[카이바 세토]]로부터 인수 허가조건으로서 아카데미아 대표 1인과 듀얼을 해 이길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쵸사쿠는 자신과 듀얼할 대표로서 막내동생 쥰을 지명한다. 여기서 쵸사쿠는 쥰에게 핸디캡을 거는데, 조건은 쥰의 덱은 공격력 500 이하의 몬스터로만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쵸사쿠는 일전 학교대항전 듀얼 때 쥰이 쓰지 않았던 카드들로 덱을 짤 것이라고. 공격력 500 이하의 몬스터라고는 방해꾼 옐로밖에 없었던 만죠메는 [[다이토쿠지(유희왕)|다이토쿠지]]가 준 정보로 학생들이 쓰지 않는 카드를 버린 우물로 가서 [[후도 유세이|카드를 주워 덱을 짠다.]] 버려진 카드들 중에는 방해꾼 블랙과 그린도 있어서 삼형제가 재회하게 되었다. 듀얼은 시작되고, 쥰은 자신의 덱의 몬스터들은 모두 '''공격력 0'''이라고 선언한다. 쵸사쿠는 [[페러렐 레어]] 카드인 [[용마인 킹드라군]]을 시작으로 [[에메랄드 드래곤]], [[사파이어 드래곤]], [[다이아몬드 드래곤]] 등 방송 당시에는 강력했던 드래곤족 몬스터를 줄줄이 전개해 쥰을 압박하고, 쥰은 [[불행한 소녀]]로 배틀 페이즈를 강제종료시키거나, [[암흑의 문]]으로 공격가능 몬스터를 1체로 제한하면서 끈질기게 수비한다. 그러던 중, 쵸사쿠는 [[더스트 토네이도]]를 뽑는 데 성공하여 다음 쥰의 턴에 발동, 암흑의 문을 파괴하였다. 이제 뒤가 없는 상황. 쥰은 [[고통의 선택]]을 발동해 몬스터 4장[* [[캐슬 게이트]], [[새크리파이스(유희왕)|새크리파이스]], [[흉내쟁이 환술사]], [[왕립 마법도서관]]]과 [[썬더 크래시]]를 쵸사쿠에게 보여준다. 쵸사쿠는 신중을 기하기 위해 썬더 크래시를 고르는데, 쥰은 쵸사쿠의 선택을 내다보고 있었다. 그리고 [[마의 탈의실]]을 발동시켜 방해꾼 삼형제를 특소. 쵸사쿠는 공격력 0인 몬스터들 중에서도 특히 우스꽝스런 외모를 가진 방해꾼 삼형제를 보며 조무래기라고 표현하자 이 녀석들을 바보 취급하는 건 용서하지 못한다며 일갈한다. 실제로 공격력이나 외모 폄하를 인정하면서도, 만죠메 자신이 배운 게 있다며 내뱉은 게 짤방의 대사. 원래는 이 녀석들을 통해 방황하던 자신을 다잡았다거나 배운 게 있다는 등의 감동적인 문구를 날려줘야 하는 부분[* 실제로 방해꾼들도 형제의 우정, 힘을 합치면 뭐든 할 수 있다 같은 전형적인 말을 할 줄 알고 설레발을 떨었다.]이었으나, 만죠메는 "바닥에는 더 바닥이 있다는 걸 배웠다! 나는 이 녀석들에 비하면 훌륭하다!"는 자뻑 발언으로 시청자들의 통수를 쳤다. 하여튼, 쥰은 직후 [[방해꾼#방해꾼 델타 허리케인!!|방해꾼 델타 허리케인!!]]으로 쵸사쿠의 필드를 날려버리고, 썬더 크래시를 발동시켜 삼형제[* 삼형제가 카드 설명을 스스로 읽고 벌벌 떠는 게 백미.]를 파괴해 900 데미지를 먹인다. 게다가 쥰은 이 턴 동안 일반 소환권을 아직 쓰지 않은 상태였고, [[카오스 네크로맨서]]를 일반 소환. 이때까지 묘지에 몬스터가 11체 쌓여있어서 공격력은 3300이었고, 단 1번의 공격으로 피니시를 냈다. 학생들은 환호하며 만죠메 썬더를 연호했고, 쵸사쿠는 쥰은 우리 생각보다 더 성장했다며 막내를 인정한다. 이 에피소드는 단순히 짤방을 위한 에피소드가 아니며, 만죠메의 정신적 성장을 다룬 에피소드이기도 하다. 당장 저 대사 다음으로 나오는 장면은 상대인 쵸사쿠가 밑바닥에 떨어져버린 만죠메를 떨거지라고 무시하자 이를 언급하면서 만죠메가 반격하는 장면이다. 이후 [[고카이도 호잔]]과의 듀얼에서도 나온다. 이전의 만죠메처럼 엘리트주의에 푹 빠진 고카이도가 만죠메에게 실망해 오시리스 레드를 싸잡아 폄하할 때 나온다. 쵸사쿠에게 할 때처럼 상대의 폄하를 인정하면서도, 오시리스 레드에서 배운 게 있다며 또 저 대사를 외친다. 그러나 이번에는 "'''하지만, 거기까지 떨어져야 엘리트일 때 보이지 않는 게 보인다.'''"라며 밑바닥으로 추락했을 때 자신을 돌아보는 것의 중요함을 역설했다. 결판을 낼 때도 "한 번 지옥까지 떨어진 다음 기어올라 와봐라. 넌 할 수 있을까?"라고 확인사살. 이후 88화에서 사이오의 세뇌에서 벗어날 때에도 같은 대사를 했다. 덤으로 이번엔 방해꾼 옐로가 세번째로 뭔가를 말하려고 한 '그리고'에 절묘하게 맞물린 게 백미. == 변형 == 짤방상의 자막을 굳이 정확하게 지켜서 인용하지 않고 '바닥 밑에 더 바닥이 있다', '밑에는 더 밑이 있다', '바닥 밑에는 [[지하]]가 있다', '지하를 넘어 내핵까지 뚫는다' 등으로 변용하기도 한다. 참고로 '''이 말은 유희왕 애니와 전혀 무관하게 이전부터 있었다. 구글에 일본어로 下には下がいる를 검색하면 유희왕 관련 이야기는 거의 안 나온다.'''[* 말하자면 이것을 명대사로 생각하며 두고두고 인용하는 것은 일본이 아니라 오히려 한국이라는 말도 된다.] 사실 일본어에 이전부터 있던 관용구인 '위에는 더 위가 있다'를 정반대로 변형시키는 정도의 창의력은 일본인들도 있었을 게 당연하다. 특히 대한민국 주식판에 이미 이전부터 같은 말이 있었다. 2000년 동아일보 기사를 보면 '바닥 밑에는 지하가 있다'라는 제목을 쓴 것이 있다. 주식을 소재로 한 영화 [[작전(영화)|작전]]에서도 '''바닥인 줄 알고 사는 놈들, 지하실 구경하게 될 겁니다'''라는 작중 명대사로 꼽히는 대사가 되기도 한다. 사람들이 생각하는 게 어디든 비슷한가 보다. === 유희왕 본편과 관련 === 2016년 하반기, 후속작 [[유희왕 ARC-V]]가 [[유희왕 ARC-V/비판|나날이 바닥을 뚫고 가는 전개]]로 비판받는 와중,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075/read/30580026|한 시청자가 해당 장면을 인용한 글]]을 올린 것을 계기로, 밑바닥에도 바닥이 있다는 만죠메의 자뻑 대사가 [[신의 한 수|유희왕 프랜차이즈의 미래를 내다본 일침]]으로 재평가받기 시작했다. 나아가 아크파이브와 같은 시기, 아크파이브가 종영되는 [[애니메이션/2017년 1월|2017년 1분기]], [[애니메이션/2018년 1월|2018년 1분기]]를 전후로 유독 특정 시리즈/프랜차이즈에서 기존에 평가가 좋지 못했던 작품보다도 더 평가가 떨어지거나 BD/DVD 초동 판매량에서 역대 최저치를 갱신하는 등 여러 의미로 바닥을 뚫은 작품들과 [[SNK]] 같이 [[오와콘|안 그래도 상황이 안 좋거나 이미 망한 프랜차이즈들]], 그리고 [[원나블]], [[반요 야샤히메]] 등 많은 작품들이 갈수록 실망스러운 전개를 연이어 터뜨리면서 이 짤방의 확산에 더욱 불을 지폈는데, 덕분에 어디에서도 통하는 범용성 높은 명대사 겸 ARC-V의 현실을 나타내는 짤방으로 재발굴되었으며 만죠메는 [[지로보]]에 버금가는 시대를 앞서 간 대현자급 취급을 받게 되었다. 또한 최근 [[유희왕 고 러시!!/평가|유희왕 고 러시가 비판이 많아지는 바람에]] 또 평가가 오르고 있다. 즉, 소포모어 징크스의 대명사로 쓰이는 짤방이다. 참으로 많은 상황에서 쓰일 수 있는 이 명대사 덕분에, 이 짤이 인용되면 만죠메는 통칭 대현자 만죠메 선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패러디 목록 == * [[https://m.blog.naver.com/woohajin/221619771389|소녀전선]][[https://m.ruliweb.com/family/4382/board/184404/read/209381|#]] * [[https://youtu.be/ZFzuB-QD_Sk|롤토체스]][[https://i.ytimg.com/vi/ZFzuB-QD_Sk/sddefault.jpg|#]] * [[https://i2.ruliweb.com/cmt/22/11/01/18431f2dc6118c53d.gif|게임 회사들]] * [[https://i.ytimg.com/vi/b3zD0jdjxw8/maxresdefault.jpg|마스터 듀얼]] * [[https://dszw1qtcnsa5e.cloudfront.net/community/20200630/2d69f34e-151b-4f1a-909d-c10711d07c98/%EB%B0%91%EB%B0%94%EB%8B%A5.jpg|카운터사이드]] * [[https://m.inven.co.kr/board/maple/2715/26708|메이플스토리]] *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4276381|원신]][[https://arca.live/b/genshin/74354568?p=1|2]] * [[https://twitter.com/StarnoAsami/status/1448538995177099269|코코미]] * [[https://arca.live/b/bluearchive/62226189?p=1|게임물관리위원회]] *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5784612|역방향 버전]] * [[https://arca.live/b/counterside/28734557?p=1|카운터사이드 채널]] * [[https://arca.live/b/arknights/76904689?p=1|명일방주 채널]] * [[https://i.ytimg.com/vi/R6-82DO9TZo/maxresdefault.jpg|포켓몬스터]] * [[https://m.cafe.daum.net/umamusume-kor/Z4oy/29540?|우마무스메]] * [[https://www.fmkorea.com/2905230232|개잡주vs나스닥]] * [[https://m.dcinside.com/board/cheonjamun/2256?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EC%9A%94%EC%95%BD|마법천자문 3부]] == 관련 문서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평가]]''' * '''[[유희왕 5D's/평가]]''' * '''[[유희왕 ZEXAL/평가]]''' * '''__[[유희왕 ARC-V/비판]]__''' * '''[[유희왕 VRAINS/평가]]''' * '''[[유희왕 SEVENS/평가]]''' * '''__[[유희왕 고 러시!!/평가]]__''' * [[의문의 1승]] * [[3의 저주]] * [[원작파괴]] * [[용두사미]] * [[소포모어 징크스]] * [[소포모어 징크스/목록]] * [[잘 들어라, 애초에 기대를 하니까 배신을 당하는 거다.]] * [[다시 보니 선녀 같다]] [[분류:만죠메 쥰]][[분류:짤방/애니메이션]][[분류:유희왕/밈]][[분류:엔하계 위키/특징적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