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0307-e12.jpg]] 국제 바둑 기전인 [[응씨배]] [[트로피]]. [include(틀:바둑 관련 정보)] [목차] == 프로 기전 == [include(틀:바둑 기전)] === 국제 기전 === [[http://baduk.or.kr/info/gijun_list.asp?cmpt_tnmt_div=2|국제기전]] > [[2023년]] 현재 바둑 기전 [[그랜드슬램]]을 달성하려면 우승 경력을 챙겨야 하는 국제기전 6개 > [[응씨배]], [[삼성화재배]], [[LG배]], [[춘란배]], [[몽백합배]], [[난가배]] > [[한국]] 주최 2개, [[중국]] 주최 기전 3개, [[대만]] 주최 1개, [[일본]] 주최 0개.[* 현재 [[일본기원]] 주관 국제 메이저 바둑 기전은 '''제로(0)'''이다. 단 한 개도 없다. 이 때문에 [[2018년]] 들어서 다시 일본이 개최해야 하는 거 아니냐며 눈총을 받고 있다. 일본기원의 공식 입장은 "아직 메이저 개최 움직임은 없다. 계속 노력하겠다"이지만 언제가 될지는 모른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8/2018091800108.html|기사]]] ||||||||||||||||||||||||||||||||||||||||||||||||<:> 현행 국제 개인 바둑 기전 타이틀 홀더 || ||<:> 메이저 기전 ||<:> '''[[응씨배]]''' ||<:>''' [[삼성화재배]]''' ||<:> '''[[LG배]]''' || ||<:> 타이틀 홀더 ||<:> [[신진서]] 九단 ||<:> [[딩하오]] 九단 ||<:> [[딩하오]] 九단 || ||<:> 메이저 기전 ||<:>''' [[춘란배]]''' ||<:>''' [[몽백합배]]''' ||<:> ''' [[난가배]]''' || ||<:> 타이틀 홀더 ||<:> [[변상일]] 九단 ||<:> [[미위팅]] 九단 ||<:> [[구쯔하오]] 九단 || ||<:> 제한 기전 ||<:> [[글로비스배]] ||<:> [[봉황고성배]] ||<:> [[한중일 용성전]] || ||<:> 타이틀 홀더||<:> [[한우진]] 七단 ||<:> [[퉈자시]] 九단 || [[커제]] 九단 || ||<:> 제한 기전 ||<:> [[녜웨이핑배]] ||<:> [[월드바둑챔피언십]] ||<:>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국수산맥배]] || ||<:> 타이틀 홀더||<:> [[왕싱하오]] 九단 ||<:> [[위빈]] 九단 ||<:> [[신민준]] 九단 || ||<:> 여자 기전 ||<:> [[오청원배]] ||<:> [[센코배 월드 바둑 여류 최강전|센코배]] ||<:> || ||<:> 타이틀 홀더||<:>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九단 ||<:> [[최정]] 九단 ||<:> || * '''[[응씨배]]''': 4년에 한 번 시행한다. *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Mlily 梦百合杯世界围棋公开赛) *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http://baduk.lg.co.kr/|홈페이지]] - [[조선일보]]에서 연다. [[http://news.chosun.com/svc/list_in/se_list.html?catid=G13B|해설 연재]]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The Samsung Insurance World Masters Baduk)[[http://www.samsungfire.com/other/baduk/other_baduk_index.html|홈페이지]] - [[중앙일보]]와 [[한국방송공사]]에서 연다. [[http://article.joinsmsn.com/news/list/list_find.asp?page=1&field=reporter&keyword=%uBC15%uCE58%uBB38|해설 연재]][[http://www.kbs.co.kr/1tv/sisa/baduk/vod/index.html|방송보기]] *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http://www.chunlan.com/igo/index.asp|春兰杯(The Chunlan Cup) : 한국식으로 춘란(春蘭)배]] * [[농심신라면배]] * [[황룡사배 세계 여자바둑 대항전]] - 정관장배를 이은 한중일 여자국가대항기전. 원래 황룡산쌍등배였지만, [[2017년]] 대회 직전에 후원사가 교체되어 황룡사정단과기배가 되었고, 2017년 대회가 끝난 이후 그냥 정단과기 역시 후원사에서 빠져서 황룡사배로 이름이 다시 변경되었다. * [[천태산농상은행배 세계 여자바둑 단체대항전]] - [[여자]] 바둑 단체전. *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20]]: 신예 기전이다. [[한국]]의 [[현대글로비스]] 아닌 일본의 [[http://www.globis.co.jp/|글로비스경영인재개발학원]]에서 주최한다. * [[월드바둑챔피언십]]- 인공지능(딥젠고),중국(미위팅),일본(이야마 유타),한국(박정환) 이 벌인 대회. [[2018년]]부터는 그냥 바둑기사들 초청기전으로 바뀌었다. * [[궁륭산병성배 세계 여자바둑 선수권 대회]]: 2017년까지 세계 유일의 [[여자]][[바둑]] 국제 기전. * [[오카게배 국제신예바둑대항전]]: 만 30세 이하 신예바둑대항전. 여기 출전할 수 있는 기사는 그 어떤 대회를 불문하고 세계대회 우승 경력이 없어야한다. 일본 국내기전으로 [[오카게배]]가 별도로 있어서 오카게배 국제신예바둑대항전까지 붙여야한다. * 세계 시니어 바둑대회: 만 50세 이상 시니어 [[바둑기사]]들의 대회 * 한중일 3국 신예대항전: 각국의 신예 대표 기사들이 나와서 벌이는 대회. 1명은 역시드를 뽑는다. *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 세계 부문과 한국 부문이 따로 열린다. * 한중일 3국 바둑명인페어대회 * 국제 엘리트 마인드 게임스 바둑부문: 남자단체, 여자단체, 남자개인, 여자개인, 남녀페어 5종목이다. * [[CCTV 하세배 한중일 바둑쟁패전]] * [[한중일 용성전]] : 3개국 용성전 우승자들이 대결한다. * [[봉황고성배 한중정상전]](구 남방장성배) * [[센코배 월드 바둑 여류 최강전]] *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 [[SGM배 월드바둑 챔피언십]]: '복면기왕'이라는 컨셉으로 진행됐던 온/오프라인 익명 기전. *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 여자 바둑 패왕전]]: 농심배, 황룡사배와 유사한 한중일 3국 여자기사들의 단체대항전. 2022년 신설 * [[농심백산수배]]: [[농심신라면배]]의 시니어판 버전으로 한중일 3국의 시니어 기사들의 단체 대항전. 2020년 신설, 2023년 1회 대회 개최 ==== 역대 메이저 기전 우승자/준우승자[* 본선 3개국-16명 이상으로 각국 최상위권 선수가 공식 현장에 나섰고, 우승 상금 1억원 이상인 대회 기준] ==== ||<:> 대회 ||<:> 결정일 ||<:> '''우승자''' ||<:> 준우승자 || 비고 || ||<:> 1회 [[후지쯔배]] ||<:>1988-09-03 ||<:> '''[[다케미야 마사키]]''' ||<:> [[린하이펑]] || [* 최초의 우승] || ||<:> 2회 후지쯔배 ||<:>1989-08-05 ||<:> '''[[다케미야 마사키]]''' ||<:> [[린하이펑]] || [* 최초의 대회 2연패이자 2연속 준우승] || ||<:> 1회 [[응씨배]] ||<:>1989-09-05 ||<:> '''[[조훈현]]''' ||<:> [[녜웨이핑]] || [* 첫 한국인 우승] || ||<:> 3회 후지쯔배 ||<:>1990-08-04 ||<:> '''[[린하이펑]]''' ||<:> [[녜웨이핑]] || [* 첫 대만인 우승 (소속은 일본기원)] [* 린하이펑, 단일 대회 첫 3연속 결승 진출] || ||<:> 4회 후지쯔배 ||<:>1991-08-03 ||<:> '''[[조치훈]]''' ||<:> [[첸위핑]] || [* 유일한 기권 우승. 당시 준우승자 첸위핑의 건강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 || ||<:> 3회 [[동양증권배]] ||<:>1992-01-27 ||<:> '''[[이창호]]''' ||<:> [[린하이펑]] || [* 최연소 우승 (1975년 7월 29일 생으로 당시 16세 5개월)] || ||<:> 5회 후지쯔배 ||<:>1992-08-01 ||<:> '''[[오다케 히데오]]''' ||<:> [[왕리청]] || [* 최고령 우승 (1942년 5월 12일 생으로 당시 50세 2개월)] || ||<:> 2회 응씨배 ||<:>1993-05-20 ||<:> '''[[서봉수]]''' ||<:> [[오다케 히데오]] || [* 최고령 준우승 (오다케 당시 51세)] [* 첫 한/일 결승] || ||<:> 4회 동양증권배 ||<:>1993-06-08 ||<:> '''[[이창호]]''' ||<:> [[조치훈]] || [* 동일 국적 첫 결승 대결] || ||<:> 6회 후지쯔배 ||<:>1993-08-07 ||<:> '''[[유창혁]]''' ||<:> [[조훈현]] || [* 한국기원 기사 간 첫 결승] || ||<:> 5회 동양증권배 ||<:>1994-06-22 ||<:> '''[[조훈현]]''' ||<:> [[요다 노리모토]] || || ||<:> 7회 후지쯔배 ||<:>1994-08-06 ||<:> '''[[조훈현]]''' ||<:> [[유창혁]] || [* 당시 개최 대회 '그랜드 슬램'] || ||<:> 6회 동양증권배 ||<:>1995-05-24 ||<:> '''[[마샤오춘]]''' ||<:> [[녜웨이핑]] || [* 첫 중국인 우승] || ||<:> 8회 후지쯔배 ||<:>1995-08-05 ||<:> '''[[마샤오춘]]''' ||<:> [[고바야시 고이치]] || || ||<:> 7회 동양증권배 ||<:>1996-03-20 ||<:> '''[[이창호]]''' ||<:> [[마샤오춘]] || || ||<:> 9회 후지쯔배 ||<:>1996-08-03 ||<:> '''[[이창호]]''' ||<:> [[마샤오춘]] || || ||<:> 3회 응씨배 ||<:>1996-11-06 ||<:> '''[[유창혁]]''' ||<:> [[요다 노리모토]] || || ||<:> 1회 [[삼성화재배]] ||<:>1996-11-29 ||<:> '''[[요다 노리모토]]''' ||<:> [[유창혁]] || [* 삼성배에서 유일한 일본인 우승] || ||<:> 8회 동양증권배 ||<:>1997-04-18 ||<:> '''[[조훈현]]''' ||<:> [[고바야시 사토루]] || || ||<:> 1회 [[LG배]] ||<:>1997-05-19 ||<:> '''[[이창호]]''' ||<:> [[유창혁]] || || ||<:> 10회 후지쯔배 ||<:>1997-08-02 ||<:> '''[[고바야시 고이치]]''' ||<:> [[왕리청]] || [* 현재까지 마지막 일본인 메이저 우승] || ||<:> 2회 삼성화재배 ||<:>1997-11-28 ||<:> '''[[이창호]]''' ||<:> [[고바야시 사토루]] || || ||<:> 2회 LG배 ||<:>1998-03-23 ||<:> '''[[왕리청]]''' ||<:> [[유창혁]] || || ||<:> 9회 동양증권배 ||<:>1998-05-13 ||<:> '''[[이창호]]''' ||<:> [[유창혁]] || [* 마지막 동양배 우승] || ||<:> 11회 후지쯔배 ||<:>1998-08-01 ||<:> '''[[이창호]]''' ||<:> [[창하오]] || || ||<:> 3회 삼성화재배 ||<:>1999-02-08 ||<:> '''[[이창호]]''' ||<:> [[마샤오춘]] || || ||<:> 3회 LG배 ||<:>1999-05-10 ||<:> '''[[이창호]]''' ||<:> [[마샤오춘]] || [* 유일한 4연속 우승] || ||<:> 1회 [[춘란배]] ||<:>1999-06-29 ||<:> '''[[조훈현]]''' ||<:> [[이창호]] || [* 이창호, 유일한 5연속 결승 진출] || ||<:> 12회 후지쯔배 ||<:>1999-08-07 ||<:> '''[[유창혁]]''' ||<:> [[마샤오춘]] || || ||<:> 4회 삼성화재배 ||<:>1999-12-07 ||<:> '''[[이창호]]''' ||<:> [[조선진]] || [* 단일 대회 3연패 유일 사례] [* 이창호, 단일 대회 두 번째 3연속 결승 진출] || ||<:> 4회 LG배 ||<:>2000-05-10 ||<:> '''[[위빈]]''' ||<:> [[유창혁]] || || ||<:> 2회 춘란배 ||<:>2000-06-22 ||<:> '''[[왕리청]]''' ||<:> [[마샤오춘]] || || ||<:> 13회 후지쯔배 ||<:>2000-08-12 ||<:> '''[[조훈현]]''' ||<:> [[창하오]] || || ||<:> 5회 삼성화재배 ||<:>2000-12-14 ||<:> '''[[유창혁]]''' ||<:> [[야마다 기미오]] || || ||<:> 4회 응씨배 ||<:>2001-02-16 ||<:> '''[[이창호]]''' ||<:> [[창하오]] || || ||<:> 5회 LG배 ||<:>2001-05-19 ||<:> '''[[이창호]]''' ||<:> [[이세돌]] || || ||<:> 3회 춘란배 ||<:>2001-06-26 ||<:> '''[[유창혁]]''' ||<:> [[왕리청]] || || ||<:> 14회 후지쯔배 ||<:>2001-08-04 ||<:> '''[[조훈현]]''' ||<:> [[최명훈]] || || ||<:> 6회 삼성화재배 ||<:>2001-12-14 ||<:> '''[[조훈현]]''' ||<:> [[창하오]] || || ||<:> 6회 LG배 ||<:>2002-04-01 ||<:> '''[[유창혁]]''' ||<:> [[조훈현]] || [* 당시 개최 대회 '그랜드 슬램'] || ||<:> 15회 후지쯔배 ||<:>2002-08-03 ||<:> '''[[이세돌]]''' ||<:> [[유창혁]] || [* 3단으로 최저 단급 우승] || ||<:> 7회 삼성화재배 ||<:>2003-01-14 ||<:> '''[[조훈현]]''' ||<:> [[왕레이]] || [* 최고령 우승 2위 (1953년 3월 10일 생으로 당시 49세 10개월)] || ||<:> 1회 [[토요타덴소배]] ||<:>2003-01-29 ||<:> '''[[이창호]]''' ||<:> [[창하오]] || || ||<:> 4회 춘란배 ||<:>2003-03-18 ||<:> '''[[이창호]]''' ||<:> [[하네 나오키]] || [* 당시 개최 대회 '그랜드 슬램'] || ||<:> 7회 LG배 ||<:>2003-03-27 ||<:> '''[[이세돌]]''' ||<:> [[이창호]] || || ||<:> 16회 후지쯔배 ||<:>2003-07-07 ||<:> '''[[이세돌]]''' ||<:> [[송태곤]] || || ||<:> 8회 삼성화재배 ||<:>2003-12-11 ||<:> '''[[조치훈]]''' ||<:> [[박영훈(바둑)|박영훈]] || [* 유일한 '''와일드 카드''' 우승] [* 2회 우승 사이에 최장 기간 소요(12년 4개월)] || ||<:> 8회 LG배 ||<:>2004-04-01 ||<:> '''[[이창호]]''' ||<:> [[목진석]] || || ||<:> 17회 후지쯔배 ||<:>2004-07-05 ||<:> '''[[박영훈(바둑)|박영훈]]''' ||<:> [[요다 노리모토]] || || ||<:> 9회 삼성화재배 ||<:>2004-12-09 ||<:> '''[[이세돌]]''' ||<:> [[왕시]] || || ||<:> 2회 토요타덴소배 ||<:>2005-01-08 ||<:> '''[[이세돌]]''' ||<:> [[창하오]] || [* 한국 국적 기사 19연속 메이저 우승 (조치훈 포함)] || ||<:> 5회 응씨배 ||<:>2005-03-05 ||<:> '''[[창하오]]''' ||<:> [[최철한]] || [* 중국인 응씨배 첫 우승] || ||<:> 5회 춘란배 ||<:>2005-03-18 ||<:> '''[[이창호]]''' ||<:> [[저우허양]] || [* 17차례 우승, 현재까지 한국/세계 '''최다''' 기록] || ||<:> 9회 LG배 ||<:>2005-04-20 ||<:> '''[[장쉬]]''' ||<:> [[위빈]] || [* 현재까지 마지막 일본기원 메이저 우승자] || ||<:> 18회 후지쯔배 ||<:>2005-07-04 ||<:> '''[[이세돌]]''' ||<:> [[최철한]] || || ||<:> 10회 삼성화재배 ||<:>2006-01-13 ||<:> '''[[뤄시허]]''' ||<:> [[이창호]] || || ||<:> 10회 LG배 ||<:>2006-04-21 ||<:> '''[[구리]]''' ||<:> [[천야오예]] || [* 천야오예 최연소 준우승 (1989년 12월 16일 생으로 당시 16세 4개월)] || ||<:> 19회 후지쯔배 ||<:>2006-07-03 ||<:> '''[[박정상]]''' ||<:> [[저우허양]] || || ||<:> 3회 토요타덴소배 ||<:>2007-01-09 ||<:> '''[[이세돌]]''' ||<:> [[장쉬]] || || ||<:> 11회 삼성화재배 ||<:>2007-01-24 ||<:> '''[[창하오]]''' ||<:> [[이창호]] || || ||<:> 11회 LG배 ||<:>2007-03-22 ||<:> '''[[저우쥔쉰]]''' ||<:> [[후야오위]] || [* 현재까지 유일한 [[저우쥔쉰#s-4.1.4|대만기원]] 소속 우승] || ||<:> 6회 춘란배 ||<:>2007-03-25 ||<:> '''[[구리]]''' ||<:> [[창하오]] || || ||<:> 20회 후지쯔배 ||<:>2007-07-09 ||<:> '''[[박영훈(바둑)|박영훈]]''' ||<:> [[이창호]] || || ||<:> 12회 삼성화재배 ||<:>2008-01-24 ||<:> '''[[이세돌]]''' ||<:> [[박영훈(바둑)|박영훈]] || || ||<:> 12회 LG배 ||<:>2008-02-28 ||<:> '''[[이세돌]]''' ||<:> [[한상훈]] || [* 한상훈, 당시 초단으로 최저 단급 결승 진출] || ||<:> 21회 후지쯔배 ||<:>2008-07-07 ||<:> '''[[구리]]''' ||<:> [[이창호]] || || ||<:> 4회 토요타덴소배 ||<:>2009-01-08 ||<:> '''[[구리]]''' ||<:> [[파오원야오]] || [* 마지막 토요타배 우승] || ||<:> 13회 삼성화재배 ||<:>2009-01-21 ||<:> '''[[이세돌]]''' ||<:> [[쿵제]] || [* 우승자가 차기 대회 (14회) 불참] || ||<:> 13회 LG배 ||<:>2009-02-25 ||<:> '''[[구리]]''' ||<:> [[이세돌]] || || ||<:> 6회 응씨배 ||<:>2009-04-23 ||<:> '''[[최철한]]''' ||<:> [[이창호]] || || ||<:> 1회 [[BC카드배]] ||<:>2009-05-04 ||<:> '''[[구리]]''' ||<:> [[조한승]] || || ||<:> 7회 춘란배 ||<:>2009-06-24 ||<:> '''[[창하오]]''' ||<:> [[이창호]] || || ||<:> 22회 후지쯔배 ||<:>2009-07-06 ||<:> '''[[강동윤]]''' ||<:> [[이창호]] || || ||<:> 14회 삼성화재배 ||<:>2009-12-17 ||<:> '''[[쿵제]]''' ||<:> [[추쥔]] || || ||<:> 14회 LG배 ||<:>2010-02-24 ||<:> '''[[쿵제]]''' ||<:> [[이창호]] || [* 쿵제, LG배와 삼성화재배 동시 보유한 첫 중국 선수] || ||<:> 2회 BC카드배 ||<:>2010-04-27 ||<:> '''[[이세돌]]''' ||<:> [[창하오]] || [* 창하오, 중국 최다 준우승 (8회)] || ||<:> 23회 후지쯔배 ||<:>2010-07-05 ||<:> '''[[쿵제]]''' ||<:> [[이세돌]] || || ||<:> 15회 삼성화재배 ||<:>2010-12-10 ||<:> '''[[구리]]''' ||<:> [[허영호]] || || ||<:> 15회 LG배 ||<:>2011-02-23 ||<:> '''[[파오원야오]]''' ||<:> [[쿵제]] || || ||<:> 3회 BC카드배 ||<:>2011-04-28 ||<:> '''[[이세돌]]''' ||<:> [[구리]] || || ||<:> 8회 춘란배 ||<:>2011-06-30 ||<:> '''[[이세돌]]''' ||<:> [[셰허]] || || ||<:> 24회 후지쯔배 ||<:>2011-08-14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추쥔]] || [* 마지막 후지쯔배 우승] || ||<:> 16회 삼성화재배 ||<:>2011-12-07 ||<:> '''[[원성진]]''' ||<:> [[구리]] || || ||<:> 16회 LG배 ||<:>2012-02-15 ||<:> '''[[장웨이제]]''' ||<:> [[이창호]] || [* 이창호 최다 준우승 기록 (11회)] || ||<:> 4회 BC카드배 ||<:>2012-05-16 ||<:> '''[[백홍석(1986)|백홍석]]''' ||<:> [[당이페이]] || [* 마지막 BC배 우승] || ||<:> 17회 삼성화재배 ||<:>2012-12-13 ||<:> '''[[이세돌]]''' ||<:> [[구리]] || [* 이세돌 최다 우승 2위 기록 (14회)] || ||<:> 1회 [[백령배]] ||<:>2013-01-19 ||<:> '''[[저우루이양]]''' ||<:> [[천야오예]] || || ||<:> 17회 LG배 ||<:>2013-02-20 ||<:> '''[[스웨]]''' ||<:> [[원성진]] || || ||<:> 7회 응씨배 ||<:>2013-03-06 ||<:> '''[[판팅위]]'''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 최연소 우승 2위 (1996년 8월 6일 생으로 당시 16세 7개월)] || ||<:> 9회 춘란배 ||<:>2013-06-20 ||<:> '''[[천야오예]]''' ||<:> [[이세돌]] || || ||<:> 1회 [[몽백합배]] ||<:>2013-12-06 ||<:> '''[[미위팅]]''' ||<:> [[구리]] || || ||<:> 18회 삼성화재배 ||<:>2013-12-11 ||<:> '''[[탕웨이싱]]''' ||<:> [[이세돌]] || [* 3단으로 최저 단급 우승] [* 2013년도 한국 22년 만에 메이저 우승 실패] || ||<:> 18회 LG배 ||<:>2014-02-13 ||<:> '''[[퉈자시]]''' ||<:> [[저우루이양]] || || ||<:> 19회 삼성화재배 ||<:>2014-12-10 ||<:> '''[[김지석(바둑)|김지석]]''' ||<:> [[탕웨이싱]] || || ||<:> 2회 백령배 ||<:>2015-01-14 ||<:> '''[[커제]]''' ||<:> [[추쥔]] || || ||<:> 19회 LG배 ||<:>2015-02-12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김지석(바둑)|김지석]] || || ||<:> 10회 춘란배 ||<:>2015-06-03 ||<:> '''[[구리]]''' ||<:> [[저우루이양]] || [* 중국 최다 우승 (8회)] [* 현재까지 마지막 만 30세 이상 우승] || ||<:> 20회 삼성화재배 ||<:>2015-12-09 ||<:> '''[[커제]]''' ||<:> [[스웨]] || || ||<:> 2회 몽백합배 ||<:>2016-01-05 ||<:> '''[[커제]]''' ||<:> [[이세돌]] || || ||<:> 20회 LG배 ||<:>2016-02-04 ||<:> '''[[강동윤]]''' ||<:> [[박영훈(바둑)|박영훈]] || [* 알파고 활약 전 최후의 메이저 결승] || ||<:> 8회 응씨배 ||<:>2016-10-26 ||<:> '''[[탕웨이싱]]'''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 박정환, 유일한 응씨배 2연속 준우승] || ||<:> 21회 삼성화재배 ||<:>2016-12-08 ||<:> '''[[커제]]''' ||<:> [[퉈자시]] || || ||<:> 3회 백령배 ||<:>2016-12-16 ||<:> '''[[천야오예]]''' ||<:> [[커제]] || || ||<:> 21회 LG배 ||<:>2017-02-08 ||<:> '''[[당이페이]]''' ||<:> [[저우루이양]] || || ||<:> 11회 춘란배 ||<:>2017-06-26 ||<:> '''[[탄샤오]]''' ||<:> [[박영훈(바둑)|박영훈]] || || ||<:> 22회 삼성화재배 ||<:>2017-12-07 ||<:> '''[[구쯔하오]]''' ||<:> [[탕웨이싱]] || || ||<:> 1회 [[신오배]] ||<:>2017-12-26 ||<:> '''[[커제]]''' ||<:> [[펑리야오]] || [* 처음이자 마지막 신오배 우승] || ||<:> 3회 몽백합배 ||<:>2018-01-02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박영훈(바둑)|박영훈]] || || ||<:> 22회 LG배 ||<:>2018-02-08 ||<:> '''[[셰얼하오]]''' ||<:> [[이야마 유타]] || [* 이야마, 일본인 기사 15년 만에 메이저 결승 진출 (일본기원 기사로는 13년 만)] || ||<:> 23회 삼성화재배 ||<:>2018-12-05 ||<:> '''[[커제]]''' ||<:> [[안국현]] || || ||<:> 1회 [[천부배]] ||<:>2018-12-26 ||<:> '''[[천야오예]]''' ||<:> [[신진서]] || || ||<:> 4회 백령배 ||<:>2019-01-17 ||<:> '''[[커제]]''' ||<:> [[신진서]] || || ||<:> 23회 LG배 ||<:>2019-02-14 ||<:> '''[[양딩신]]''' ||<:> [[스웨]] || || ||<:> 12회 춘란배 ||<:>2019-06-27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박영훈(바둑)|박영훈]] || || ||<:> 24회 삼성화재배 ||<:>2019-09-06 ||<:> '''[[탕웨이싱]]''' ||<:> [[양딩신]] || || ||<:> 24회 LG배 ||<:>2020-02-12 ||<:> '''[[신진서]]'''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 ||<:> 25회 삼성화재배 ||<:>2020-11-03 ||<:> '''[[커제]]''' ||<:> [[신진서]] || [* 첫 온라인 결승] [* 중국 최다 우승 (8회)] || ||<:> 25회 LG배 ||<:>2021-02-04 ||<:> '''[[신민준]]''' ||<:> [[커제]] || [* 한국 선수, 7년 만에 메이저 결승 한/중 대결 승리] || ||<:> 4회 몽백합배 ||<:>2021-05-05 ||<:>'''[[미위팅]]''' ||<:> [[셰커]] || || ||<:> 13회 춘란배 ||<:>2021-09-15 ||<:> '''[[신진서]]''' ||<:> [[탕웨이싱]] || || ||<:> 26회 삼성화재배 ||<:>2021-11-03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신진서]] || || ||<:> 26회 LG배 ||<:>2022-02-09 ||<:> '''[[신진서]]''' ||<:> [[양딩신]] || || ||<:> 27회 삼성화재배 ||<:>2022-11-08 ||<:> '''[[신진서]]''' ||<:> [[최정(바둑기사)|최 정]] || [* 유일한 남녀 결승] [* 2022년도 중국 18년 만에 메이저 우승 실패] [* 27년 만에 한 명이 당해 메이저 우승 독식 ] [* 신진서, 단일 대회 세 번째 3연속 결승 진출] || ||<:> 27회 LG배 ||<:>2023-02-01 ||<:> '''[[딩하오]]''' ||<:> [[양딩신]] || || ||<:> 1회 [[난가배]] ||<:>2023-06-17 ||<:> '''[[구쯔하오]]''' ||<:> [[신진서]] || || ||<:> 14회 춘란배 ||<:>2023-07-19 ||<:> '''[[변상일]]''' ||<:> [[리쉬안하오]] || || ||<:> 9회 응씨배 ||<:>2023-08-23 ||<:> '''[[신진서]]''' ||<:> [[셰커]] || [* 직전 대회와의 우승자 결정일 간격이 약 6년 10개월로 가장 긴 대회] [* 준결승전과 결승전 간격이 약 2년 7개월로 가장 긴 대회] || ||<:> 28회 삼성화재배 ||<:>2023-11-28 ||<:> '''[[딩하오]]''' ||<:> [[셰얼하오]] || || * 우승 횟수 TOP 12 : [[이창호]] (17) / [[이세돌]] (14) / [[조훈현]] (9) / [[구리]] = [[커제]] (8) / [[유창혁]] (6) / [[박정환]] = [[신진서]] (5) / [[창하오]] = [[쿵제]] = [[천야오예]] = [[탕웨이싱]] (3) * 준우승 횟수 TOP 17 : [[이창호]] (11) / [[창하오]] (8) / [[유창혁]] (7) / [[마샤오춘]] = [[이세돌]] = [[박영훈]] (6) / [[신진서]] (5) / [[구리]] (4) / [[린하이펑]] = [[녜웨이핑]] = [[왕리청]] = [[요다 노리모토]] = [[추쥔]] = [[저우루이양]] = [[박정환]] = [[탕웨이싱]] = [[양딩신]] (3) [[파일:국제 메이저 바둑 기전 우승.png]] [[1988년]]부터 [[2017년]]까지 국제 메이저 바둑 기전과 [[중환배]]의 우승자 목록 정리. 주관/소속 기원별로 분류. [youtube(Zu4DwwyMOH8)] 1988년부터 2018년까지 주요 대회 우승/준우승/3위권 선수 정리. (중환배/국수산맥배 등 제외) ==== 메이저 국제기전 우승자 연령대 추이 ==== * [[중국]]에서 정리한 것. * [[2017년]] [[12월 10일]] 기준이라 [[신아오배]]([[커제]])가 없다. * 기산된 메이저 기전: [[응씨배]],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삼성화재배]], [[LG배]], [[춘란배]], [[토요타덴소배]], [[BC카드배]], [[바이링배]], [[몽백합배]]. --'''[[대만]]/[[미국]] [[하나의 중국|공동]][[양안관계|개최]] [[미중관계|기전]]이라고 [[중환배]] 빼버리는 [[대륙의 기상]]'''-- [* 사실 이부분은 오해가 있는데, 중국에선 이 대회를 메이저 세계대회가 아니라 별도로 집계할 나름의 이유가 있다. 대만과 미국이 주최한 기전이라서가 아니라, 중국과 대만의 외교문제가 불거지며, 중국기사들이 모두 불참한 대회기 때문이다. 중국기사들의 불참으로 한국의 잔치가 된 대회인데다, 고작 16명 초청한 대회 규모나, 상금 수준도 그렇고, 일주일만에 끝나는 일정까지. 당대에 이미 마이너 기전으로 인식되던 상황이었다.] [[파일:1514952026.jpg]] 국제 바둑 기전 우승자 연령대 순위. (파란색: [[한국]], 노란색: [[중국]], 회색: [[일본]], 초록색: [[대만]]) [[1992년]] [[후지쯔배]] 우승자 [[오다케 히데오]] 九단이 가장 최고령(50.3세)이며, [[1992년]] [[동양증권배]] 우승자 [[이창호]] 九단이 가장 최연소(16.5세)이다. [[판팅위]]의 [[2012년]] [[응씨배]] 우승이 16.6세로 추격했지만 간발의 차이로 아직까지 이창호의 우승 기록은 깨지지 않는 중. [[파일:1514952027.jpg]] 국제 바둑 기전 우승자 연령대 추이. [[바둑 갤러리]] 왈 '''"[[틀딱충|틀딱]]들 허벌 시대에서 어린애들 박터지는 경쟁시대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duk&no=398381|출처]] [[http://web.archive.org/save/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duk&no=398381|아카이브]] === 한국 기전 === [include(틀:한국의 바둑 기전)] ||||||||||||||||||||||||||||||||||||||||||||||||<:> 현행 한국 개인 바둑 기전 타이틀 홀더 || ||<:> 종합 기전 ||<:> [[GS칼텍스배]] ||<:> [[용성전(한국)|용성전]] ||<:> [[명인전]] ||<:> [[남자 최고 기사 결정전|최고 기사 결정전]] || [[한국기원 선수권전]] || ||<:> 타이틀 홀더 ||<:> [[변상일]] 九단||<:> [[신진서]] 九단 ||<:> [[신민준]] 九단 ||<:> [[신진서]] 九단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 || || 종합 기전 || [[YK건기배]] || [[백암배]] || || 타이틀 홀더 ||<:> [[신진서]] 九단 || [[김명훈]] 九단 || ||<:> 제한 기전 ||<:> [[맥심커피배]] ||<:> [[대주배]] ||<:> [[문경새재배]] ||<:> [[KBS 바둑왕전]] ||<:> [[대통령배]] || ||<:> 타이틀 홀더||<:> [[신진서]] 九단 ||<:> [[유창혁]] 九단 ||<:> [[안성준]] 九단 ||<:> [[신진서]] 九단 ||<:> [[이원도]] 九단 || ||<:> 신인 기전 ||<:> [[미래의 별]] ||<:> [[하찬석국수배]] ||<:> [[크라운해태배]] ||<:>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이붕배]] || [[밀레니엄 천원전]] || ||<:> 타이틀 홀더||<:> [[권효진(2004)|권효진]] 6단 ||<:> [[박지현]] 4단 ||<:> [[신민준]] 九단 || [[문민종]] 7단 || [[한우진]] 7단 || ||<:> 신인 기전 ||<:> [[영웅전]] || ||<:> 타이틀 홀더||<:> [[김은지]] 5단 || ||<:> 여자 기전 ||<:> [[여자기성전]] ||<:> [[여자국수전]] ||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기업은행배]] ||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난설헌배]] || ||<:> 타이틀 홀더||<:>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 [[김은지(2007)|김은지]] 五단 || || 여자 신인 기전 || [[밀레니엄 여자 최강전]] ||<:> [[효림배]] || || 타이틀 홀더 ||<:> [[김효영(바둑)|김효영]] 初단 ||<:> [[박소율]] 3단 || ==== 종합기전 ==== [[http://baduk.or.kr/info/gijun_list.asp?cmpt_tnmt_div=1|한국]] * [[GS칼텍스배 프로기전]]: [[2018년]] 기준 '''대한민국 최대 규모 바둑 기전.''' [[매일경제신문]] 주최, [[바둑TV]] 생중계, [[GS칼텍스]] 후원. * [[바둑TV배 마스터스|바둑TV배]] - 2017년 바둑TV배로 시작해서 화성시장배로 이어지고, 2018년부터는 [[JTBC]]에서 주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예선 없이 바로 본선 토너먼트 진행. 한 해에 4차례 열렸다. JTBC배로 바뀌면서는 공식 기전으로 분류하겠다가 공식 입장이나, 본선이면 전 대국을 기보로 기록해야 하는데 6회전 이전의 대국은 기보로 기록하지 않는다. 한국기원 홍석현 총재가 물러나며, 2019년부터 다시 바둑TV배가 만들어졌다. * [[용성전(한국)|용성전]]: [[2018년]]에 일본 용성전을 개최하는 [[일본]] [[바둑장기채널]]이 기존 일본, 중국 용성전 이외에 한국 용성전도 개최하기로 하였다.(!!!) [[일본]] [[바둑장기채널]]에서 방송하며, [[한국]] [[바둑TV]]에서도 녹화방송한다. 우승자는 [[한중일 용성전]] 진출. * [[참저축은행배]] : 참저축은행에서 개최하는 프로/아마 오픈 기전. 2019년 대회에는 프로 54명 + 아마 10명 참가했지만, 한국 1-2위를 다투는 신진서 / 박정환은 참가하지 않았다. 2020년에는 미개최. * [[명인전]] : [[한국일보]]에서 주최하는 바둑 기전. 1969년에 대회가 창설되었고, 2015년 대회 이후 중단되었다가 2021년 다시 열린다. 현재 진행 중인 국내 바둑 기전 가운데 가장 역사가 오래된 기전이다. *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최고 기사 결정전]](2기 ~ ) : 2기 대회부터 전기 준우승자와 풀리그 2~4위가 차기 시드를 받고, 와일드카드 1명과 예선통과자 4인 총 9인이 본선에 출전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특히 결승전은 도전기 방식을 채택하며 전기 우승자는 도전기에 직행하게 됐다. * [[한국기원 선수권전|한국기원 선수권전]] : 1기는 12명의 양대 리그전으로 열렸으며 2기부터는 32강전으로 진행한다. * [[YK건기배]] : 2022년 신설된 기전 프로와 아마가 모두 참가가 가능하며 10명이 본선 풀리그를 진행한다. 현재 [[한국]] [[바둑]]은 굉장히 심각하다. 종합 기전이 5~6개밖에 남지 않았고, 도전기 방식으로 하는 타이틀 기전은 '''하나도 없다'''. 일본이 7대 기전, 중국이 3대 기전, 대만이 5대 기전으로 종합 타이틀 기전이 있는 반면, 한국은 가장 권위가 높았던 [[국수전]]마저 [[2016년]] 폐지되면서 정말로 '''제로(0)'''가 되고 말았다.[* 바둑의 인기가 매우 없다는 것이 크다. 돈도 안 되고 굳이 해봤자 홍보 효과도 안 되기 때문일 것이다. 젊은 바둑 팬의 유입은 없고 대부분 젊은 세대들은 컴퓨터 게임을 많이 본다. 옛날과는 다르게 즐길 게 매우 많은 시대다. 바둑 하면 아직도 어렵고 나이든 사람들이 한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세계 기전도 사실 LG배는 폐지를 진심으로 고려했고, 삼성화재배도 폐지설이 돌 정도로 위기가 컸다. LG배는 3년 연속 중국 우승, 삼성화재배는 5년 연속 중국 우승이다. 특히 LG배는 2019년 현재 3년 연속 타국 선수의 대결이다. 삼성화재배는 2015-2017까진 중중전이었지만, 2018년에 안국현이 준우승을 했다. 세계 기전은 최근 중국이 말 그대로 휩쓰는 상황이라 그렇다. 월드컵이나 올림픽, 유로나 아시안컵처럼 중립적인 주관 기구가 있으면 모를까 바둑 세계대회는 각 나라 기업이 개최하기 때문에 자국 기사가 잘하는 것이 좋을 수밖에 없다. 자기네 기업 돈을 타국에게 주는 게 좋은 감정은 아닐 테니까. 후지쯔배가 폐지된 것도 일본 기사들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만약 한국 기사들이 LG배나 삼성화재배에서 계속 중국에게 우승컵을 내준다면 폐지가 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현재 상황은 승부로 수입을 얻는 기사들은 중국에서 실적을 올려서 돈을 버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그러다가 2021년 실시된 [[최고 기사 결정전]] 제2기 대회 부터 도전기 제도를 실시하며 도전기 방식의 타이틀 기전이 부활했다. ==== 제한기전 ==== 대회 참가에 특정 제한이 걸려 있는 경우를 '제한기전'이라고 부른다. 고령의 기사만 참가하는 '시니어 대회', 신인만 참가하는 '신인왕전', 여자만 참가하는 '여류기전' 등은 제한기전으로 분류된다. *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 九단 기사들 간의 대결. [[동서식품]] 후원이다. 제한기전이지만, 바둑 최상위권 실력자인 九단들이 총출동하기 때문에 거의 종합기전과 동급으로 인정된다. *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 여자기사들과 만 40세 이상 시니어기사들의 연승전 대회로 지지옥션에서 후원한다. 아마추어, 프로 버전이 둘 다 있다. * [[대주배 남녀프로시니어최강자전]] - 2013년 중단되었다가 2018년 재개된 시니어 및 여자 기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전이다. 남자는 만 45세이상, 여자는 만 30세이상의 기사들에게 참가자격이 주어진다. *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국내 부문 : 세계 부문에 나선 선수들을 제외한 한국 기사들이 나선다. [[이지현(1992)]]이 2018년 우승해 7단에서 9단으로 두 계단 승단해서, (제한기전 우승은 1단만 승단) 종합 기전으로 취급하는 듯. 그런데 2019년에는 제한기전으로 다시 분류되었다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11076681|#]] * [[최고 기사 결정전]](1기) : 한국 상위 8명의 기사들이 리그 경기를 펼쳐, 성적 1위와 2위가 결승전을 치른다. * [[KBS 바둑왕전]]: 8명만 본선에 진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40기 대회부터는 예선없이 전기시드 2명, 후원사 시드 1명, 랭킹상위 초청 5명이 본선에서 대결한다. * [[대통령배]] : 2020년 제2회부터 프로 16강 본선 시행. 당해는 최상위권 선수 상당수가 불참했다. ==== 신인기전 ==== * [[신인왕전(한국)]] - [[메지온]] 주최. * [[크라운해태배 프로기전]] - 만 25세 이하 [[프로]] [[바둑기사]]들을 상대로 한 기전. *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목진석]] 九단과 목진석 九단의 부친인 목이균 전 [[웅진]]그룹 부회장이 '''사재를 털어서''' 만든 신예 기전. * [[하찬석 국수배 영재바둑대회]]: [[합천군]]에서 합천군 출신 [[국수전]] 타이틀 보유자였던 [[하찬석]] 九단을 기리면서 만든 신예 기전. *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이붕장학회와 (주)삼원에서 후원한다. '이붕배'는 원래 2006년까지 진행된 어린이 대회를 2020년에 신예기전으로 재탄생시켰다. ==== 여자기전 ==== * '''[[여자기성전]]''': [[2017년]] 생긴 [[여자]]바둑기전. 여자 국내바둑 '''사상 최대 상금'''(우승상금 '''5천만원'''). [[해성그룹]] 후원(1~5회까지는 계열사인 [[한국제지]] 후원). * '''[[여자국수전]]''': [[한국경제신문]] 주최, [[하림]] 후원. 여자기전 중에서 2번째로 오래된 기전이지만, 후원사가 여러번 변경되는 등 부침이 꽤 많은 기전이다. [[2016년]]까지는 여류국수전이라는 이름이었으나, [[2017년]]에 [[하림]]이 후원하여 공식명칭이 "하림배 여자국수전"으로 변경되었다. --[[한국경제신문]]에서 [[바둑]]란 연재하는 [[노영하]] 九단의 일자리가 지켜졌다.-- * [[꽃보다 바둑 여왕전]] - [[2016년]] 창설된 여자 대회. 1회에는 여자바둑리그와 다르게 팀이 없는 순수 개인전이었으나, 2회에는 단체전으로 바뀌었다. 여자 프로 바둑기사들이 운영하는 "꽃보다 바둑"이라는 바둑학원에서 주최하며, TLI, 아이컴포넌트 사의 후원으로 진행된다. *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 마스터스|기업은행배]]''' : [[중소기업은행]]의 후원으로 2021년 창설된 여자 기전. *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 [[호반건설]]의 후원으로 2021년 창설된 여자기전이다. 1회와 2회는 국내 여자 기전 가운데 유일하게 풀리그 방식, 결승 5번기를 실시했다. 2회 대회부터는 후원사가 '닥터지(Dr.G)'로 변경됐다. 3회부터는 8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결승 3번기로 진행한다. ~~~이렇게 기전이 많아도 결국은 최정 우승 안봐도 비디오~~~ ==== 리그전 ==== * [[한국바둑리그]] -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출범한 '''프로 팀간 바둑 기전'''이다.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가 팀의 스폰서로 참여해 매년 선수를 드래프트로 선발해서 한 시즌을 꾸려가는 것이 특징이다. 2012년 부터는 미래 바둑 기사 육성을 위해 2군리그도 도입했다. * [[한국바둑퓨처스리그]] - [[한국바둑리그]]의 [[2군]]리그. '퓨처스바둑리그'로 불린다. * [[한국여자바둑리그]] - 2015년 창설한 여자 기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단체전 리그. * [[한국시니어바둑리그]] - 2016년 창설한 남자 50세이상, 여자 40세 이상 기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단체전 리그. ==== 페어바둑 ==== * [[SG배 페어바둑최강전]] === 중국 기전 === [include(틀:중국의 바둑 기전)] * 중국은 국제 기전 성적이 좋다보니 국제 기전 위주이고 '''국내 기전은 [[일본]]보다 적다'''. 중국바둑리그가 워낙 큰 규모라 개인 기전이 활성화되지 못한 탓도 있다. 3대 기전은 타이틀제이고, 나머지 종합 기전은 토너먼트이다. * 중국바둑리그: 중국은 바둑리그도 3부리그까지 존재하는데 갑조리그가 중국 바둑리그 시스템중 최상위 리그이고 2부리그는 을조리그, 3부리그는 병조리그로 불리고 있다. * [[중국바둑갑조리그]] * 중국바둑을조리그 * 중국바둑병조리그 * 중국여자바둑리그 * 중국여자바둑갑조리그 * 중국여자바둑을조리그 * 개인전 * 명인전(중국) : 2018~19년 [[미위팅]] 2연패. [[중국]] 개인전 최고의 기전. 타이틀전이다. [[1987년]] 창설. [* 초대 우승자는 류샤오광, 2대부터 명인이 된 [[마샤오춘]]이 무려 '''13연패'''를 한 바 있다. [* 2017년 타이틀 홀더는 [[롄샤오]][* 중국 국내에서는 각종 타이틀 기록이 많은 기사이지만, 국제 기전이나 [[농심신라면배]]에서는 자주 보기도 힘들고([[삼성화재배]]나 [[LG배]]는 출전 자체를 기권하는 경우가 많다.) 성적이 별로 좋지 않다. 이유는 롄샤오의 건강 문제. [[폐]]가 별로 좋지 않아 멀리 움직이기 힘들어한다.]였다.] ] * 천원전(중국) : 2023년 [[미위팅]] 2연패. * 기성전(중국) : 2021년 [[커제]] 2연패. * 국수전(중국) : 2023년 [[딩하오]] 2연패. * 대기사전 : 2021~22년 [[딩하오]] 2연패. 만구배라고도 불린다. * 전국 개인전 : 2018년 천쯔젠 우승 * CCTV배 : 2022년 [[스웨]] 우승. * 아함동산배(중국) [* 일본에 같은 이름의 기전이 있다.] 2023년 [[양딩신]] 우승. * 용성전(중국) [* 한국/일본에 같은 이름의 기전이 있다.] 2023년 [[리웨이칭]] 우승. * 창기배 : 2023년 [[왕싱하오]] 우승. [[응씨배]]의 중국 국내 대회 버전. * 취저우 난가배 : 2022년 [[리쉬안하오]] 우승. * 위부방개배 : 2022년 [[미위팅]] 우승. * 서남기왕전 : 2023년 [[판팅위]] 우승. * 이광배 : 2015년 [[커제]] 우승. * 신인왕전 : 2022년 [[왕싱하오]] 우승. * 왕중왕전 : 2023년 [[리웨이칭]] 우승 * 여자 기전 * 건교배 : 2021년 [[저우홍위]] 우승. * 여자 명인전(중국) : 2023년 [[위즈잉]] 우승 * 여자 국수전(중국) : 2023년 [[위즈잉]] 우승 === 대만 기전 === [include(틀:대만의 바둑 기전)] ||||||||||||||||||||||||||||||||||||||||||||||||<:> 현행 대만 개인 바둑 기전 타이틀 홀더 || ||<:> 6대 기전 ||<:> [[국수전(대만)|국수전]] ||<:> [[기왕전]] ||<:> [[기성전]] ||<:> [[천원전]] ||<:> 십단전 ||<:> [[명인전#s-4]] || ||<:> 타이틀 홀더 ||<:> [[쉬하오훙]] 八단 ||<:> [[린쥔옌]] 八단 ||<:> [[쉬하오훙]] 八단 ||<:> [[쉬하오훙]] 八단 ||<:> [[쉬하오훙]] 七단 || [[쉬하오훙]] 八단 || ||<:> 종합기전 ||<:> 해봉배 || ||<:> 타이틀 홀더||<:> [[왕위안쥔]] 九단 || ||<:> 제한기전 ||<:> 신인왕전 || ||<:> 타이틀 홀더||<:> [[리웨이]] 五단 || ||<:> 여자기전 ||<:> [[명인전#s-8.3|여자명인전]] ||<:> 여자최강전 || ||<:> 타이틀 홀더||<:> [[위리쥔]] 二단 ||<:> [[양쯔쉔]] 五단 || * [[동아시아]]에서 가장 [[바둑]] 시장이 작다 보니 바둑 기전도 많지 않다. 하지만 도전기제로 실시되는 타이틀 매치가 무려 6개나 있으며, 기타 종합 기전도 있다. * 개인전 * [[명인전#s-4]]: 대만의 [[저우쥔쉰#s-4.1.1|중국위기회]](中國圍棋會)가 주도하여 1974년에 창설되었으며 2009년까지 36기 동안 존속한 대만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졌던 기전. 21기부터 36기까지 [[저우쥔쉰]]이 '''16연패'''를 달성하였다. 2020년부터 [[저우쥔쉰#s-4.1.3|해봉기원]] 주최로 대만 최대의 기전으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 [[국수전(대만)]]: 1980년에 [[저우쥔쉰#s-4.1.1|중국위기회]]와 자립만보가 창설하여 1999년까지 19기 동안 존속하였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는 [[저우쥔쉰#s-4.1.4|대만기원]](臺灣棋院文化基金會)과 [[저우쥔쉰#s-4.1.3|해봉기원]]의 내분으로 대회가 실시되지 않았다. 2005년 [[저우쥔쉰#s-4.1.4|대만기원]] 주최로 새로이 출범하였다. * 천원전(대만): 2002년에 창설되었고 [[저우쥔쉰#s-4.1.4|대만기원]]이 주최하고 있다. * [[기왕전]]: [[저우쥔쉰#s-4.1.1|중국위기회]]가 주도하여 창설되었고 1979년에서 1989년까지 11기 동안 존속하였다. 2008년에 [[저우쥔쉰#s-4.1.3|해봉기원]] 주최로 새로 출범하였다. * 기성전(대만): 2008년부터 시작되었고 2013년부터는 중환기성새(中環碁聖賽)라 불린다. [[저우쥔쉰#s-4.1.4|대만기원]]이 주최하고 있다. * 십단전(대만): [[저우쥔쉰#s-4.1.1|중국위기회]]가 주도하는 옥덕배 십단새(鈺德盃十段賽)가 2007년에 열렸다가 폐지되고 2011년에 중화직업위기협회(中華職業圍棋協會)가 주최하는 우사배 십단새(友士盃十段賽)가 창설되었다 (4기부터는 [[저우쥔쉰#s-4.1.3|해봉기원]]이 공동주최). * 하이펑배: [[린하이펑]] 九단을 기념하는 [[저우쥔쉰#s-4.1.3|해봉기원]]에서 만든 대회. === 일본 기전 === [include(틀:일본의 바둑 기전)] ||||||||||||||||||||||||||||||||||||||||||||||||<:> 현행 일본 개인 바둑 기전 타이틀 홀더 || ||<:> 7대 기전 ||<:> [[(대)기성전|기성전]] ||<:> [[명인전]] ||<:> [[왕좌전]] ||<:> [[천원전]] ||<:> [[본인방전]] ||<:> [[기성전#기성(碁聖)전|기성전(소)]] ||<:> [[십단전(일본)|십단전]] || ||<:> 타이틀 홀더 ||<:> [[이치리키 료]] 九단 ||<:> [[시바노 도라마루]] 九단 ||<:> [[이야마 유타]] 九단 ||<:> [[세키 고타로]] 九단||<:> [[이치리키 료]] 九단 ||<:> [[이야마 유타]] 九단 ||<:> [[시바노 도라마루]] 九단|| ||<:> 종합기전 ||<:> [[용성전]] ||<:> [[아함동산배(일본)]]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NHK배]] || ||<:> 타이틀 홀더||<:> [[이치리키 료]] 九단 ||<:> [[히라타 도모야]] 八단 ||<:> [[이치리키 료]] 九단 || ||<:> 제한기전 ||<:> 마스터스컵 ||<:> [[왕관전]] ||<:> 신인왕전 ||<:> [[약리전]] ||<:> 준영전 || ||<:> 타이틀 홀더||<:> [[조치훈]] 九단 ||<:> [[이다 아쓰시]] 九단 ||<:> [[우에노 아사미]] 五단 ||<:> [[우에노 아사미]] 五단 ||<:> [[이치리키 료]] 九단 || ||<:> 여자기전 ||<:> [[여류혼인보전]] ||<:> [[아이즈중앙병원배]] ||<:> [[여류명인전]] ||<:> [[여류기성전]] ||<:> [[센코배]] || ||<:> 타이틀 홀더||<:> [[후지사와 리나]] 五단 ||<:> [[후지사와 리나]] 五단 ||<:> [[우에노 아사미]] 五단 ||<:> [[나카무라 스미레]] 三단 ||<:> [[뉴 에이코]] 四단 || * '''세계에서 국내 [[바둑]] 기전이 가장 많은 나라'''이다.[* 참고로 중국은 국제 기전 위주이기 때문에 일본보다는 국내기전이 적다.] * 종합(남녀 통합) [[파일:1514846585.jpg]] * 7대 바둑 기전 [[1975년]] ~ [[2017년]] 역대 우승자. 2회 이하 우승자는 색이 없으며, 3회 이상 우승자부터 개별 색이 부여되어 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duk&no=397786|출처]] [[http://web.archive.org/save/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duk&no=397786|아카이브]] * 한국계 기사: [[조치훈]], [[조선진]], [[류시훈]] * [[중화민국]]([[대만]])계 기사: [[린하이펑]], 왕밍완, [[왕리청]], [[장쉬]] * [[1975년]] [[혼인보]]전 우승자 [[이시다 요시오]]는 이시다 '슈호'로 등재되어있다. * 일본 7대 타이틀전 - 7대 타이틀을 각각 1번 이상 차지한 경우 그랜드 슬램([[조치훈]], [[장쉬]], 이야마 유타), 기성(棋聖), 명인, 본인방 타이틀을 동시에 차지한 경우 대삼관(大三冠 - [[조치훈]], [[이야마 유타]]) * [[(대)기성전|기성(棋聖)전]] - 이하 리그전에서 도전자를 결정, 도전기 7전 4선승제 '''세계 최대 상금(5,000만 엔)의 바둑 기전'''이다. * [[명인전]] * [[혼인보전|혼인보(본인방)전]] * [[천원전]] - 이하 토너먼트전에서 도전자를 결정, 도전기 5전 3선승제 * [[왕좌전]] * [[(소)기성전|기성(碁聖)전]] * [[십단전(일본)|십단전]]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 과거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TV바둑 아시아선수권대회' 에 출전했었다. * 신인왕전 U-25 - 신문 [[아카하타]] 주최. * 용성전(일본)(룡성전) - 중국에 같은 이름의 기전이 있다. * [[아함동산배(일본)]] - 중국에 같은 이름의 기전이 있다. * [[히로시마알루미늄배 약리전]] * SGW배 중용전 * 테이케이배 준영전 * 테이케이배 레전드전 * 여자 * [[여류기성전]] * [[여류명인전]] * [[여류혼인보전]] * [[아이즈중앙병원 여류접시꽃배]](2016년까지 아이즈중앙병원배 여류바둑토너먼트) * [[센코배 여류최강전]] * 테이케이배 여류레전드전 === 유럽 기전 === 의외겠지만 [[유럽]]에도 기전이 있다. 그것도 '''꽤 많다'''. 유럽에는 동양권 국가에서 단증을 받은 프로기사들은 몇 없고, 대부분의 대회는 참가자의 자격에 제한이 없는 오픈기전이다. 즉 아무나, 여행중인 지나가던(?) 프로기사라고 해도, 그냥 참가신청하고 바둑을 두면 되는 구조이다. (오히려 프로기사에게 한 수 배울 기회가 왔다고 좋아할 것이다.) 자연스럽게 상금이 없거나 적은 소규모의 대회들은 근처의 바둑 애호가들이 참여하여 친목을 다지는 지방 대회가 되고, 규모가 큰 대회는 유럽 전역에서 고수들이 참여하는 세계(?)대회가 되는 구조이다. [[http://www.eurogofed.org/|유럽바둑연맹]] 이 곳은 [[유럽연합]] 국가에 [[러시아]] 등 동유럽국가, 심지어 [[터키]]와 [[이스라엘]]까지 한 단체에 소속되어 있다. '''동아시아는 [[한국기원]], 중국기원, [[일본기원]], 대만기원 네 곳의 연맹체 이딴거 없는데 유럽은 단합이 잘 된 편.''' * 유럽 바둑 챔피언십(European Go Championship 또는 European Go Congress): [[http://www.egc2017.eu/|2017년 홈페이지]] [[유럽연합]] 각국을 돌아가며 시행되는 것이 특징. [[2017년]]에는 [[독일]]에서 시행되었다. [[2018년]]에는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2019년]]에는 [[벨기에]] [[브뤼셀]] 개최 예정. * 유럽 여자바둑 챔피언십(EUROPEAN WOMEN'S GO CHAMPIONSHIP): [[http://www.ewgc2017.org.ua/|2017년 홈페이지]] 위의 항목과 마찬가지로 유럽연합 각국을 돌아가며 시행된다. [[2017년]]에는 [[우크라이나]]에서 시행되었다. * 폴리메탈배(Polymetall Cup): [[http://polymetallcup.gofederation.ru/|홈페이지]] [[러시아]]에서 시행된다. * 아일랜드 컨퓨서스배(Irish Confucius Cup): [[http://www.irish-go.org/|홈페이지]] [[아일랜드]]에서 시행. * 암스테르담 세계바둑대회(AMSTERDAM INTERNATIONAL GO TOURNAMENT): [[http://aigt.nl/|홈페이지]] [[네덜란드]]에서 시행. [[2017년]] 기준 '''46회'''일 정도로 굉장히 오래된 대회이다. 창설이 [[1971년]]으로 [[일본]]의 대부분 현대기전보다도 창설이 빠르다. === 폐지한 기전 === [include(틀:폐지된 바둑 기전)] ==== 국제 기전 ==== * [[중일 슈퍼 대항전]]: 국제 바둑 기전의 [[프로토타입]].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외환위기]]로 폐지되었다. 이 자리에는 [[농심신라면배]]가 들어섰다. * [[후지쓰배]]([[http://bit.ly/ifnNBA|世界囲碁選手権・富士通杯(The World Go Championship - The Fujitsu Cup) : 한국식으로 후지쯔배]]) - [[http://www.yomiuri.co.jp/|요미우리(読売) 신문]]에서 열었다. 2011년에 끝. 이 대회의 폐지는 일본 바둑의 [[갈라파고스화]]를 상징하는 사건이자, 일본 바둑의 국제 경쟁력 상실을 상징하는 절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http://baduk.bccard.com/|월드 바둑 챔피언십(The BCcard Cup World Baduk Championship)]] - [[http://sports.khan.co.kr/news/page/art_list.html?sec_id=561601|해설 연재]] * [[정관장배]] -한중일 여자국가대항기전. 2011년에 끝. 이 대회는 [[황룡사배]]가 역할을 이어받게 된다. * [[아시안 게임]]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국제기전으로 분류할 수 없지만 다국가간 벌어지는 대회이기 때문에 이 카테고리에 넣어둔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바둑 종목이 다시 생길 예정이다.[* 사실상 개최국인 중국의 입김이 크다.] *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한국]]에서 최초로 개최했던 국제 바둑 기전. [[외환위기]]로 끝났다. * [[중환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대만]]의 중환그룹과 [[미국]]의 [[JP모건 체이스]]가 개최한 바둑 기전. 이 대회는 그래서 '''바둑 역사상 최초로 미국 기업이 후원한 대회'''가 되었다. [[대침체]]로 폐지되었다. * [[토요타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 우승자 부상이 [[렉서스]] LS430 [[자동차]]였고, 2회대회부터는 이 차 가액에 상당하는 현금을 지급했기에 토요타덴소배가 존속할 때는 [[응씨배]]보다 더 큰 기전이었다. [[대침체]]로 폐지되었다 * [[원양부동산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여자 바둑 3번기 기전. [[2007년]] 딱 한 해 시행하고 [[대침체]]로 폐지되었다. * 보해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한국에서 개최했던 최초의 국제 여자 바둑 기전. * [[NEC배]] * [[이민배 세계바둑신예최강전]]: 만 20세 미만 신예 기전. 2018년부터 개최되지 않았다. * [[신아오배 세계바둑오픈]]: 국제기전으로는 [[응씨배]] 다음의 상금이었다. 220만 [[위안]], [[미국 달러]]로 35만 달러의 상금을 지급한다. 상금이 크기 때문인지 2년에 한 번씩 시행...되는 줄 알았지만 2017년 첫 대회 이후 열리지 않고 있다. 2021년 코로나로 인해 폐지되었다. [[https://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93658|기사]] * [[천부은행배 세계바둑오픈]]: [[2018년]] 창설된 중국기원 주최 국제 바둑기전. 우승상금이 200만 [[위안]]으로 우승상금 기준 세계 3위이다. 기존 중국 바둑 국제 기전과 달리, [[삼성화재배]]나 [[LG배]]처럼 매년 개최...하는 줄 알았지만, 첫 대회 이후 열리지 않고 있다. 2021년 코로나로 인해 폐지되었다. [[https://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93658|기사]]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 [[NHK#s-1|NHK]], [[중국 중앙 텔레비전]], [[한국방송공사]]에서 해마다 돌아가면서 연다. [[http://www.kbs.co.kr/1tv/sisa/baduk/vod/index.html|방송보기]] 2021년 폐지 소식이 전달됐다. [[https://baduk.hangame.com/news.nhn?gseq=100717&m=view&page=1&searchfield=&leagueseq=0&searchtext=|기사]] * [[바이링배 세계바둑오픈]]百灵杯(The Bailing Cup) : 한국식으로 백령(百靈)배, 중국식으로 [[http://contrite.tistory.com/591|바이링(몽고]][[종달새|종다리]])배. 이 기전의 창설은 바둑의 패권이 한국에서 중국으로 완전히 넘어간 사건으로 평가받았지만... 2019년 결승 이후 대회가 열리지 않고 있다. ==== 한국 기전 ==== * [[국수전]]: [[2016년]] 대회 종료 후 폐지. [[동아일보]] 개최 포기 + [[기아자동차]] 후원철회. [[2017년]] 들어서 [[한국기원]]에서 공식적으로 '''폐지 기전''' 처리했다. * [[왕위전]]: [[2007년]] 대회 종료 후 폐지. [[중앙일보]] 개최 포기. * [[기성전]]: [[2008년]] 대회 종료 후 폐지. [[현대자동차]] 후원 철회. * 최고위전 * 국기전 * [[패왕전]] * [[십단전(한국)|십단전]]: [[2013년]] 폐지. [[원익IPS]] 후원 철회. * 박카스배 천원전 * [[olleh배 바둑 오픈 챔피언십]]: [[2013년]] 폐지 * [[렛츠런파크배 오픈토너먼트]]: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로 인해 대회 취소,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전면 폐지''' * 배달왕전 * [[명인전#s-8.1|여류명인전]]: [[2015년]] 대회([[2016년]] 타이틀전)를 끝으로 [[STX]]의 [[법정관리]]로 인해 폐지되었다. [[매일신문]]에서 시행하였다. * [[EBS배 여류프로기전]]: '''[[대한민국]] [[여자]] [[바둑]] 첫 대회'''. [[1993년]] 창설되어 [[윤영선(1977)|윤영선]] 初단이 우승한 이후 그대로 다시 폐지됐다.(...) * [[여류십단전]]: EBS배와 마찬가지로 1회만 하고 도로 폐지(...) ==== 대만 기전 ==== * [[저우쥔쉰#s-4.1.1|중국위기회]](中國圍棋會)가 주최하던 [[명인전#s-4|구(舊) 명인전]], 구(舊) [[기왕전]], 구(舊) [[국수전(대만)|국수전]], 옥덕배 십단전, 옥덕배 여자명인전 * 왕좌전(대만): [[2013년]] 폐지 * 思源杯 * 東鋼盃 ==== 일본 기전 ==== * [[NEC배]]: [[2012년]] 폐지되었다. * 마스터스컵 : 2019년 제9회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 [[아마추어]] 기전 == === [[대한민국]] === [[대한바둑협회]] 쪽에서 시행한다. *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 * [[YES24배 고교동문전]] * [[제9기 BASSO배 직장인 바둑대회|BASSO배 직장인 대항전]] * [[내셔널 바둑리그]] * [[전국체전]] [[바둑]]종목 - 역시 아마추어 기전. * 기타 아마대회(미추홀배 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바둑, version=912)] [[분류:바둑 기전]][[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