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바다쇠오리}}}[br]Ancient murrele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ynthliboramphus antiquu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Synthliboramphus antiquus'' '''[br]Gmelin, 1789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신조상목(Neo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도요목(Charadriiformes) || || '''아목''' ||갈매기아목(Lari)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바다오리과(Alcidae) || || '''아과''' ||바다오리아과(Alcinae) || || [[생물 분류 단계#족|{{{#000 '''족'''}}}]] ||쇠오리족(Synthliboramphini)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바다쇠오리속(''Synthliboramph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바다쇠오리(''S. antiquus'')''' || [목차] [clearfix] == 개요 == '''바다쇠오리'''는 도요목 바다오리과에 속하는 섭금류이다. 한국에서는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자 흔한 겨울철새이다. == 생김새 == 몸길이는 약 24~27.5cm이다. 부리는 가늘고 살구색이며 기부가 검다. 몸윗면이 회갈색이고 몸아랫면이 흰색이다. 여름깃은 눈 뒤에 흰 선이 있고 멱과 뒷목이 검은색이다. 겨울깃은 눈 뒤에 흰 선이 없어지고 멱이 엷은 검은색이다. 어린새는 겨울깃과 비슷하지만 눈 뒤에 흰 선이 없고 멱이 거의 흰색이다. 바다쇠오리의 유사종으로 [[뿔쇠오리]]가 있다. 바다쇠오리는 뿔쇠오리와 달리 머리에 검은 뿔깃이 없다. 바다쇠오리는 부리가 살구색에 가늘고 뿔쇠오리는 부리가 청회색이고 약간 가늘다. == 서식지 == [[쿠릴열도]], [[사할린]], [[연해주]], [[알류산 열도]], [[알래스카]] 남부, 한국, 일본에서 번식하고 주변 해상이나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에서 월동한다. 대부분 구굴도, 칠발도에서 번식하고[* 구굴도, 칠발도 바닷새 번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 일반인은 출입하지 못해 번식하는 걸 보기 힘들다.] [[거제도]], [[백령도]] 주변 [[무인도]] 등에서도 번식한다. == 생태 == 먹이는 어류로, 식성은 육식성이다. 주로 낭떠러지에서 집단 번식을 하며, 3월 중순~4월 중순까지 번식을 시작한다. 한 배에 1~2마리의 새끼를 육추하며, 새끼가 어느 정도 자라면 낭떠러지에서 새끼를 떨어뜨려 비행하게 만든다. 월동 중에 잠수해 설치된 어망에 걸려 죽거나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해 개채수가 줄고 있다. [[분류:바다쇠오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