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물고기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59MS.png|width=40]] 0959 [[두드리짱]] || [[파일:960MS.png|width=40]] '''{{{#000,#fff 0960 바다그다}}}'''[br][[파일:961MS.png|width=40]] '''{{{#000,#fff 0961 바닥트리오}}}''' || [[파일:962MS.png|width=40]] 0962 [[떨구새]] || ||<-3> {{{#white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861MS.png|width=40]] 287 [[오롱털]] || [[파일:960MS.png|width=40]] '''288 바다그다'''[br][[파일:961MS.png|width=40]] '''289 바닥트리오''' || [[파일:962MS.png|width=40]] 290 [[떨구새]]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60 바다그다.png|width=100%]] || [[파일:961 바닥트리오.png|width=100%]] || || 바다그다 || 바닥트리오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white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white 타입}}}]] || || [[파일:960MS.png|width=50]][br]'''바다그다''' [br] ウミディグダ (우미디그다) [br] Wiglett || 전국: 0960[br]팔데아:288 ||<|2> [include(틀:물타입)] || || [[파일:961MS.png|width=50]][br]'''바닥트리오''' [br] ウミトリオ(우미토리오) [br] Wugtrio || 전국: 0961[br]팔데아:289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br]{{{#white (숨겨진 특성은 *)}}} || ||<|3> 공통 || [[포켓몬스터/특성/ㅁ#미끈미끈|미끈미끈]] || 접촉해 온 상대의 스피드를 떨어뜨린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주눅|주눅]] || 고스트, 악, 벌레 타입 기술을 받으면 스피드가 1랭크 상승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ㅁ#모래숨기|모래숨기]] || [[모래바람]]이 불 때 회피율이 1랭크 오른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white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0960 바다그다 ||<|2> 정원장어 포켓몬 || 1.2m || 1.8㎏ || '''255''' || || 0961 바닥트리오 || 1.2m || 5.4㎏ || 5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수중 3 || 5,120걸음 || 1,000,000 || [anchor(앵커-진화)] ||<#0267c2><-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0267c2> {{{#FFFFFF 진화}}} || [[파일:960.gif|width=60]] [br]0960 바다그다 || 레벨 26[br]→ || [[파일:961.gif|width=80]] [br]0961 바닥트리오 || [anchor(앵커-방어 상성)] ||<-3>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white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960MS.png|width=50]][br]바다그다 || 10 || 55 || 25 || 35 || 25 || 95 || 245 || || [[파일:961MS.png|width=50]][br]바닥트리오 || 35 || 100 || 50 || 50 || 70 || 120 || 425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60MS.png|width=50]][br]{{{#FFFFFF 바다그다}}} || ||<#ffffff,#000000><-2><:>{{{#!HTML}}}|| ||<-2> [[파일:961MS.png|width=50]][br]{{{#FFFFFF 바닥트리오}}}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나오하#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960MS.png|width=50]][br]{{{#white 0960 바다그다}}} || || 스칼렛 ||20m 떨어진 가비루사에게서 나는 냄새도 맡을 수 있어서 모래 속에 몸을 숨긴다. || || 바이올렛 ||디그다를 닮았지만 전혀 다른 종류다. [[수렴 진화|서식하는 환경에 적응한 결과, 우연히 닮게 되었다는 듯하다.]] || ||<-2> [[파일:961MS.png|width=50]][br]{{{#white 0961 바닥트리오}}} || || 스칼렛 ||겉보기와 다르게 성질이 사납다. 기다란 몸으로 먹잇감을 죄어서 굴 안으로 끌고 들어간다. || || 바이올렛 ||물고기 포켓몬의 일종. 닥트리오의 리전폼인 것으로 여겨지던 시기도 있었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트리플다이브]] || == 개요 == ||'''디그다를 닮았지만 완전히 다른 포켓몬''' 디그다를 닮았지만 완전히 종류가 다른 포켓몬입니다. 모래 속에서 몸의 일부만 내밀고, 바닷속에 있는 먹이를 먹고 삽니다. 모래 속의 몸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길이는 얼마나 되는지 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20m 떨어진 곳의 냄새도 맡을 수 있는 후각''' 후각이 뛰어나서 20m 떨어진 곳의 냄새도 맡을 수 있습니다. 항상 주위를 경계하는 겁이 많은 성격이라, 다른 포켓몬의 냄새를 맡으면 모래 속으로 숨어 버립니다. ---- [[https://pokemonkorea.co.kr/sv/menu168?stype1=&stype2=&number=2689&mode=view|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바다그다 소개 페이지]]에서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신규 포켓몬. 1세대 포켓몬인 [[디그다]]와 흡사하게 생겼지만, [[리전폼]]이 아닌 [[수렴 진화|진화 과정에서 비슷해졌을 뿐]]인 전혀 다른 포켓몬이다.[* 알 그룹도 디그다는 육상, 바다그다는 수중 3으로 완전히 별개의 종으로 취급된다. 한편 경험치 그룹은 둘 다 100만 그룹에 속해 있고, 알 부화 걸음도 5,120걸음으로 동일하며 종족값 총합도 같다.] 도감 분류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모티브는 [[https://ko.m.wikipedia.org/wiki/%EC%A0%95%EC%9B%90%EC%9E%A5%EC%96%B4|정원장어]][* [[아쿠아리움]] 등에서 '''가든일'''이라는 이름으로 전시하는 물고기이다.]이지만 외형상 물고기보다는 [[맛조개]]와 [[갯지렁이]]에 더 가깝다. 덤으로 바닥트리오의 몸 색깔이 붉은색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끈벌레]]도 모티브로 추정된다. 먹이를 바위 속으로 끌어간다는 것은 곰치의 습성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 포획 및 스토리 == ||<#0267c2>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SV || || {{{#FFFFFF 포지션}}} ||높은 공격과 스피드를 기반으로 한 물리 속공 어태커 || || {{{#FFFFFF 장점}}} ||극초반부터 포획 가능, 높은 공격과 스피드 || || {{{#FFFFFF 단점}}} ||처참한 내구, 좁은 기술폭, 풀타입 견제 불가, 수많은 경쟁자들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신비의물방울, 기합의띠 || || {{{#FFFFFF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마스카나 || || {{{#FFFFFF 추천 기술배치}}} ||트리플다이브 or 아쿠아브레이크(필수)/지옥찌르기/분함의발구르기/아쿠아제트 or 기습 || 극초반부터 바다그다를 포획할 수 있다. 단, 가까이 다가가면 숨어서 배틀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멀리서 볼을 던지는 식으로 배틀을 걸어야 한다. 멀리 떨어지면 다시 나온다. 이 사항들은 바닥트리오도 동일하다. 공격과 스피드가 높기 때문에 어태커로 쓰기에는 문제가 없지만, 초반 지역에는 다른 물타입 물리 어태커들도 많다는 게 문제. 특히 찌로꼬치를 초반에 잡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치명적인 단점인데, 꼬치조로 진화하면[* 심지어 진화 레벨도 둘 다 26이다.] 똑같이 물/땅/악 기술을 사용 가능하면서 공격, 스피드, 내구, 기술폭에서 전부 우위를 점하기 때문에 바닥트리오의 상위호환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결국 애정이 없으면 끝까지 들고 가기에는 힘들다. [[팔데아지방]]의 물 타입 체육관 관장 [[곤포]]가 사용한다. 높은 스피드 종족값과 조건부로 상대방의 스피드를 떨어뜨리는 특성 '미끈미끈'으로 선공권을 빼앗은 후 박치기 풀죽음 연계를 사용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 대전 == 쓸만한 공격기는 [[아쿠아제트]], [[트리플다이브]], [[기습(포켓몬스터)|기습]], [[지옥찌르기]], [[아쿠아브레이크]], [[속임수]], [[분함의발구르기]]를 배울 수 있으며, 변화기로는 [[추억의선물]]이 있다. [[닥트리오]]와 달리 [[지진(포켓몬스터)|지진]]과 [[칼춤(포켓몬스터)|칼춤]]을 배우지 못하고 풀 타입을 찌를 수 있는 물리기도 일절 배울 수 없다. 특성 미끈미끈은 접촉기를 사용한 상대의 스피드를 하락시키는 좋은 특성이지만, 디그다 계열과 종족값이 완벽하게 같아 내구형으로는 절대 써먹을 수 없다.[* 당장 알로라 리전폼 [[닥트리오]]만 봐도 미끈미끈과 동일한 성능을 가진 컬리헤어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개미지옥 특성을 가지고 있는 원종보다 저평가되고 있다.] 단일 물 타입이라 약점이 풀, 전기뿐인데 두 타입 모두 특수 기술의 비중이 높아서 약점이 찔리면 특성 발동에 제약이 걸린다. 다만 "'''1랭크라도 떨궈서 기점만 마련하면 된다'''"고 생각하면 아예 못 쓸 특성은 아니다. 아예 살아남아 활약하는 걸 포기하고 기합의띠 + 미끈미끈 조합으로 접촉기를 받으며 등장한 다음 120이라는 고스핏으로 [[추억의선물]]을 통해 '''공격, 특수공격 2랭크 하락 + 스피드 1랭크 하락'''이라는 크나큰 디버프를 가하며 퇴장하는 자폭 테러용으로 사용하는 것. 게다가 [[버티기]]도 배우므로 심리전만 잘 굴러가면 버티기로 1대 더 맞아서 스피드까지 2랭크 하락시킬 수 있다. 물론 상대에게 선공기가 하나라도 있는 순간 봉쇄되는 전술이므로 상대를 잘 보고 사용해야 하며, 랭크 다운 기반의 기점 마련이라 교체만으로 무효화된다는 것도 단점. 주눅은 나쁘지 않은 특성임에도 보유한 포켓몬들이 여러모로 하자가 많거나, 시너지가 잘 맞지 않아서 다른 특성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주목받지 못한 특성인데, 아쉽게도 바다그다 역시 여기에 속하는 포켓몬이다. 약점이 적은 순수 물 타입이고, 테라스탈을 이용해 반감으로 받아내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랭크를 상승시키는 전법도 활용해볼 수 있지만, 내구가 낮은 바닥트리오한테는 위험한 전략이다. 위협에도 발동하긴 하지만 물리형인 바닥트리오의 공격을 깎는 것 역시 이상적이지 않다. 종합하자면 딱히 특출난 장점이 보이질 않아서 실전에서 사용하긴 힘든 포켓몬. 그나마 특출난 점이 하나 있다면 숨겨진 특성이 모래숨기라 모래바람의 대미지를 입지 않아 모래팟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정도가 있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애니메이션 === == 기타 == * 포켓몬 홈페이지의 온라인 회의를 컨셉으로 한 홍보영상 세계 포켓몬 생태학회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https://pokemonkorea.co.kr/wpes|#]] * 원본인 디그다가 우스꽝스러운 이미지의 밈으로 유명한 덕분에 바다그다 역시 밈으로써 인기가 많다. 비슷하게 생긴 구석이 있는 [[디그다]]나 [[단단지]][* 디그다를 닮은 코를 빼면 껍데기 속에서 고개를 내민 단단지와도 닮은 데가 있다.]와 엮이는 경우도 많다. * 리전폼 같지만 아니기 때문에 유출 루머에서는 리전 페이크라고 불렸다. 이 당시에는 비공식 이미지로서 엄청나게 목이 길고 시퍼런 디그다라는 현재의 이미지와 비교해도 기괴한 모습을 보여줘서 유출 정보를 신봉하는 이들 사이에서 이것도 이것대로 밈이 되었다. * 바닥트리오는 바다그다의 3마리가 모여서 그런지 크기는 동일하지만 몸무게는 정확히 3배가 되었다. 또한 닥트리오와 달리 바다그다와의 코와 몸색이 서로 바뀌거나 반전되었다. * 색이 다른 바다그다는 노란색 몸에 코가 파란색이고, 색이 다른 바닥트리오는 반대로 몸색이 파랗고 코가 노란색이다.[* [[구르데]]의 이로치는 굴리는 구슬이 금색이 되는데, 이 2가지를 이용해 [[https://mobile.twitter.com/masamasagame/status/1602315353731649536|차마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무언가]]를 만든 일본 트위터의 유저가 올린 영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테라스탈 시, 상대의 시점에서 가장 뒤의 머리가 왕관을 쓰게 된다. * 한국 트위터의 한 유저가 올린 [[https://twitter.com/yap_miliy/status/1594220818757976067|플레이 영상]]에 나온 바다그다가 화제가 되었다. 포획을 하기 위해 전투를 하는 야생의 바다그다의 위치가 다른 플레이어의 다리 사이인데, 포획 실패 이후 [[발기|불쑥 튀어나오는]] 장면부터 [[힘껏치기]]를 사용해 [[정력|공격]]하는 장면까지 나타나 보는 사람들에게 [[검은 닌텐도|매우 충격적인 모습]]을 선사해줬다. 언어의 장벽이 없는 웃음 포인트였기 때문에 한국은 물론이고, 미국이나 일본 같은 외국인들에게도 널리 퍼져가며 크게 인기를 끌었다. 참고로 영상의 주인공인 플레이어는 얼굴이 너무 많이 팔려서 모자를 쓰고 다니고 있다고. === 삽화 === ||<-2>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60 바다그다 dex.png|width=100%]] || [[파일:961 바닥트리오 dex.png|width=100%]] || || '''바다그다''' || '''바닥트리오'''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일본어 || ウミディグダ ||<|2> 바다(海) + [[디그다]](ディグダ) || || 한국어 || 바다그다 || || 영어 || Wiglett || Water(물) 또는 Wiggle(꿈틀거리다) + 디그다(Diglett)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일본어 || ウミトリオ ||<|2> 바다(海) + [[닥트리오]](ダグトリオ) || || 한국어 || 바닥트리오 || || 영어 || Wugtrio || Water(물) 또는 Wiggle(꿈틀거리다) + 닥트리오(Dugtrio) ||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물타입 포켓몬]][[분류:포켓몬스터/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