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천사족]][[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 '''{{{#!html 바르모니카}}}''' || ||<-6><:><#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화질 셸타.png|width=100%]][br],,[[바르모니카#바르모니카 셸타|{{{#5E5682,#FDFAE0 바르모니카 셸타}}}]],,}}} || ||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FEF3EF; color:#957EAB;" 한글판 명칭}}}''' ||<-5><#fff,#191919> '''바르모니카''' || ||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FEF3EF; color:#957EAB;" 일어판 명칭}}}''' ||<-5><#fff,#191919> '''ヴァルモニカ''' || ||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FEF3EF; color:#957EAB;" 영어판 명칭}}}''' ||<-5><#fff,#191919> '''Vaalmonica''' || ||<-2>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 color:#E4CBDA;" 속성}}}''' ||<-2>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 color:#E4CBDA;" 종족}}}''' ||<-2> '''{{{#!wiki style="text-shadow: 0 0 10px #000000; color:#E4CBDA;" 관련 카테고리}}}''' || ||<-2><#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2><#fff,#191919> [[천사족]], [[악마족]] ||<-2><#fff,#191919> 효과, [[펜듈럼 소환|펜듈럼]], [[링크 소환|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3> '''유희왕 [[덱 빌드 팩|{{{#white 덱 빌드 팩}}}]] 수록 테마''' || || [[와일드 서바이버즈]] || || [[밸리언트 스매셔즈]] || || [[초월룡]], [[VS(유희왕)|VS]], [[누밸즈]] || → || [[메멘토(유희왕)|메멘토]], [[센츄리온(유희왕)|센츄리온]], '''바르모니카''' || > (ひそひそ...♪)(ごにょごにょ...!) > 選ぶのはアナタ次第。 >---- > (속닥속닥... ♪)(소곤소곤...!) > 선택은 당신이 하기 나름. >---- >[[https://www.yugioh-card.com/japan/products/dbvs/|공식 홈페이지 소개 문구]]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에서 데뷔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컨셉은 아르모니카라고도 부르는 [[글라스 하모니카]], 그리고 [[어깨 위의 천사와 악마]]이다. [[몽마경]]과 비슷한 배경에 있는 일러스트가 특징적으로, 천사와 악마 두 종류의 카드가 대비를 이룬다는 점도 비슷하다. --둘다 구리다는 것도 똑같다-- 선행 공개된 안젤로와 데모네의 일러스트를 잘 보면 누군가에게 속삭이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모티브는 [[어깨 위의 천사와 악마]]로 추정되었고 실제로 소개 문구의 소곤소곤, 선택은 당신 나름이라는 문구와 천사와 악마의 소리라는 몬스터들의 루비를 통해 해당 컨셉이 맞음이 확정되었다. 일러스트와 다르게 천사족이 어둠 속성, 악마족이 빛 속성이라는 것도 특이한 점이다. 또한, 천사와 악마라는 컨셉은 악기 글라스 하모니카와도 관련이 있는데, 글라스 하모니카는 아름다운 소리로 유명하지만, 그 소리가 신경을 과도하게 자극한다고 독일의 음악학자인 Johann Friedrich Rochlitz에 의해 주장되기도 하였다.[* 글라스 하모니카의 소리가 실제로 건강을 악화시키는지는 증명되지 않았다. 비슷하게 유리에 들어간 납 성분 때문에 건강이 악화된다는 설도 있지만, 글래스 하모니카의 발명 당시에는 페인트나 약품 등 온갖 물건에 글래스 하모니카 이상의 납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것 역시 신빙성이 떨어진다.] 즉 글라스 하모니카 또한 아름다운(이로운) 소리/건강을 악화시키는(해로운) 소리라는 양면성의 대비를 가진 악기라는 것. 특이하게 공개된 풀 일러스트가 가로로 긴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펜듈럼]] 카드군이 아니냐는 추측이 많았고, 8월 4일 후라게가 공개되면서 펜듈럼과 링크를 사용하는 테마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보통 펜듈럼 몬스터의 일러스트는 펜듈럼 효과 칸까지 내려오도록 세로가 길게 그려져 있는데, 이 테마의 펜듈럼 몬스터는 일러스트에 특유의 테두리가 그려져 있어서인지 일러스트가 펜듈럼 효과 칸까지 내려오지 않고 굉장히 짧다. 여담으로 많은 유저들이 낮은 스케일의 펜듈럼 카드를 왼쪽, 높은 스케일의 펜듈럼 카드를 오른쪽에 두는데 이러면 양측의 바르모니카가 유저를 등지는 형식이 되기 때문에 묘하게 불편하다.[* 사실 첫 펜듈럼인 [[시간을 읽는 마술사]]와 [[별을 읽는 마술사]] 역시 같은 구도이며 [[유희왕 ARC-V]]에서도 보통 낮은 스케일을 오른쪽, 높은 스케일을 왼쪽에 둔다. 그렇게 해야 상대에게 로우-하이 순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9기 중 발매된 펜듈럼 역시 비슷한 구도가 많다.] == 상세 == >좌우의 펜듈럼 존에서 들려오는 천사와 악마의 속삭임── >2개의 효과의 선택이 전황을 좌우하는 「바르모니카」. > >천사족과 악마족 펜듈럼 몬스터는 패에서 덱의 다른 쪽을 펜듈럼 존으로 불러들여 두 펜듈럼 존으로 이동한다. >「회복」을 하는 효과와 「데미지」를 받는 효과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회복」은 천사족 계열, 「데미지」는 악마족 계열 몬스터 카드에 카운터가 놓여지고, 쌓인 카운터에 따라 소환할 수 있는 링크 몬스터도 달라진다고 한다. > >천사족 링크 몬스터는 상대 필드 몬스터를 카운터 수까지 파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운터를 3개 제거하면 3회 공격도 가능하다. > >악마족 링크 몬스터는 자신 필드의 카드의 파괴를 피하거나 상대 턴에 묘지/제외 상태의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일반 함정 카드의 발동시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 >당신의 선택은? >나타나는 링크 몬스터는 천사인가 악마인가── >---- >[[https://www.yugioh-card.com/japan/products/dbvs/|출처]] 바르모니카 메인 덱 몬스터는 2장밖에 없으며, 이 둘은 패에 존재할 경우 자신 이외의 패를 1장 버리는 것으로 덱에서 다른 한 쪽과 자신을 펜듈럼 존에 세팅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펜듈럼 존에 세팅된 둘은 라이프를 회복하는(안젤로) / 데미지를 받는(데모네) 행위에 따라 각자에게 향명 카운터가 놓이게 되며, 이 향명 카운터가 3개 놓이게 됐을 때 종족이 일치하는 1링크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게 된다. 이 효과 외에도 안젤로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 바르모니카 링크 몬스터를 링크 소환하는 펜듈럼 효과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턴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 함정 카드를 제외해 LP를 회복하는 쪽의 효과를 적용하는 몬스터 효과를, 데모네는 자신 필드의 향명 카운터의 수 x 100씩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는 펜듈럼 효과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턴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 함정 카드를 제외해 데미지를 받는 쪽의 효과를 적용하는 몬스터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 함정 카드의 특징은 라이프를 회복하느냐, 대미지를 받느냐, 라이프 조절 효과의 방향에 따라 효과가 갈리게 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대미지를 받는 쪽의 효과가 좀 더 우수한 편이나 예외로 함정 카드는 자신 필드에 바르모니카 링크 몬스터가 존재한다면 두 효과를 전부 적용할 수 있다. 바르모니카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는 현재 링크 몬스터만 있는데, 얘도 2장만 있다. 하지만 링크 1 주제에 상급 수준의 높은 공격력을 보유하였고, 링크 소재 또한 효과 몬스터 1장으로 널널한 편이나, 소환하려면 링크 소환할 몬스터와 종족이 같은 펜듈럼 존의 바르모니카 몬스터에 향명 카운터가 3개 쌓여있어야만 하며, 정규 링크 소환을 포함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만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다. 즉, 천사족인 쥬라르메를 소환하고 싶다면 안젤로에, 악마족인 제브페라를 소환하고 싶다면 데모네에 향명 카운터가 3개 쌓여있어야 한다는 소리다. 쥬라르메는 피니셔 역할을, 제브페라는 필드를 굳히고 상대를 견제하는 역할을 한다. == 성능 == 공개 당시에는 수려한 일러스트로 기대를 모았으나 밸리언트 스매셔즈 까지의 모든 카드가 공개된 현재로서는 '''밸리언트 스매셔즈 최약의 카드군'''이라는 대혹평이 지배적이다. === 장점 === * '''간편한 펜듈럼 세팅''' 바르모니카 펜듈럼 몬스터는 서로가 서로의 효과로 반대편을 서치하며, 서치 수단도 필드 마법인 성선기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패에 넣을 수 있다. 때문에 펜듈럼 스케일을 세팅하는 그 자체는 어렵지 않다. 무엇보다 후술할 마봉향의 봉인을 무시한 채로 펜듈럼을 세팅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장점. * '''훌륭한 피니시 능력''' 비록 소환 조건이 매우 까다롭기는 하지만, 쥬라르메는 나오는 순간 최소 3장 이상의 몬스터를 파괴하고 3번 공격 효과를 통해 최소 7500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패가 잘 풀렸다면 [[아이:피 마스카레나]]로 상대 턴에 소환하여 프리체인 견제를 하며 내 턴에 게임을 닫을 준비를 할 수 있다. === 단점 === * '''기믹 간 충돌''' 바르모니카는 "3-5스케일 펜듈럼 세팅을 하고 / 라이프 데미지 or 회복을 통한 향명 카운터 축적"이라는 2개의 연속된 기믹을 갖는다. 문제는 이 두 개의 기믹이 완전히 별개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카운터를 쌓으면 전개가 안 되고, 전개를 하면 카운터가 안 쌓인다. * '''향명 카운터를 쌓을 일반 마법의 불안정성''' 바르모니카의 일반 마법 카드는 펜듈럼 존에 바르모니카 카드가 없으면 효과를 상대가 선택하기에, 온전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펜듈럼 세팅을 해야만 한다. 문제는 펜듈럼 세팅이 끝나서 내 마음대로 써도 문제라는 것이다. 셸타의 데미지 후 서치 효과는 좋지만 그 셸타로 가져오는 카드들의 효과가 문제다. 그나마 미리 P 세팅을 끝내놓고 셸타로 성선기를 가져오면 2장째의 데모네를 서치한 뒤 데모네의 효과로 셸타를 복사하는 2.5핸드 초동은 가능하지만, 이건 성선기로 초동을 끊었으면 못 써먹을 뿐더러, 2.5핸드로 전개를 한 결과물이 고작 제브페라 1장이라는 건 또 다른 암울한 문제다. 게다가 위의 모든 것들도 어디까지나 P 세팅을 한 뒤에 발동한다는 전제 하일 뿐이지, 패가 말려서 펜듈럼 세팅조차 못 했다면 모든 바르모니카 마함은 애물단지로 전락한다. 그나마 셸타는 서치와 패 교환 양자택일이라 뭘 골라도 손해는 없는데, 베르사레는 쌩으로 발동하면 상대가 회복 쪽을 골라줄 리가 없고, 인토나레는 묘지에 몬스터가 있어야 효과 적용이 가능해서 펜듈럼 세팅조차 못 했다면 발동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운 좋게 셸타의 패 교환 효과로 간신히 다른 초동을 잡는다고 하더라도 이미 셸타의 턴제를 사용한 순간 그 턴에 향명 카운터 3개를 쌓을 가망은 없다. * '''떨어지는 전개력, 그럼에도 제한되는 용병''' 바르모니카 마법 / 함정 카드는 조건을 심하게 타는 인토나레를 제외하면 전개를 도와주지 않으며, 전개를 도와주는 수단이라고는 3-5 스케일 세팅이 쉬워서 4렙 펜듈럼 소환이 쉽다 하나뿐이다. 하지만 바르모니카의 메인 몬스터는 펜듈럼 2종뿐이고, 이 펜듈럼 몬스터들도 묘지의 바르모니카 마함을 서포트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카운터는 쌓아도 전개력은 떨어진다. 때문에 전개를 위한 용병의 채용이 필수적인데, 3-5 스케일 탓에 용병이 4축으로 강제되는데 거기에 바르모니카 특유의 회복 / 피해 기믹까지 돌려야 한다는 이중 제약을 걸어 용병 채용도 쉽지 않다. 그나마 데모네의 향명 카운터까지는 [[Em 트릭 크라운]]이라든가 [[BF-정예의 제피로스]]같이 그나마 대미지를 대가로 전개되는 4축은 어느 정도 있어서 어떻게든 되는데, 안젤로의 향명 카운터는 4축을 전개하면서 쌓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데모네 쪽도 '있긴 있다' 수준이지 그 범위가 넓진 않기에, 결국 향명 카운터를 쌓는 데에는 도움이 안 되는 용병을 강제로 넣거나, 또는 4축이 아닌 카드를 넣어야만 한다. 게다가 바르모니카는 특성 상 펜듈럼 존에 무조건 안젤로-데모네가 존재해야 하므로 오히려 펜듈럼 존에서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는 다른 펜듈럼 테마와 충돌하는 경우도 많아 펜듈럼 지원 카드를 사용하기도 까다롭다. * '''까다로운 LP 회복''' 장점에도 나와있듯이 바르모니카가 안정적으로 피니시를 내기 위해서는 쥬라르메를 소환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안젤로 쪽에 카운터를 3개 쌓아야 한다. 문제는 데모네에 3개 쌓기도 힘든데 안젤로에 3개 쌓는 건 더 힘들다는 것이다. 이는 전용 마법의 회복 쪽 성능이 낮다는 문제가 큰데, 셸타의 패 교환 능력은 데미지 쪽의 서치보다 낮게 치는 경우가 많고, 인토나레는 소생 대상을 상대가 지정하기에 [[패 트랩]]을 묘지에 1장이라도 던졌으면 원하는 전개를 만들기가 어려우며, 베르사레는 서치 카드가 순전 랜덤이라 이미 쓴 카드를 또 가져오기가 너무 쉽다. 이론상으로는 먼저 데모네를 쌓아 제브페라를 소환하고 효과로 마함을 복사해가면서 반대로 안젤로 쪽을 쌓는 것이지만, 이는 상대 턴 내내 P 몬스터와 제브페라가 둘 다 멀쩡해야 한다는 심각하게 협소한 전제 조건이 있다. 그나마 [[생아발론]] 같은 카드의 도움을 받는다면 데모네와 안젤로를 동시에 쌓을 수 있으나, 이러면 또 식물족 용병을 채용해야 한다는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 '''극심한 패 소모와 높은 말림률''' 모든 기믹이 다른 방향성으로 돌아가기에, 바르모니카의 펜듈럼 세팅과 향명 카운터, 그를 통한 4축과 1링크 고점까지 모조리 띄우기 위해서는 첫 패에 들어와야 할 카드는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그렇지 못한 패를 잡았을 때에는 패 2장을 세팅에 사용한 이상의 전개 결과물을 뽑아내기 매우 어렵다. 때문에 바르모니카는 펜듈럼 세팅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막상 펜듈럼 세팅을 마친 뒤 "세팅 끝났다. [[근데 이제 뭐함?]]" 하는 상황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 '''매우 낮은 고점''' 그래서 이 모든 고난과 시련과 억까를 모조리 이겨내고 전개를 하면, 이제 전개 결과물이 형편없다. 대개 2~3핸드로 세우는 고점 결과물조차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 + 제브페라 + 함정 후열 1장 정도가 끝이며, 바구스카를 [[에스:피 리틀나이트]] 등의 제거계 카드로 빠르게 제거하면 필드를 뚫는 것은 전혀 어렵지 않다. 물론 셸타 등의 서치 효과에 패 트랩을 맞거나 소환된 바르모니카가 견제되면 더더욱 결과물이 격하된다. 바구스카나 제브페라나 후열이나 전부 마법/함정을 막지는 못하고 그저 제브페라의 파괴 내성과 바구스카의 몬스터 무효화만으로 버티는 카드이기 때문에, 마법/함정을 통한 돌파에 취약하다. 특히 길항승부 한 방에 핸드를 모조리 써서 만든 필드가 휴지조각으로 전락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넘쳐나는 천적들''' 펜듈럼이 으레 그러하듯 [[마법 봉인의 방향제]]는 그야말로 천적. 다만 이유는 조금 다른데, 일단 발동되면 거의 움직임이 정지되는 수준의 타격을 받는 다른 펜듈럼 덱들과는 달리 패에서 효과로 필드에 '''놓는''' 특성상 발동하는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천후]]와 마찬가지로 마봉향의 발동불가 제약을 무시하고 안젤로나 데모네를 펜듈럼 존에 세팅할 수 있긴 하다만 바르모니카 내에서 향명 카운터를 능동적으로 쌓게 해 주는 마법 카드가 그 턴에 봉인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실상 기믹 봉인이나 다름이 없는 상태가 되어 바르모니카에게 매우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 효과 몬스터 (펜듈럼) == === 레벨 4 === ==== 안젤로 바르모니카 ==== [include(틀:유희왕/OCG/덱 빌드 팩 커버 카드)] [[파일:天使の聲.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안젤로 바르모니카, 일어판명칭=天使の聲(アンジェロ・ヴァルモニカ), 영어판명칭=Angello Vaalmonica,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2100, 종족=천사족, P스케일=3, P효과1=①: 다른 한쪽의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악마족 몬스터 카드가 존재하는 한\, 자신의 LP가 회복될 때마다\, 이 카드에 향명 카운터를 1개 놓는다., P효과2=②: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바르모니카" 링크 몬스터 1장의 링크 소환을 실행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패에서 다른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데모네 바르모니카" 1장을 골라서\, 이 카드와 그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의 묘지에서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마법 / 함정 카드 발동시의 LP를 회복하는 쪽의 효과를 적용한다.,)] 카드명의 루비는 "천사의 소리"라 쓰고. "안젤로 바르모니카"라고 읽는다. ①의 몬스터 효과는 다른 카드 1장을 버리고 데모네와 자신을 펜듈럼 존에 세팅하는 효과. 덱에서 곧바로 펜듈럼 존에 세팅하는 특성상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등의 견제를 덜 받는다. 데모네의 스케일이 5이므로 레벨 4의 펜듈럼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②의 몬스터 효과는 묘지의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일반 함정을 제외하고 그 중에 LP를 회복하는 쪽의 효과를 취하는 효과. ①의 펜듈럼 효과는 악마족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LP가 회복될 때마다 향명 카운터를 놓는 효과.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 일반 함정 등을 통해 LP를 회복시킬 수 있다. ①의 몬스터 효과로 인해 다른 한 쪽에 펜듈럼 존에 악마족 몬스터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일은 적다. 이렇게 향명 카운터를 모아 쥬라르메를 소환할 수 있겠다만, 쥬라르메는 향명 카운터를 3개 요구하기 때문에 꽤 많은 향명 카운터를 놓을 필요가 있다. ②의 펜듈럼 효과는 상대의 공격 선언시 바르모니카 링크 몬스터 소환. 상대 턴에 튀어나오는 쥬라르메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3장 파괴하는 견제로 작용하며 상대 턴에 튀어나오는 제브페라는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함정의 효과를 복사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에 유용한 효과들이지만, 바르모니카 링크 몬스터는 모두 향명 카운터 3개를 요구하기 때문에 향명 카운터 3개를 먼저 준비한 뒤, 상대가 이 카드를 파괴하지 않고 공격하기만을 바라야 한다. 꽤나 수동적인 효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젤로 바르모니카 설정화.jpg|width=100%]]}}}|| ||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694680961282380237|'''{{{#957EAB 설정화}}}''']] ||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1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1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1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데모네 바르모니카 ==== [include(틀:유희왕/OCG/덱 빌드 팩 커버 카드)] [[파일:悪魔の聲.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데모네 바르모니카, 일어판명칭=悪魔の聲(デモーネ・ヴァルモニカ), 영어판명칭=Dimonno Vaalmonica, 속성=빛,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2100, 종족=악마족, P스케일=5, P효과1=①: 다른 한쪽의 자신의 펜듈럼 존에 천사족 몬스터 카드가 존재하는 한\,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을 때마다\, 이 카드에 향명 카운터를 1개 놓는다., P효과2=②: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향명 카운터의 수 × 100 내린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패에서 다른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안젤로 바르모니카" 1장을 골라서\, 이 카드와 그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의 묘지에서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마법 / 함정 카드 발동시의 데미지를 주는 쪽의 효과를 적용한다.,)] 카드명의 루비는 "악마의 소리"라 쓰고. "데모네 바르모니카"라고 읽는다. 몬스터 효과는 상술했던 안젤로와 대칭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카드는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함정 데미지를 주는 쪽의 효과를 적용한다. ①의 펜듈럼 효과 또한 안젤로와 대칭되는 향명 카운터 효과. 이 카드는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는 것이 트리거다. 안젤로처럼 제브페라를 세우기 위해선 향명 카운터가 3개 필요하므로 꽤 많은 향명 카운터가 요구된다. ②의 펜듈럼 효과는 타점 하락. 배율 자체가 낮아 큰 전투력 하락은 기대하기 어렵다.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카드들은 전반적으로 데미지를 입는 쪽이 좀 더 이득인데다가 사용처가 한정된 쥬라르메와 달리 제브페라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만약 안젤로와 데모네가 동시에 잡혔다면 안젤로 쪽을 발동해서 데모네를 패에 남겨둔 뒤 효과로 데미지 효과를 사용하는 편이 좋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모네 바르모니카 설정화.jpg|width=100%]]}}}|| ||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694680961282380237|'''{{{#957EAB 설정화}}}''']] ||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2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2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2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링크 몬스터 == === 링크 1 === 링크 1 몬스터인데 [[샤를 대제(유희왕)|샤를 대제]]처럼 공격력이 2500이라는 에이스급 스펙을 가지고 있다. 소재도 효과 몬스터 1장로 단순하나, 소환을 위해 대응하는 종족의 몬스터에 향명 카운터를 3개 모을 필요가 있다. 안젤로나 데모네를 세팅해두고, LP 회복 혹은 지불을 3번 하여 향명 카운터를 3개 놓아둘 필요가 있다. 안젤로의 링크 소환 효과로 자체적으로 상대 턴에 띄울 수 있으나 수동적이다. ==== 바르모니카의 이신-쥬라르메 ==== [[파일:ヴァルモニカの異神-ジュラルメ.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바르모니카의 이신-쥬라르메, 일어판명칭=ヴァルモニカの異神(いしん)-ジュラルメ, 영어판명칭=Duralume\, Vaalmonican Heathen Hallow,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2500, 종족=천사족, link1=, 소재=효과 몬스터 1장, 효과외1=이 카드의 링크 소환은 자신의 펜듈럼 존의 천사족 몬스터 카드의 향명 카운터가 3개 이상일 경우에밖에 실행할 수 없으며\, 자신은 "바르모니카의 이신-쥬라르메"를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 자신의 펜듈럼 존의 향명 카운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2=②: 자신의 펜듈럼 존의 향명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3회 공격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향명 카운터의 수만큼 상대 필드의 몬스터 파괴. 링크 소환은 향명 카운터가 3개가 있을 때 가능하니 이 카드가 링크 소환할 때는 향명 카운터가 최소 3개 이상은 모였다는 것이고, 즉 상대 필드의 몬스터도 최소 3장을 파괴할 수 있다. 향명 카운터가 상대 필드의 몬스터보다 오버되면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할 수 있다. 안젤로의 효과 특성 상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처럼 쓰거나, 혹은 [[아이:피 마스카레나]]를 올려둔 뒤 상대 턴에 프리체인으로 소환하여 견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향명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3회 공격. ①의 효과로 몬스터를 제거한 뒤 ②의 효과를 통해 피니시를 낼 수 있다. 기본 피해량 7500으로 나쁘지 않고, 4축 테마 특성 상 [[No.60 타임리스의 듀가레스]]의 공격력 증폭 효과와 연계할수도 있으니 피니시 능력만큼은 출중하다. 일러스트가 꽤 기묘한데, 우선 하늘 모양의 유리창을 깨부수고 내려오는 천사의 모습을 위아래로 뒤집은 일러스트인데, 그러면서 날개의 골격만 정방향으로 그려져있다. 날개의 방향은 마찬가지로 날개의 방향이 역방향인 안젤로 바르모니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3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3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3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바르모니카의 신이-제브페라 ==== [[파일:ヴァルモニカの神異-ゼブフェー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바르모니카의 신이-제브페라, 일어판명칭=ヴァルモニカの神異(しんい)-ゼブフェーラ, 영어판명칭=Zebufera\, Vaalmonican Hallow Heathen, 속성=빛, 레벨=1, 공격력=2500, 종족=악마족, link3=, 소재=효과 몬스터 1장, 효과외1=이 카드의 링크 소환은 자신의 펜듈럼 존의 악마족 몬스터 카드의 향명 카운터가 3개 이상일 경우에밖에 실행할 수 없으며\, 자신은 "바르모니카의 신이-제브페라"를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의 펜듈럼 존의 향명 카운터를 3개 제거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 턴에 1번\,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의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마법 / 함정 카드 발동시의 효과를 적용한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 카드의 파괴를 향명 카운터 3개로 대체하는 효과. 링크 소환은 향명 카운터가 3개가 있을 때 가능하니 이 카드가 링크 소환할 때는 향명 카운터가 최소 3개 이상은 모였다는 것이고, 즉 1번의 내성은 갖춘다. ②의 효과는 묘지 / 제외 존의 바르모니카 일반 마법 / 함정 복사. 프리 체인으로 이들의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제외 존도 포함하므로 안젤로 / 데모네의 몬스터 효과로 마함을 제외해도 문제가 없다. 특히 일반 함정의 경우 두 효과를 전부 격발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안젤로와 데모네 둘 다에게 향명 카운터가 들어가기에 카운터가 2개 쌓인다. 즉 ①의 효과의 내성을 더욱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제외나 바운스 등에는 약하다. 소환에 턴 제약이 있을 뿐 효과 발동에는 턴 제약이 없기 때문에 [[아이:피 마스카레나]]로 상대 턴에 2제브페라를 띄우거나 [[에스:피 리틀나이트]]로 효과를 사용한 제브페라를 임시로 제외한 뒤 엔드 페이즈에 돌아와 또 효과를 사용하는 테크닉이 존재한다.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4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4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4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마법 카드 == === 일반 마법 === 3가지 다 2가지의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하고 발동하게 된다. 펜듈럼 존에 바르모니카가 없으면 상대가 효과를 고르기 때문에 원하는 효과를 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어지간해선 미리 펜듈럼존에 세팅을 한 뒤에 쓰는 것이 좋다. 인토나레와 베르사레의 일러스트는 바르모니카 펜듈럼 몬스터들이 글래스 하모니카 연주를 위해 손가락에 묻힐 물을 제공하는 모습. ==== 바르모니카 셸타 ==== [[파일:ヴァルモニカ・シェルタ.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바르모니카 셸타, 일어판명칭=ヴァルモニカ・シェルタ, 영어판명칭=Vaalmonica Scelta,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고르고 적용한다. 자신의 펜듈럼 존에 "바르모니카"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적용할 효과는 상대가 고른다., 효과2=●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덱 맨 아래로 되돌릴 수 있다. 그 경우\, 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효과3=●자신은 500 데미지를 받는다. 그 후\, 덱에서 "바르모니카 셸타" 이외의 "바르모니카"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덱에서 카드를 패에 가져오는 마법.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적용할 수 있다. * 500 LP를 회복한 뒤 패 1장을 덱 맨 밑에 넣고 2장 드로우한다. [[멀리건]] 효과로, 아드 손해는 없다. * 500 데미지를 입은 뒤 바르모니카 마법 / 함정 카드를 패에 넣는다. 베르사레나 인토나레를 서치한 뒤, 발동을 통해 데모네의 향명 카운터를 쌓기 위한 추가 연계를 노릴 수 있다. 향명 카운터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바르모니카의 전개를 위해 매우 필수적인 효과지만, 상술한 제약 때문에 이 카드 혼자서만 잡히면 상대가 라이프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선택해 멀리건을 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단독으로 발동했다면 [[패 말림|멀리건을 하는 게 더 나을 상황]]일 확률이 높다.-- 확정적인 서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데모네를 세팅할 필요가 있다. 데모네를 통해 효과를 베껴서 추가 서치도 가능. 일러스트는 데모네와 안젤로, 그리고 그들의 주인 혹은 본체로 보이는 소녀가 있는 모습. 이 소녀가 바르모니카를 연주하는 사람으로 보인다. 셸타(Scelta)는 영어 단어 Select와 비슷한 이탈리아어로 "고르다"를 의미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르모니카 셸타 설정화.jpg|width=100%]]}}}|| ||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694688507300884961|'''{{{#957EAB 설정화}}}''']] || 설정화에 다르면 그녀는 바르모니카에게 선택받은 소녀(임시)로 세계의 명운을 맡게되어 불안을 느끼고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6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6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6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바르모니카 베르사레 ==== [[파일:ヴァルモニカ・ヴェルサーレ.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바르모니카 베르사레, 일어판명칭=ヴァルモニカ・ヴェルサーレ, 영어판명칭=Vaalmonica Versar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고르고 적용한다. 자신의 펜듈럼 존에 "바르모니카"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적용하는 효과는 상대가 고른다., 효과2=●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그 후\, "바르모니카" 카드가 나올 때까지 자신의 덱의 위에서 카드를 넘길 수 있다. 그 경우\, 넘긴 "바르모니카" 카드를 패에 넣고\, 나머지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3=●자신은 500 데미지를 받는다. 그 후\, 덱에서 "바르모니카 베르사레" 이외의 "바르모니카"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덱에서 카드를 가져오는 마법.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적용할 수 있다. * 500 LP를 회복한 뒤 바르모니카 카드가 나올 때까지 덱 위를 펼친 뒤 패에 넣는다. 즉 랜덤 서치로, 랜덤성은 다소 짙다. * 500 데미지를 입은 뒤 바르모니카 카드를 덤핑한다. LP 회복 효과와 다르게 덤핑하는 카드를 확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몬스터는 인토나레와 연계할 것이 아니라면 덤핑의 가치가 없으니 대개 필드의 바르모니카와 연계할 마법/함정을 덤핑하게 될 것이다. 베르사레(versare)는 이탈리아어로 '쏟다'를 의미한다.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7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7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7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바르모니카 인토나레 ==== [[파일:ヴァルモニカ・イントナーレ.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바르모니카 인토나레, 일어판명칭=ヴァルモニカ・イントナーレ, 영어판명칭=Vaalmonica Intonar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고르고 적용한다. 자신의 펜듈럼 존에 "바르모니카"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적용하는 효과는 상대가 고른다., 효과2=●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특수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할 경우\, 다시 그 중의 1장을 상대가 골라서\, 그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3=●자신은 500 데미지를 받는다. 그 후\, 자신의 묘지에서 레벨 4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묘지의 몬스터를 회수하는 마법. 효과는 다음과 같다. * 500 LP를 회복한 뒤 특수 소환 가능한 몬스터를 소생한다. 몬스터의 대상은 상대가 고르므로, 상대는 [[패 트랩]] 등 특수 소환시 효과를 발동하지 않는 쪽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그런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냥 500 LP 회복하는 효과만 적용된다. * 500 데미지를 입은 뒤 레벨 4 몬스터를 샐비지한다. 범위가 매우 폭넓다. 인토나레(intonare)는 이탈리아어로 '조율하다'를 의미한다.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8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8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8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필드 마법 === ==== 천마의 성선기-『바르모니카』 ==== [[파일:天魔の聲選器-『ヴァルモニ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천마의 성선기-『바르모니카』, 일어판명칭=天魔(てんま)聲選器(せいせんき)-『ヴァルモニカ』, 영어판명칭=Vaalmonica\, the Agathokakological Voi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덱에서 "바르모니카"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펜듈럼 존에 향명 카운터가 놓여져\, 그 카드의 향명 카운터가 3개가 되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시까지 얻는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는 공격 선언할 수 없다.)] 바르모니카의 필드 마법. ①의 효과는 바르모니카 몬스터 서치. 기믹의 핵심인 안젤로와 데모네를 서치할 수 있어 빠르게 바르모니카 기믹으로 연결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향명 카운터가 3개가 될 때 상대 필드의 몬스터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시까지 얻는 효과. 공격 선언은 할 수 없고 엔드 페이즈가 되면 컨트롤이 되돌아가버리므로 소환의 소재로 빠르게 쓸 필요가 있다. 그래도 초동 카드에 후공 돌파 효과가 붙어있는 건 고마운 편. 또한 이 카드는 보통 초동으로 쓰게 될 테니 그럴 경우가 적겠지만 카운터가 놓여 3개가 되면 발동되니 3개를 넘어가거나 줄어들어 3개가 되는 식으로는 발동되지 않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5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5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5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함정 카드 == === 일반 함정 === 둘 다 바르모니카가 있을 때 효과가 발휘되며 필드에 몬스터 카드가 있는 것을 요구하기에 펜듈럼 존에 세팅한 몬스터가 있어도 효과를 쓸 수 있다. 링크 몬스터가 나와있다면 양쪽 모두 적용되어 효과가 강화된다. ==== 율도의 바르모니카 ==== [[파일:律導のヴァルモニ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율도의 바르모니카, 일어판명칭=律導(りつどう)のヴァルモニカ, 영어판명칭=Vaalmonica Followed Rhythm,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바르모니카" 몬스터 카드가 존재할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고르고 적용한다. 자신 필드에 "바르모니카"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둘 다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효과2=●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그 후\,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효과3=●자신은 500 데미지를 받는다. 그 후\,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패로 되돌릴 수 있다.)] 상대의 카드를 제거하는 함정. 효과는 다음과 같다. * 500 LP를 회복한 뒤 필드의 마법 / 함정 1장을 파괴한다. 상대의 후열을 견제할 수 있는 효과이다. * 500 데미지를 입은 뒤 필드 몬스터를 바운스한다. 대상을 지정하지 않고 파괴하지도 않는 매우 강력한 제거기이며, 자신의 몬스터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일러스트는 이신-쥬라르메의 구도를 위/아래로 대칭시킨 것.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39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39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39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선율의 바르모니카 ==== [[파일:選律のヴァルモニ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선율의 바르모니카, 일어판명칭=選律(せんりつ)のヴァルモニカ, 영어판명칭=Vaalmonica Chosen Melody,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바르모니카" 몬스터 카드가 존재할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고르고 적용한다. 자신 필드에 "바르모니카"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양쪽을 고르고 적용할 수 있다., 효과2=●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이 턴 중에\, 자신 필드의 "바르모니카" 몬스터 카드를 상대는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3=●자신은 500 데미지를 받는다. 그 후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할 수 있다.)] 상대의 효과를 무력화시키는 함정. 효과는 다음과 같다. * 500 LP를 회복한 뒤 이 턴 내에 바르모니카 몬스터 카드에 효과 대상 지정 내성을 부여한다. 몬스터 카드에 적용되므로 펜듈럼 존에 있는 바르모니카들에게도 적용된다. [[무한포영]], [[코즈믹 싸이크론]]과 같은 대상 비파괴 카드들로부터 보호해주지만 여전히 [[명왕결계파]], [[길항승부]]와 같은 광역 비파괴 카드들에는 대응할 수 없기에, 보통은 데미지 쪽 효과를 쓰는 김에 덤으로 주는 효과 취급을 받는다. * 500 데미지를 입은 뒤 [[무한포영|효과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하는 효과. 포영이 그렇듯 무난한 견제형 효과다. ||수록 시리즈 || ||<(> 2023-08-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VS-JP040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밸리언트 스매셔즈|ヴァリアント・スマッシ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VS-KR040 | '''[[덱 빌드 팩]] [[밸리언트 스매셔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VASM-EN040 | '''[[밸리언트 스매셔즈|Valiant Smash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 * [[엑시즈 몬스터 일람#랭크 4|랭크 4 엑시즈 몬스터]] 메인 덱 몬스터인 안젤로와 데모네가 레벨 4이며 이 둘의 펜듈럼 스케일이 3 / 5라 대놓고 4축 엑시즈들과 같이 쓰라는 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패에 잡힌 안젤로 혹은 데모나의 ①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하기만 하면 바로 펜듈럼 스케일이 세팅되며 효과에 딱히 소환 제약을 거는 것도 아니니 4축 엑시즈들을 제대로 다룰 수 있다. 여건이 된다면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를 세운 다음 자신은 바르모니카 링크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으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를 채용할 경우 상대 턴에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오파츠(유희왕)#오파츠 비마나|오파츠 비마나]]를 소환해 견제할 수 있고, 자기 턴이면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소환한 다음 이를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인피니티]]로 바꿔 비파괴 제거 + 퍼미션 요원을 세우거나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으로 턴킬을 노려볼 수도 있다. * [[크라운 블레이드]] 크라운 블레이드 자체가 4축 위주의 덱인데 안젤로와 데모네는 ①의 몬스터 효과로 바로 레벨 4 몬스터를 전개해줄 필드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전개력을 가속화시켜준다. 크라운 블레이드에서 채용하는 Em 몬스터들 몇몇이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기에 데모네에 향명 카운터를 쌓기도 좋은 편. * [[BF-정예의 제피로스]], [[Em 트릭 크라운]] 원래도 4축의 친구이지만 바르모니카의 경우엔 데미지를 받는 것이 데모네의 향명 카운터를 쌓는 트리거이므로 더욱 궁합이 좋다. * [[히로익#H·C 사우전드 블레이드|H·C 사우전드 블레이드]] 데미지를 받으면 자신을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②의 효과 덕에 스스로 데미지를 받을 일이 많은 바르모니카가 쓰기 좋다. 다만, 효과 발동 타이밍이 '때'이기 때문에 바르모니카 마법 / 함정 카드를 사용했을 때 데미지를 받은 다음 후속 효과를 사용할 경우 타이밍을 놓치는 점을 유의. * [[섬도희]] 섬도 마법 카드의 효과를 쓸 때마다 라이프를 회복하는 섬도희-카이나를 주력으로 하는 구축을 사용할 경우 용병 파츠로 쓰인다. 때마침 레이와 로제도 4레벨이라 투입해도 어울린다. * [[아이:피 마스카레나]] 향명 카운터가 충분하면 마스카레나 한 장만으로도 상대 턴에 파괴내성을 가진 바르모니카 링크몹을 소환할 수 있다. 특히 상대 턴에 쥬라르메를 소환해 전부 파괴하는 연계가 강력하다. * [[에스:피 리틀나이트]] 일반적으로도 좋은 범용 링크 몬스터지만 바르모니카에서는 다른 활용법이 가능한데, 제브페라는 특수 소환 횟수에만 제약이 걸려있을 뿐 2번 효과에는 턴 제약이 없다. 따라서 제브페라의 효과를 사용한 뒤 리틀나이트로 제브페라를 제외하고, 되돌아온 제브페라는 엔드 페이즈에 또 2번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 [[세베크의 마도사]] 전투를 실행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전투를 통해 라이프 회복과 라이프 데미지 트리거를 동시에 발동시킬 수 있다. * [[비서스=삼사라]] + [[스케어클로 라이히하트]] 삼사라를 소환하고 스케어클로 라이트하트를 링크 소환 → 효과로 사세괴를 서치한 뒤 라이히하트를 서치 → 라이히하트를 특수 소환하여 스케어클로 노바를 서치 → 노바로 삼사라를 부활시키고 삼사라 + 라이히하트 = [[현익룡 블랙 페더]] → 묘지의 삼사라 + 라이히하트 = [[비셔스=아스트라우드]] → 블랙 페더 + 아스트라우드 = [[디 언데드 뱀파이어]]로 이어지는 구축이다. 이 구축은 출시 직후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가 살아있을 때 많은 8축에서 애용되었으나, 카룰 금지 후 대체재인 현익룡의 효과를 효과 데미지 카드를 많이 넣는 바르모니카는 그나마 사용할 수 있어 사용할 수 있다. 단, 현익룡은 사우전드 블레이드와 마찬가지로 '때'이기 때문에 바르모니카 마함의 후속 효과를 사용할 경우 타이밍을 놓친다. * [[어썰트 싱크론]] 데미지를 받으면서 패에서 특수 소환되기 때문에 데모네의 향명 카운터도 쌓을 수 있고, 다른 4축 몬스터와 [[BF-마풍의 보레아스]]를 소환한 뒤 효과로 [[BF-정예의 제피로스]]를 덤핑하고 효과를 사용하여 향명 카운터 2개를 쌓으면서 4레벨 몬스터 2체의 전개가 가능하다. 이후에는 8축 싱크로나 4축 엑시즈로 이으면 된다. * [[나츄르]] 전개를 위해서 준비물이 상당히 필요한 바르모니카와는 달리 원핸드로도 전개가 가능해 상대를 견제하는 플레이가 주가되는 바르모니카의 견제력을 높여준다. 특히 나츄르 너브의 경우는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제한 마함 견제 능력에 더해 나츄르 특유의 무한소생 메커니즘으로 인해 바르모니카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마함 견제 능력 전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주목할만하다. 또한, 나츄르 용병으로 주로 채용되는 나츄르 카멜리아, 나츄르 선플라워, 나츄르 너브의 경우 레벨 4 이하의 식물족이라는 점으로 인해 후술할 생아발론과 연계 가능하다는 것도 메리트이다. * [[생아발론]] 대미지를 받는 쪽의 효과를 쓰면 그만큼 회복하고 개체수를 복사할 수 있어 안젤로와 데모네의 향명 카운터를 동시에 올리고 추가 링크 소재까지 마련할 수 있다. 드리아스의 소재는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로, 소재로 사용해볼만한 몬스터로는 묘지로 보내지면 회복하는 [[아로마(유희왕)#s-5.1.2|아로마지-로리에]], 묘지에서 자체 소생이 가능한 [[그로우업 벌브]], 자체 스케일로 펜듈럼 소환이 가능한 4레벨인데다 필마를 서치할 수 있는 [[고양이콘]] 등이 있다. * [[대담무적]], [[하나 미즈키]] 카드의 효과가 적용된 상태에서 상대가 몬스터를 소환할수록 안젤로에 향명 카운터가 쌓이기 때문에 안젤로의 ②의 펜듈럼 효과를 격발시킬 조건을 쉽게 만족시킬 수 있고, 필드 마법과 연계해 기습적인 컨트롤 탈취로 전개 방해가 가능하다. 또한 향명 카운터가 계속 쌓인다는 것은 쥬라르메의 ①의 효과를 적용시킬 대상이 늘어난다는 것이니 상대 턴에 쥬라르메 소환을 성공했다면 매우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 * [[파란눈물의 천사]] 효과 데미지가 발생했을 때 묘지에서 제외하고 덱에서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불러오는 카드. 패에 잡혔을 때 바르모니카 펜듈럼의 코스트로 버린 뒤 기믹을 굴리면 자연스럽게 함정 카드를 후열로 불러올 수 있다. 상대가 몬스터가 있을 경우에는 미약하게나마 1번 효과를 사용해서 스스로에게 데미지를 주는 형태로 바르모니카 기믹을 돌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