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Hollow Knight/지역)] [include(틀:Hollow Knight)] [include(틀:Hollow Knight/지역 일람)] [[분류:Hollow Knight]] [[파일:바보들의 투기장 마크.png]]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Area_Colosseum.png]] [[Hollow Knight]]의 지역인 바보들의 투기장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 특징 == 왕국의 끝자락 위쪽에 위치해 있는 시설. 부적 칸을 얻을 수 있는 전사의 시련, 창백의 광석을 얻을 수 있는 정복자의 시련, 바보 업적을 얻을 수 있는 바보의 시련에 도전할 수 있으며, 각각 100지오, 450지오, 800지오의 출전 등록비가 필요하다. 비용은 최초 1회만 지불하며 재도전에는 추가비용이 들지 않는다. 각 시련을 클리어할 때마다 게임 완성도가 1% 증가하므로 최대 완성도 112%를 클리어하려면 모든 시련을 통과해야 한다. 또한, 일부 적은 투기장에서만 등장하기 때문에 사냥꾼의 징표(모든 적을 지정회수 이상 물리침)를 얻기 위해서는 필수로 도전해야하는 코스. 투기장 휴게소 오른쪽 끝 벽을 부수면 숨겨진 '''온천'''이 있다. 살루브라의 축복이 없을 때 아주 유용하다. 원래 있던 튼튼한 바보에게 몽환의 대못을 휘두르면 조용한 휴식 공간을 빼앗겼다고 투덜거리는 것을 알 수 있다. --휴식 공간을 빼앗은 것도 모자라 온천물을 튀겨서 진상짓도 할 수 있다-- 이 지역의 특이점으로 투기장에서 사망할 경우 이전에 휴식한 위치와 상관없이 투기장 지하의 벤치에서 되살아나며, 그림자는 벤치 위치에서 왼쪽 끝에 있는 방에서 회수할 수 있다. == 세부 지역 == 별도의 세부 지역은 없으나 오른쪽 맨 끝으로 가 위쪽으로 올라간 뒤에 오른쪽 벽을 부수면 새로운 공간이 나타나는데, 그곳에서 창백한 어슬렁이를 잡고 간단한 열쇠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창백한 어슬렁이가 머물렀을 것으로 생각되는 은신처(최하단 최우측)에는 왕의 우상이 하나 있다. 이하는 세부 지역이라기보다는 투기장의 도전 레벨에 따른 내용으로 기술한다. === 전사 선발 대회 === 가장 처음에 도전하는 전투 답게 난이도는 그렇게 높지 않다. 부적 칸을 주며 강화된 몇몇 적들와 방패든 바보, 튼튼한 바보가 주된 적으로 등장한다. 복수파리들이 등장한 후 체력이 강화되고 속도가 빨라진 왕복수파리와 감염된 붕붕파리들 이후에 나오는 두 마리의 붕붕파리 어미가 중간 보스로 등장한다. 보스는 '위대한 조트'. ~~최강의 무기 '생명 종결자'와 작은 체구 때문에 바보의 시련의 신 조련사보다 어려운 보스이다.~~ 한 번 클리어 한 이후나 조트를 구하지 않았다면 조트가 등장하지 않게 되면서 두 마리의 붕붕파리 어미가 보스가 된다. === 정복자 선발 대회 === 창백의 광석을 주는 시련. 거대한 바보와 날개달린 바보 및 몇몇 강화된 적들이 주된 적으로 등장한다. 중간에 뜀벌레들이 등장하는 구간에서 좁은 구간에서 거대 뜀벌레만 조심하면 그 후로는 비교적 여유로워 진다. 중간에 애벌레 흉내쟁이가 나오는데 회복하기에 딱 좋은 시간이다. 후반부에는 전투 오블들이 등장하며 보스로는 오블로블 두 마리가 나온다. === 바보 선발 대회 === 보상은 돈뿐이지만 난이도가 극악인 전투. 원시 맹독충이 매우 거슬리기 때문에 등장하자 마자 잡는게 좋다. 중간에 감염된 복수파리가 등장하며 바닥에 튼튼한 바보가 나타난 후 가시가 올라오거나 무거운 바보 등장 직후 종파리 떼 폭격 등 팀킬도 일어난다. 죽음의 루들이 등장하고 나면 가시밭길+원시 맹독충 여러 마리의 조합이 나오고 이후 깊은둥지의 거대 지네들이 등장한다. 그 후 바보들이 등장하다가 배신자 사마귀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대못을 최종강화 하면 강력한 참격이나 대쉬 참격으로 투척수들을 일격에 처치할 수 있으니 알아두자. 그 후에는 순간이동으로 등장하는 영혼 성소의 적들이 등장하면서부터 '''바보 선발 대회의 고비 1.''' 순서는 영혼 마도사 2마리가 등장하고 조금 있다가 실수 3마리가 땅에서 등장하며 이들을 전부 잡으면 영혼 전사+어리석음 무한 생산 조합으로 공격해온다. 사실상 이리저리 순간이동 하고 유도성 영혼 구체를 발사하는 영혼 마도사를 빠르게 처치하지 않으면 난이도가 엄청나게 올라가니 주의. 이후 가시밭길 + 벼락 마도사와 영혼 마도사가 연속으로 등장하며 다 끝나면 영혼 전사가 등장한다.[* 의도한 건지 버그인지는 모르겠지만 영혼 마도사는 순간이동으로 등장 후 자신을 지키는 영혼탄 하나를 소환할 때 약간의 딜레이가 있는데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영혼 마도사는 텔레포트와 동시에 영혼탄이 함께 등장한다. 즉, 등장한 후 공격을 시작하는 사이에 시간이 매우 짧아진다.] 벼락 마도사는 생각보다 공격 속도가 느려서 상황을 봐서 적절하게 회복해주자. 두 번째 영혼 전사가 등장한 후 조금 있다가 영혼 마도사 한 마리가 협공하는데 마도사부터 빠르게 처치하자. 그 후 작은 몰럭과 음울한 몰럭이 중간 보스로 등장한다. 극딜 셋팅으로 정면 대결을 할 수 없다면 은근 뼈아프니 조심하자. 이들을 처치하면 양쪽으로 벽이 나타나고 밑에서 가시가 돋아나 벽에 붙은 상태에서 회복할 수 없는데 이로 인해 '''바보 선발 대회의 고비 2'''다. [* 바보 선발 대회에서 대못사부의 영예 부적이 준필수 취급 받게된 이유이기도 한 구간이다.] 대못 최종 강화 후 대못 기술로도 한 번에 죽지 않는 전투 오블들과 이후 천장이 내려와 살짝만 미끄러지면 바로 가시에 찔리는 상태에서 나오는 전투 모기들의 난이도가 상당하다. 이 곳까지 넘기면 이후 많은 바보들과 영혼 성소의 적들, 배신자 사마귀 무리들이 공격해온다. 마지막으로 신 조련사를 처치하면 바보의 시련이 끝난다. 난이도가 매우 높아, 사람에 따라 광휘보다 어려웠다는 반응도 있다. 어떤 부적을 들지는 취향껏 선택하면 되지만, 투기장에 도전하고 싶다면 '''대못 풀강화와, 제왕의 날개는 필수품'''[* 물론 고인물은 노강대못에 제왕의 날개없이 클리어한다...]. 아래는 쓰기 좋은 부적과 관련 팁들이다. * 대못사부의 영예 적들이 순차적으로 등장하며, 정해진 위치에서만 나오기에, 대못기술을 쓰기 좋다. 기술을 충전해뒀다가, 원시 맹독충 등 짜증나는 적들이 등장하는 타이밍에 맞춰 즉사시키면 난이도가 크게 낮아진다. * 튼튼한 껍데기 많은 적을 상대할 때 연속으로 피격당해 죽는 일을 줄여준다. 특히 공중전을 할 때 적에게 맞고 가시에 또 찔려 한 번에 2칸이 다는 일이 크게 줄어든다. * 주술사의 돌 주문 피해가 크게 증가해, 원시 맹독충이나 장갑 모기가 복수의 영령 한 방에 터진다. 벼락 마도사는 운이 좋으면 딜에 밀려나면서 딜이 2단으로 들어가 주문 1회로 톼치할 수도 있다. * 그림의 아이 그림의 아이를 최종 강화할 시 부적 칸에 비해 효율이 굉장히 좋기도 하고, 적들을 자동으로 공격해주기에 공중전 파트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다만 악몽의 왕을 잡을 실력이면, 바보들의 투기장은 어렵지 않게 클리어했을 거라는 게 문제다...-- * 평타 빌드(허술한 힘 + 긍지의 표식) 무난하게 강력해서 많이 쓰이는 빌드로, 날아다니는 적들이 많아 긍지의 표식의 공격범위 증가가 정말 크게 체감된다. 다만 적을 꾸준히 때릴 각은 거의 나오지 않기에, 빠른 참격은 효율이 좋지 못하다. == 등장 [[Hollow Knight/등장인물|NPC]] == * [[조트]] * [[Hollow Knight/등장인물#작은 바보|작은 바보]] * [[Hollow Knight/등장인물#티소|티소]] == 등장 [[Hollow Knight/적|적]] == * 날카로운 발더 (Sharp Baldur) * 장갑 모기 (Armoured Squit) * 전투 오블 (Battle Obble) * 방패든 바보 (Shielded Fool) * 튼튼한 바보 (Sturdy Fool) * 날개달린 바보 (Winged Fool) * 무거운 바보 (Heavy Fool) * 죽음의 루들 (Death Loodle) * 벼락 마도사 (Volt Twister) * 창백한 어슬렁이 (Pale Lurker) == 등장 [[Hollow Knight/보스|보스]] == * [[조트#위대한 조트|위대한 조트]] * [[오블로블]] * [[신 조련사]] == 여담 == 이름때문에 [[키배]]가 일어난 상황을 설명할때 종종 쓰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ollow Knight/지역, version=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