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신 타이거스/간략(코칭스태프))] ---- ||
'''{{{#fff 바바 토시후미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f8f2d, #3fb1e5)" [[일본시리즈|[[파일:NPB 로고.svg|width=auto&height=35]]]] '''{{{+1 {{{#ffffff 일본시리즈 우승}}}}}}'''}}} || || '''[[1996년 일본시리즈|{{{#FFC74B 1996}}}]]''' || '''[[1997년 일본시리즈|{{{#ffffff 1997}}}]]'''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2]]]] '''{{{#ffffff 1995~1996년 퍼시픽리그 3루수}}} [[골든글러브(일본프로야구|{{{#ffffff 골든글러브}}}]]'''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바토시후미 한신 취임회견.jpg|width=100%]]}}} || ||<-2> '''한신 타이거스 No. 81''' || ||<-2> '''{{{#ffffff {{{+2 바바 토시후미}}}[br]馬場敏史 / Toshifumi Baba}}}''' || || '''생년월일''' ||[[1965년]] [[2월 10일]] ([age(1965-02-10)]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생지''' ||[[후쿠오카현]] [[미즈마군]] [[오키마치|오키정]] || || '''포지션''' ||[[3루수]], [[2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학력''' ||야나가와고등학교 || || '''사회인야구''' ||[[신일본제철]] 사카이 (1984~1989) || || '''프로입단''' ||1989년 드래프트 5순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다이에]]) || || '''소속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0~1993)[br][[오릭스 블루웨이브]] (1994~1997)[br][[야쿠르트 스왈로즈]] (1997~2000) || || '''지도자 경력''' ||[[오릭스 버팔로즈|서패스 고베]][* 2000~2008시즌까지 오릭스가 [[부동산]]회사 아나부키 공무점에 2군 [[명명권]]을 매각하여 당시 아나부키 공무점이 내세우던 [[맨션]] [[브랜드]] '서패스'의 이름을 그대로 따와 '''서패스 [[고베]]'''로 구단명을 바꿨고, 이후 2006년에 [[고베]]를 뺀 '''서패스'''로 구단명을 바꿨다가 2009년에 아나부키 공무점이 경영악화로 오릭스와의 계약 연장을 거절하면서 구단명을 원상복구했고, 직후 아나부키 공무점은 [[파산]]과 함께 오릭스의 자회사인 다이쿄의 자회사로 흡수되었다.] 내야수비·주루코치 (2001~2002)[br][[오릭스 블루웨이브]] 내야수비·주루코치 (2003)[br][[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내야수비·주루코치 (2004~2008)[br][[오릭스 버팔로즈]] 내야수비·주루코치 (2009)[br][[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내야수비·주루코치 (2010~2011)[br][[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군 내야수비·주루코치 (2012)[br][[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내야수비·주루코치 (2013)[br][[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종합 겸 내야수비·주루코치 (2014)[br][[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내야수비·주루코치 (2015)[br][[한화 이글스]] 작전 및 주루코치 (2016)[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내야수비·주루코치 (2017~2021)[br][[고베가쿠인대학]] 코치 (2022)[br][[한신 타이거스]] 내야수비·주루코치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일본프로야구]] 선수. 現 지도자. 한국 야구팬들에겐 2016년 [[한화 이글스]]의 작전 및 주루코치를 역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현역 시절 == === 프로 데뷔 전 === 야나가와 고등학교를 거쳐 [[일본의 사회인야구|사회인야구팀]] 신일본제철 사카이에서 6년간 선수로 뛰었고, 1989년 [[도시대항야구대회]]에서는 주축 타자로써 팀을 대회 4강으로 이끌었다. 당시 회사 야구팀 후배로 '''[[노모 히데오]]'''가 있었다. 이후 노모가 8구단 1순위 동시지명을 받은 것으로 유명했던 1989년 드래프트[* 노모 외에도 '''[[후루타 아츠야]]''', '''[[사사키 카즈히로]]''', '''[[신죠 츠요시]]''', [[사사오카 신지]], [[코미야마 사토루]], [[이리키 사토시]], [[요다 츠요시]] 등 이후 프로에서 출중한 활약을 펼치는 선수들을 다수 배출한 드래프트로 유명하다.]에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당시 다이에도 노모를 1차 지명했으나 [[킨테츠 버팔로즈]]에게 교섭권을 내주면서 대체 1순위로 [[모토키 다이스케]]를 지명했는데, 요미우리 입단을 원했던 모토키가 다이에의 지명을 거부하면서 그대로 1차 지명권을 날려버렸다.]의 5위 지명을 받아 프로에 데뷔한다. === 프로 선수 시기 === 데뷔 1년차인 1990년부터 바로 1군 데뷔를 이뤄냈지만 [[타율]]이 2할을 넘기지 못하는 등 빈약한 타격이 발목을 잡으면서 54시합 출장에 그쳤고, 2년차인 1991년엔 아예 1군에 승격하지 못한 채 2군에서만 시간을 보낸 데 이어 다음 해에도 10시합 출장에 그쳤다. 팀이 [[후쿠오카 돔]]으로 옮긴 1993년에 67시합(153타석)에 출장하여 [[타율]] .246(138타수 34안타) 0홈런 9타점을 기록하며 [[백업]] 멤버로나마 그럭저럭 1군에 정착하나 싶었으나, 시즌 종료 후 타카기 코지와의 [[트레이드]]로 [[오릭스 블루웨이브]]에 이적하게 되었다. 오릭스 이적 첫 해인 1994년엔 53시합 출장으로 지난 해와 별다를 바 없는 성적에 그쳤지만, 이적 2년 차인 1995년에 출중한 수비력을 주목받아 주전 [[3루수]]로 정착하게 되었고, 그 해 115시합 404타석, [[타율]] .262(344타수 90안타) 1홈런 33타점을 기록하면서 데뷔 후 처음으로 [[규정타석]]에 도달한 것은 물론 오릭스의 [[고베]] 연고이전 이래 첫 우승[* 이 해 오릭스는 개막 전인 1월에 터진 [[한신 아와지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연고지 [[고베]] 팬들을 위로 및 격려하는 뜻에서 '''힘내자 고베(がんばろうKOBE)'''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며 시즌에 임했고, 시즌 내내 엄청난 호성적으로 쾌진격을 거듭하여 [[고베]] 팬들에게 [[퍼시픽리그]] 우승을 안겨주는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다만 [[1995년 일본시리즈|일본시리즈]]에선 아쉽게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게 우승을 내줬다.]을 이끈 공로로 [[골든글러브(일본프로야구)|골든글러브]] 수상까지 성공하는 [[커리어하이]] 시즌을 보냈다. 다음 해인 1996년에도 타석 수는 1/3 가까이 줄었으나 주전 [[3루수]] 자리를 유지하며 111시합 출장 및 개인 최다인 6홈런을 기록했고, 오릭스의 2년 연속 [[퍼시픽리그]] 우승 및 19년 만의 [[1996년 일본시리즈|일본시리즈]] 제패를 이끈 공로로 2년 연속 골든글러브 수상에 성공했다. 그러나 1997년엔 크리스 도넬스, 사타케 마나부 등의 대두로 출장기회가 급감했고, 시즌 도중 이와사키 히사노리와 함께 오구라 히사시, 히로나가 야스타카[* 바바와는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시절 팀메이트이기도 했던 선수로 선수 생활 동안 준주전, [[백업]]을 전전한 [[외야수]]였다. 다만 현역 시절엔 백업 이하를 전전한 것과는 별개로 역대 최초 개막전 데뷔 첫 타석 홈런 및 [[헤이세이]] 시대 [[퍼시픽리그]] 제1호 홈런 등 여러 굵직한 기록을 만들어 낸 선수로써 유명세를 펼쳤으며, 오릭스 이적 후인 1998년엔 [[치바 롯데 마린즈]]의 프로야구 연패 신기록(17연패)을 결정짓는 [[대타]] [[끝내기]] [[만루 홈런]]을 쳐내기도 했다. 1999년 시즌 종료 후 은퇴.]와의 2:2 [[트레이드]]로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이적하게 된다. 이는 오릭스의 [[리빌딩]] 구상과 더불어 [[1995년 일본시리즈]] 당시 바바의 출중한 수비력에 주목한 [[노무라 카츠야]] 감독의 영입 계획이 맞물린 결과였다. 야쿠르트 이적 직후엔 [[이케야마 타카히로]], 도바시 카츠유키와의 주전 경쟁과 함께 [[3루수]], [[2루수]]를 병행하며 57시합[* 시즌 종합 성적은 오릭스에서 출장했던 18시합까지 더해 75시합 출장. 다만 오릭스에선 출장기회를 별로 받지 못해서 이 해 대다수의 타격 성적을 야쿠르트에서 기록했다.]에서 [[타율]] .271(140타수 38안타)/[[OPS]] .727, 3홈런 18타점으로 커리어하이급 성적을 기록하며 어느 정도 결과를 냈고, 야쿠르트의 [[센트럴리그]]-[[일본시리즈]][* 다만 일본시리즈에선 3경기에서 대타 및 대수비로만 출장하면서 미미한 성적에 그쳤다.] 우승에도 공헌하면서 [[노무라 카츠야]] 감독의 기대에 부응했다. 이후에도 준주전이나 백업으로 야쿠르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나 [[이와무라 아키노리]] 등의 대두가 겹치면서 결국 2000년 시즌 종료 후 '''675시합 출장, [[타율]] .242/[[OPS]] .616, 328안타 12홈런 119타점'''의 통산 성적을 남기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 은퇴 후 == 은퇴 후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베이스타즈|요코하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등에서 내야수비 및 주루코치를 역임했고, 2016년엔 [[김성근]] 감독이 이끌던 [[한화 이글스]]의 작전 및 주루코치로 취임했으나 한 시즌 만에 코치직에서 사퇴하고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다. 2023년부턴 [[한신 타이거스]]의 1군 내야수비 및 주루코치를 맡게 되었다.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65년 출생]][[분류:오키정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1990년 데뷔]][[분류:2000년 은퇴]][[분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은퇴, 이적]][[분류:오릭스 버팔로즈/은퇴, 이적]][[분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