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바스티온)] [include(틀:오버워치 2/영웅)]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kLLbYjvzjz4)]}}}||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사의 [[FPS]] [[게임]] [[오버워치]]의 영웅, 바스티온의 영웅 갤러리 정보를 정리한 문서. == 스킨 == 오버워치 2로 넘어오면서 설정: 경계, 설정: 전차가 삭제되고 그 자리에 설정: 강습, 설정: 포격이 들어와 이 문서에 경계/전차 모습이 미등록된 스킨들은 하이라이트 영상에서만 구경할 수 있다. 바스티온의 스킨 테마에 따라 가니메데스 역시 다양한 새로 변하며 그 종류 역시 다채롭다. === 오버워치 1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06-29 (5).png|width=200px]]}}} || || '''오버워치 1 (Overwatch 1)'''[br]기본 스킨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Classic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Classic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옴닉 사태의 최전선에 있던 이 호기심 많은 바스티온은 아름다운 자연에 매료되어 전 세계를 탐험하고 있지만, 냉엄한 인류를 두려워하게 되었다. === 오버워치 2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옵치2바스티온.jpg|width=100%]]}}}|| || '''오버워치 2 (Overwatch 2)'''[br]기본 스킨 || * 기존보다 모서리가 둥글어 지고 머리에는 토르비욘이 아이언클래드에서 활동 했을 당시에 모자를 쓰고 있다. 정황상 토르비욘이 물려준 것으로 보인다. * 삭제된 설정: 경계, 설정: 전차의 모습은 하이라이트로만 관람할 수 있다. === {{{#0063ff 희귀}}} === 바스티온의 희귀 등급 스킨 이름은 자연물에서 따왔다. 몸 색깔은 바뀌는데 어째서인지 얼굴 옆면의 색상은 바뀌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검댕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Soot.jpg|width=100%]]}}}|| || {{{#fff '''검댕 (Soot)'''[br][[파일:코인.svg|width=15]] 75}}}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oot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oot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숯'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soot'은 옅은 그을음이나 검댕을 뜻하는 영단어인데 숯이라고 그대로 불러도 틀리진 않다. ==== 새벽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Dawn.jpg|width=100%]]}}}|| || {{{#fff '''새벽 (Dawn)'''[br][[파일:코인.svg|width=15]] 75}}}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Dawn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Dawn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초원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Meadow.jpg|width=100%]]}}}|| || {{{#fff '''초원 (Meadow)'''[br][[파일:코인.svg|width=15]] 75}}}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Meadow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Meadow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하늘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Sky.jpg|width=100%]]}}}|| || {{{#fff '''하늘 (Sky)'''[br][[파일:코인.svg|width=15]] 75}}}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ky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ky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9400D3 특급}}} === 기본 전설급 스킨들은 아예 앤티크풍 혹은 스팀펑크풍으로 외형이 변해버리기 때문에, 바스티온 특유의 각진 디자인이 마음에 드는 사람들은 오히려 특급 스킨들을 선호한다. ==== 방어 매트릭스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Defense_Matrix.jpg|width=100%]]}}}|| || {{{#fff '''방어 매트릭스 (Defense Matrix)'''[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Defense Matrix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Defense Matrix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대체로 기본 스킨보다도 더 강조된 흰색 바탕에, 얼굴 화면(눈)과 동체 일부분은 노란색으로 되어 있다. * 어깨에 앉은 가니메데스가 큰[[어치]](blue jay)로 변경된다. * 몸통 옆에 써 있는 넘버링이 변경된다. ==== [[옴닉 사태]]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Omnic_Crisis.jpg|width=100%]]}}}|| || {{{#fff '''옴닉 사태 (Omnic Crisis)'''[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Omnic Crisis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Omnic Crisis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옴닉 사태 때, 바스티온 유닛은 전 세계 곳곳에서 인간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 [[옴닉 사태]] 당시의 옴닉군 소속으로 활동하던 바스티온 기종의 도색이다. 이 도색의 바스티온 로봇은 그래픽 노벨 "첫 번째 공습"의 [[https://bnetcmsus-a.akamaihd.net/cms/content_folder_media/X6UF17UYGNBB1458102934554.jpg|선행 컷]]에서 모리슨 사령관이 공격을 가하는 장면, 마지막 바스티온과 명예와 영광 시네마틱에서 볼 수 있다. * 위의 방어 매트릭스가 시설 방어용 로봇스러운 모습을 보인다면, 이 스킨은 적의가 느껴지는 타오르는 듯한 붉은 눈과 사막형 위장도색이 어우러져 군용 간지가 폴폴 묻어난다. 인 게임에서는 [[아이헨발데]] 여기 저기에 쫙 깔린 잔해로 나온다. 카레 배색이 떠오른다는 의견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어깨에 앉은 가니메데스가 [[홍관조]]로 변경된다. * 시네마틱 영상에 등장하는 ''자연의 친구' 스킨이 이 옴닉사태 도색의 녹슨 모습일 확률이 높다. 마지막 바스티온도 엄연히 옴닉사태의 최전선에 있었다고 스토리에 언급이 되어있으니. 영상에서의 잔해들과 바스티온의 녹슨 색상을 비교해보면 서로 유사하다는 점을 찾아볼 수 있다. * 색상과 마찬가지로 몸통 옆에 써 있는 넘버링이 변경된다. * 오버워치 초창기에 빠른 대전 메뉴 옆에 있는 '인공지능 상대' 메뉴의 바스티온이 이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금은 스프레이 이미지로 변경되었다. ==== 블리즈컨 2016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블리즈컨바스티온.png|width=100%]]}}}|| || {{{#fff '''블리즈컨 2016 (Blizzcon 2016)'''[br]블리즈컨(Blizzcon)® 2016 티켓 구매로 획득}}}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Blizzcon 2016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Blizzcon 2016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2016년 11월 4~5일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개최된 [[블리즈컨]]의 티켓을 구매한 유저들에게 타 자사게임들과 함께 제공되는 [[https://blizzcon.com/ko-kr/event-info/tickets/virtual|한정판 스킨]]이다. * 재질이 메탈릭과 카본패턴 질감처리로 바뀌며, 가슴에는 [[블리즈컨]] 로고 마킹이 박혀 있다. 가니메데스의 몸통 깃털빛깔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 [[드레노어의 전쟁군주]]부터 등장한 마스코트격 캐릭터 [[피프]]의 털색으로 바뀐다. * 컬러링은 대호평이지만 대빵만하게 박힌 [[추노마크|민망한 블리즈컨 마크]]에 호불호가 갈린다. * 예약특전인 [[위도우메이커]]의 느와르 스킨, [[윈스턴(오버워치)|윈스턴]]의 블리즈컨 스킨 등, 게임 내에서 구할 수 없는 희귀한 스킨이다. ==== 모래성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모래성 바스티온.png|width=100%]]}}}|| || {{{#fff '''모래성 (Sand Castle)'''[br][[오버워치 하계 스포츠 대회|[[파일:오버워치 하계 스포츠 대회.png|width=18px]]]] [[오버워치 하계 스포츠 대회 2020|{{{#fff 하계 스포츠 대회 2020}}}]] 2주차 챌린지에 참여하여 획득[br][[파일: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png|width=18px]] 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br][[파일:코인.svg|width=15]] 1000}}} || *브릭 스킨과 더불어 바스티온의 총소리가 바뀌는 유이한 스킨이다.[* 특급 스킨인데도 기본 무기 사운드가 바뀌는 스킨은 이게 유일하다.] 소리는 브릭과 동일하다. *장전되는 총알과 탄피는 너프건 모양으로 바뀌었다. *가니메데스는 [[갈매기]]로 바뀐다. ==== 묘비석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Tombstone.jpg|width=100%]]}}}|| || {{{#fff '''묘비석 (Tombstone)'''[br][[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파일: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png|width=18px]] {{{#fff 공포의 할로윈}}}]][br][[파일:코인.svg|width=15]] 75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Tombstone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Tombstone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할로윈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었다. * 바스티온의 몸체가 낡은 비석 같은 느낌으로 도색되고 옆구리의 숫자가 없어진다. 가슴에는 [[RIP]]가 쓰여있다. * 어깨에 앉은 가니메데스가 까마귀로 변경된다. * 실제 게임에서 색깔이 영 좋지 않을 뿐더러 낡아빠진 듯한 느낌이 나서 할로윈 스킨 중에 가장 인기가 적은 편이다. 블리즈컨 스킨이 더 할로윈 같다는 의견이 많다. ==== 선물 상자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_스킨_-_선물_상자.png|width=100%]]}}}|| || {{{#fff '''선물 상자 (Gift Wrap)'''[br][[오버워치 환상의 겨울나라|[[파일:오버워치 환상의 겨울나라.png|width=18px]] {{{#fff 환상의 겨울나라}}}]][br][[파일:코인.svg|width=15]] 750}}} || * [[오버워치 환상의 겨울나라 2018]] 이벤트 한정 스킨이다. 겨울나라 전리품 상자에서 뽑거나 이벤트 기간 중 250크레딧으로 구매할 수 있다. * 초록색으로 도색이 되고, 온몸에 군데군데 크리스마스 트리가 작게 그려져 있다. * 가슴 부분에는 리본이 생긴다. * 팔, 손, 총 등 철로 되있던 부분은 나무로 변했다. * 가니메데스의 외형이 자고새로 변경된다. ==== [[닭]]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dm6jf9380nk1h.cloudfront.net/0ce83d66-540b-49fe-84bb-ac048026de39.jpg|width=100%]]}}}|| || {{{#fff '''닭 (Rooster)'''[br][[오버워치 설날|[[파일:오버워치 설날.png|width=18px]] {{{#fff 설날}}}]][br][[파일:코인.svg|width=15]] 75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Rooster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Rooster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오버워치 붉은 닭의 해]] 이벤트로 추가된 한정 영웅 스킨. 설날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다. * 전체적으로 검정색과 붉은색을 띠며, 중국식 전통 무늬 코팅도 되어있다. 꼭 붉은 도자기를 보는 듯한 느낌이 특징. * 가니메데스의 외형이 붉은 수탉으로 변하며, 캐릭터 선택 화면 및 가니메데스가 등장하는 감정 표현, 하이라이트 연출에서 새 소리가 아닌 닭 울음소리가 난다. * 바스티온에 황금무기를 사는 유저는 거의 없지만 황금무기와의 색 배합이 상당히 예쁜 스킨이다. 본체에 있는 금색 부분과 빛나는 개틀링이 꽤 잘 어울린다. * 스킨명이 한 글자라서 '닭스티온'이라고 불린다. ==== [[널 섹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널 섹터 바스티온.jpg|width=100%]]}}}|| || {{{#fff '''널 섹터 (Null Sector)'''[br][[오버워치 기록 보관소|[[파일:오버워치 기록 보관소.png|width=18px]] {{{#fff 기록 보관소}}}]][br][[파일:코인.svg|width=15]] 75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Null Sector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Null Sector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널 섹터에 의해 개조되고 업그레이드된 바스티온 유닛은 왕의 길에서 있었던 옴닉의 반란 때 기용되었다. * [[오버워치 옴닉의 반란]] 이벤트에 추가된 한정 영웅 스킨. 지난 기록의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다. * 새롭게 공개된 옴닉 테러리스트 단체 "널 섹터" 소속 컨셉의 스킨으로, 옴닉의 반란 아케이드에서 이 도색을 한 바스티온들이 적군으로 등장한다. 모든 영웅 모드에서 바스티온 유저가 아군을 놀래키는 용도로 입고 오기도 한다. * 가슴에는 옴닉 문자가 새겨져 있다. 발광부분이 개틀링 부분에도 추가돼서 경계같은 모션을 할때 같이 색이 변한다. * 가니메데스의 외형이 울새로 변경된다. * 이 스킨이 나옴에 따라 바스티온은 출시 이후 추가된 영웅 스킨만 3개(블리즈컨 한정 스킨까지 하면 4개)가 되는 것에 비해, 감사제 이전까지 추가된 전설 스킨이 단 한개도 없어서 실망한 유저들이 많았다.[* 다만 위에서 언급하였듯 바스티온 본래의 각진 느낌을 선호하는 유저들은 오히려 영웅 스킨을 선호하기도 한다.] * 2019년 6월 20일자 패치 이후로 이 스킨을 착용하고 궁극기를 시전할 시, 기존의 궁극기 소리 대신 '''옴닉의 반란 난투에서 전차 상태로 스폰되면서 냈던 소리'''를 낸다. 이로써 이 스킨은 영웅 등급 중 최초로 대사가 바뀌는 스킨이 되었다.[* 두 번째는 트레이서의 만화 스킨.] [[오버워치 2]]에서는 전차모드가 아닌 포격모드로 변신하기 때문에 바뀐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었다. ==== 무한의 섬멸자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킨 무한의 섬멸자.jpg|width=100%]]}}}|| || {{{#fff '''무한의 섬멸자 (Infinite Annihilator)'''[br][[오버워치 2/배틀 패스|[[파일:오버워치 2 배틀 패스.png|width=18px]] {{{#fff 배틀 패스}}}]] 4시즌 10단계}}} || ==== 호박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호박 바스티온.jpg|width=100%]]}}}|| || {{{#fff '''호박 (Pumpkin)'''[br][[파일: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png|width=18px]] 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 || ==== [[/리그 스킨|리그 스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스티온/영웅 갤러리/리그 스킨)] === {{{#FFA500 전설}}} === 전설스킨 평이 호불호가 꽤나 갈리는 편이다. 오리진 에디션을 구매하면 얻을 수 있는 '자연의 친구' 스킨과 레고와의 콜라보로 출시된 '브릭' 스킨을 제외하면 대부분 외형이 바뀐다. ==== [[골동품]]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i1.2pcdn.com/20160504231636a0eedtowcgssidi7.jpg|width=100%]]}}}|| || {{{#fff '''골동품 (Antique)'''[br][[파일:코인.svg|width=15]] 100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Antique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Antique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목재 + 민트색으로 도색된 목재의 조합으로, 본연의 목재 질감을 잘 살린 앤티크 가구 느낌의 디자인이다. * 고급스러운 장식이 온몸에 그려지며 머리 파츠가 완전히 다른 디자인으로 교체된다. 둥근 눈 두 개가 붙어 있고 이빨 그림이 추가된 형태다. * 오른손의 수색 모드용 총기는 총구 모양과 디자인 상의 소소한 변화가 있으며, 장난감 총 같은 느낌을 풍긴다. * 가니메데스는 [[딱따구리]]로 변경된다. ==== 목재로봇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i1.2pcdn.com/20160504232345a0eedtw03zb4ghv4.jpg|width=100%]]}}}|| || {{{#fff '''목재로봇 (Woodbot)'''[br][[파일:코인.svg|width=15]] 100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Woodbot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Woodbot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하얀색으로 도색한 목재 + 일반 목재의 조합으로, 광택이 나는 목재를 주로 사용한 고급 가구 느낌의 디자인이다. * 고급스러운 장식이 온몸에 그려지며 머리 파츠가 완전히 다른 디자인으로 교체된다. 둥근 눈 두 개가 붙어 있고 이빨 그림이 추가된 형태다. * 오른손의 수색 모드용 총기는 총구 모양과 디자인 상의 소소한 변화가 있으며, 장난감 총 같은 느낌을 풍긴다. * 가니메데스는 [[딱따구리]]로 변경된다. ==== 증기로봇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Steambot.jpg|width=100%]]}}}|| || {{{#fff '''증기로봇 (Steambot)'''[br][[파일:코인.svg|width=15]] 100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teambot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teambot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태엽로봇의 팔레트 스왑 버전. 기본 스킨의 각진 모습에서 탈피한 유선형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는다. * [[스팀펑크]]의 기본적인 클리셰들을 잘 따르고 있는 황동빛 몸체가 인상적인 스킨이다. * 오른손의 수색 모드용 총기는 외형에 변화가 생기며, 총구가 나팔 모양으로 변해서 1인칭 시점에서도 잘 볼 수 있다. 마음에 안 들어하는 유저들도 있는 모양이다. * [[가니메데스]]는 흰 [[비둘기]]로 변경된다. ==== 태엽로봇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Gearbot.jpg|width=100%]]}}}|| || {{{#fff '''태엽로봇 (Gearbot)'''[br][[파일:코인.svg|width=15]] 100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Gearbot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Gearbot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스팀펑크]] 풍의 스킨으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의 태엽로봇스러운 디자인이 특징. * 증기로봇에 비해 상대적으로 녹슬고 낡아 보이는 느낌으로, '태엽'과 '증기기관'의 성능 차이를 생각해 보면 스킨 작명도 참 적절하다. 녹슬어서 그런 거겠지만, 민트초코의 배색을 연상하는 편. * 오른손의 수색 모드용 총기는 외형에 변화가 생기며, 총구가 나팔 모양으로 변해서 1인칭 시점에서도 잘 볼 수 있다. * 가니메데스는 [[단안경]]을 쓴 [[비둘기]]로 변경된다. ==== 자연의 친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Bastion_Skin_Overgrown.jpg|width=100%]]}}}|| || {{{#fff '''자연의 친구 (Overgrown)'''[br]{{{-2 오버워치: 오리진 에디션 혹은[br]GOTY 에디션 구입으로 획득[br]([[대한민국]]에서는 구입 없이도 PC방에서 사용 가능)}}}}}}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Overgrown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Overgrown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옴닉 사태 때 크게 손상되었던 이 바스티온은 수년 후, 아이헨발데 인근 검은 숲에서 갑작스레 재가동되었다. * 오리진 에디션 구매[[http://trees.gamemeca.com/mecareport.php?gid=1123991|#]]를 하게 되면 지급받는 스킨. PC방 프리미엄 혜택으로도 선택할수 있다. * 동체 곳곳이 이끼와 잔디로 덮혀있고 어깨에는 새가 둥지를 틀어 알을 키우고 있는 바스티온의 모습을 담은 스킨. * [[천공의 성 라퓨타]] 에 나오는 일꾼 로봇과 많이 비슷하다. * 기본 스킨과 형태 차이는 전혀 없다. 그러나 녹슬었고 잔디가 많이 자라 있어서 구분하기는 어렵지 않다. * 'Overgrown'이라는 영어 원문은 사전적으로 '식물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해 건물 등을 덮어버리거나, 이끼가 건물 등을 덮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스킨을 주는 구성 패키지의 이름이 오리진 에디션이고, 스킨이 지급되는 다른 모든 영웅들이 과거의 모습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작동이 정지되어 녹슬어가던 모습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있었는데 시네마틱 [[https://www.youtube.com/watch?v=kFqJhAk4Ul0|'마지막 바스티온']]에 이 스킨의 모습으로 등장하여 증명되었다. 현재의 바스티온 또한 엄연한 옴닉군 소속으로써 최전선에 있었다고 스토리에 언급된다. * 곳곳에 나있는 잔디 때문에 몇몇 풀숲 안에서 경계 모드를 하면 약간의 위장 효과도 볼 수 있다. 캐릭터 경계선이 표시되는 게임 특성 상 원거리에서 저격하는 적에게는 큰 의미가 없지만. * 시네마틱 상으로는 가니메데스의 둥지가 바스티온의 오른쪽 어깨에 있지만 작중에서 파괴되어서 그런지 이 스킨에서는 왼쪽 어깨에 있다. ==== [[브릭]]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kin_-_Brick.jpg|width=100%]]}}}|| || {{{#fff '''브릭 (Brick)'''[br]바스티온의 BRICK 챌린지 보상}}} || * 레고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출시된 스킨. 스킨의 이름인 브릭은 벽돌 장난감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선 레고라는 회사명 자체가 [[브릭]]의 고유명사가 되었지만, 외국에선 레고를 브릭이라고 한다. 다만 장난감 벽돌 같은 식으로 번역할 수도 있는데 다른 스킨들과 달리 음역으로 번역되어서 아쉽다는 말도 있다. 게다가 브릭보다는 블럭이라는 번역이 국내에서는 더욱 직관적으로 와닿는다. * 해당 전설 스킨은 2019년 9월 18일부터 10월 1일까지 진행된 '[[https://overwatch.blizzard.com/ko-kr/news/23149890|바스티온의 BRICK 챌린지]]'에서 획득 가능했다. * 타스킨과는 다르게 발걸음 움직임 소리, 총소리등등 효과음이 플라스틱 소리가 난다. 다만 효과음 자체가 특이하고 소리도 작은 편이라 밸런스를 위해 다른 사람에게는 일반 바스티온의 효과음으로 들린다. * 장전되는 총알은 실탄에서 너프건으로 바뀌고 사격 이펙트가 불꽃모양 레고블록으로 바뀐다. * 사용자 지정 게임을 제외한 9판을 이기면 주는 무료 스킨임에도 자신에게 들리는 사운드나 효과, 모델링이 섬세해서 상당히 퀄리티가 좋다. ==== [[해적선]]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파일명|width=100%]]}}}|| || {{{#fff '''해적선 (Pirate Ship)'''[br][[파일:OWLtoken.png|width=15]] 300}}} || * 2021년 오버워치 리그 기념 스킨이다([[https://youtu.be/R1GxSotFyfs|소개 영상 링크]]). ==== [[관(장례)|관]]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킨 관.jpg|width=100%]]}}}|| || {{{#fff '''관 (Coffin)'''[br][[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파일: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png|width=18px]] {{{#fff 공포의 할로윈}}}]][br][[파일:코인.svg|width=15]] 1500}}} || ==== [[눈사태]]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눈사태).jpg|width=100%]]}}}|| || {{{#fff '''눈사태 (Avalanche)'''[br][[오버워치 환상의 겨울나라|[[파일:오버워치 환상의 겨울나라.png|width=18px]] {{{#fff 환상의 겨울나라}}}]][br][[파일:코인.svg|width=15]] 1500}}} || * [[오버워치 환상의 겨울나라 2017]] 이벤트로 추가된 한정 전설 스킨. 겨울나라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다. * 머리부분이 눈 두개가 있는 파츠로 바뀌고, 전체적으로 최신형 옴닉 모습으로 바뀐다. 전차모드도 자동차같이 바뀌어서 그런지 [[트랜스포머]]같다는 평이 많다. * 가니메데스는 [[부엉이]]로 바뀐다. * 설정: 전차 모드는 제설차량의 모습이 된다. 아무래도 스킨의 모습과 몸에 적힌 데칼을 보면 재난구조 로봇이 컨셉인 듯하다.--재난구조 로봇이 사람 잡아요!-- ==== [[적룡|붉은 용]]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붉은용바스티온.jpg|width=100%]]}}}|| || {{{#fff '''붉은 용 (Dragonfire)'''[br][[오버워치 설날|[[파일:오버워치 설날.png|width=18px]] {{{#fff 설날}}}]]}}} || * [[오버워치 하얀 소의 해]] 이벤트로 출시된 한정 전설 스킨. 설날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다. ==== [[옴닉#s-3.3|귀신]]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kin_-_Gwishin.jpg|width=100%]]}}}|| || {{{#fff '''귀신 (Gwishin)'''[br][[오버워치 기록 보관소|[[파일:오버워치 기록 보관소.png|width=18px]] {{{#fff 기록 보관소}}}]][br][[파일:코인.svg|width=15]] 1500}}} || >거대 귀신 옴닉은 제주 남방 해역의 옴니움에서 나타났다. 귀신 옴닉의 지속적인 습격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육군 기동 기갑부대, 또는 [[MEKA]] 부대가 창설된다. * [[오버워치 폭풍의 서막]] 이벤트로 출시된 한정 전설 스킨. 지난 기록의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다. * 모티브는 슈팅 스타 시네마틱에서 등장했던 귀신 옴닉. * 가니메데스 역시 귀신 옴닉의 모습으로 변경된다. * 현재는 1000크래딧으로 구매 가능(2021년 4월 27일 까지) ==== [[버기카|사막 횡단차]]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사막횡단차).jpg|width=100%]]}}}|| || {{{#fff '''사막 횡단차 (Dune Buggy)'''[br][[오버워치 감사제|[[파일:오버워치 감사제.png|width=18px]] {{{#fff 감사제}}}]][br][[파일:코인.svg|width=15]] 1500}}} || || {{{#!wiki style="margin:-5px -10px;" {{{#!folding [ 다른 형태 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Dune Buggy_weapon 1.jp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Dune Buggy_weapon 2.jpg|width=100%]]}}}|| || 설정: 경계 || 설정: 전차 ||}}}}}}}}} || * [[오버워치 감사제]]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었다. * 바스티온의 동체가 오프로드 ATV를 연상시키는 타이어와 파이프 범퍼로 이루어져 있다. * 전차 모드는 무한궤도가 아닌 오프로드용 타이어로 주행하고 'DNBGG1' 번호판을 단 버기카가 된다. * 가니메데스는 [[로드러너]]로 변한다. * 헐 다운을 하는 유저인 경우 깃발 때문에 위치가 노출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 [[스텔스]]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stion_Skin_-_Stealth.png|width=100%]]}}}|| || {{{#fff '''스텔스 (Stealth)'''[br][[오버워치 감사제|[[파일:오버워치 감사제.png|width=18px]] {{{#fff 감사제}}}]][br][[파일:코인.svg|width=15]] 1500}}} || * [[오버워치 감사제 2018]] 이벤트로 추가된 한정 전설 스킨. 감사제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다. * 머리가 마름모 모양으로 바뀌는 등, 기본 디자인보다 각진 스타일이다. * 발광부는 전부 붉은색으로 바뀐다. * 가니메데스는 기계로 된 새로 변한다. *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디셉티콘]], 특히 [[쇼크웨이브(트랜스포머)|쇼크웨이브]]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듯하다. 몸색도 보라색이 아닌 검정색이고, 오른쪽에 달려있는 총, 그리고 쇼크웨이브의 비클모드는 바스티온의 궁극기와 비슷하게 탱크다. ==== [[진저브레드|생강]]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킨 생강.jpg|width=100%]]}}}|| || {{{#fff '''생강 (Ginger Cookies)'''[br][[파일: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png|width=18px]] 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br][[파일:코인.svg|width=15]] 1}}} || * 오버워치 2 크리스마스 연휴 행사로 코인 단 1개에 구매할 수 있었던 사실상의 무료 스킨이다. 이 스킨을 구매한 사람은 1코인 때문에 지저분하게 코인 뒷자리가 9로 남게 되었고, 단 1코인이 부족해 원하는 상품을 살 수 없는 상황을 '생강 바스의 저주'라 불린다. ==== 소방차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킨 소방차.jpg|width=100%]]}}}|| || {{{#fff '''소방차 (Fire Engine)'''[br][[파일: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png|width=18px]] 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br][[파일:코인.svg|width=15]] 1900}}} || == 감정 표현 == === 영웅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astion_emote_heroic.gif|width=100%]]}}}|| || '''영웅 (Heroic)'''[br]기본 감정 표현 || * 가니메데스가 손끝에 앉고 바스티온이 가니메데스를 쳐다보며 고개를 갸웃한다. === 경계! 경계!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astion_alertalert.gif|width=100%]]}}}|| || {{{#fff '''경계! 경계! (Alert! Alert!)'''[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머리를 반쯤 집어넣고 팔을 몸에 바짝 붙인 뒤 좌, 우, 후방을 경계한다. * 경계 중 신체의 발광체(눈 등)가 붉게 변한다.[* 초창기엔 붉게 변하진 않았다.] === [[로봇]]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astion_robot.gif|width=100%]]}}}|| || {{{#fff '''로봇 (Robot)'''[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로봇춤을 춘다. 마지막 오른팔을 툭 늘어뜨리는 것까지 완벽. * 원래는 상당히 흥겨운 소리가 났지만 어느샌가 소리가 빠졌다. === 삑삑캭캭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astion_chortle.gif|width=100%]]}}}|| || {{{#fff '''삑삑캭캭 (Chortle)'''[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배를 부여잡으면서 웃는다. === [[현기증]]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astion_dizzy.gif|width=100%]]}}}|| || {{{#fff '''현기증 (Dizzy)'''[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가니메데스가 바스티온의 주위를 돌고, 그걸 따라가려던 바스티온이 빙글빙글 돌다 어지러워하며 멈춘다. * 트레일러에서도 어지러워하며 멈추진 않았지만 구현되었다. === 휴식 모드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astion_restmode.gif|width=100%]]}}}|| || {{{#fff '''휴식 모드 (Rest Mode)'''[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바스티온이 뒤로 엉덩방아 찧으면서 풀썩 앉고 두리번거리면서 구경한다. 타 캐릭보다 늦게 추가된 앉기 모드이지만 바스티온의 특유의 귀여움이 더욱 강조된 감정 표현이다. * 아이헨발데에서 자연의 친구 스킨을 착용 후 이 감정 표현을 쓰면 상당한 위장 효과를 본다. === 복싱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astion_boxing.gif|width=100%]]}}}|| || {{{#fff '''복싱 (Boxing)'''[br][[오버워치 하계 스포츠 대회|[[파일:오버워치 하계 스포츠 대회.png|width=18px]] {{{#fff 하계 스포츠 대회}}}]][br][[파일:코인.svg|width=15]] 400}}} || * 2016년 8월 3일부터 22일까지 하계 스포츠 대회 전리품 상자에서 획득할 수 있었다. * 턱을 쳐서 턱이 올라가면 지는 [[http://community.digitalmediaacademy.org/wp-content/uploads/2011/10/rock-em-sock-em-robots-vintage-mattel-toys.jpeg|권투 로봇 장난감]] 패러디다. * 이걸 가지고 아이헨발데 화물이 성문을 부술 때 화물과 싸우기도 한다. === 좀비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좀비.gif|width=100%]]}}}|| || {{{#fff '''좀비 (Zombie)'''[br][[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파일: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png|width=18px]] {{{#fff 공포의 할로윈}}}]][br][[파일:코인.svg|width=15]] 400}}} || * [[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 2018]]에 출시된 감정 표현. 깨알같이 같이 좀비 흉내 내는 [[가니메데스(오버워치)|가니메데스]]가 이 감정표현의 포인트다. === 연 날리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감정표현 연 날리기.gif|width=100%]]}}}|| || {{{#fff '''연 날리기 (Kite Flying)'''[br][[오버워치 설날|[[파일:오버워치 설날.png|width=18px]] {{{#fff 설날}}}]][br][[파일:코인.svg|width=15]] 400}}} || === 모이 주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감정표현 모이 주기.gif|width=100%]]}}}|| || {{{#fff '''모이 주기 (Bird Feeder)'''[br][[오버워치 기록 보관소|[[파일:오버워치 기록 보관소.png|width=18px]] {{{#fff 기록 보관소}}}]][br][[파일:코인.svg|width=15]] 400}}} || === 로봇 부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감정표현 로봇 부기.gif|width=100%]]}}}|| || {{{#fff '''로봇 부기 (Robo Boogie)'''[br][[오버워치 감사제|[[파일:오버워치 감사제.png|width=18px]] {{{#fff 감사제}}}]][br][[파일:코인.svg|width=15]] 400}}} || * [[오버워치 감사제]] 한정 감정표현. 바스티온이 부기 춤을 춘다. 바스티온 특유의 귀여움 때문에 인기가 많다. === 숨바꼭질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감정표현 숨바꼭질.gif|width=100%]]}}}|| || {{{#fff '''숨바꼭질 (Hide And Beak)'''[br][[오버워치 2/배틀 패스|[[파일:오버워치 2 배틀 패스.png|width=18px]] {{{#fff 배틀 패스}}}]] 3시즌 39단계}}} || === 드라이브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감정표현 드라이브.gif|width=100%]]}}}|| || {{{#fff '''드라이브 (Tootle)'''[br][[파일: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png|width=18px]] 가끔 상점에서 획득 가능[br][[파일:코인.svg|width=15]] 500}}} || == 승리 포즈 == === 영웅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06-29 (5).png|width=200px]]}}} || || '''영웅(Heroic)'''[br]기본 승리 포즈 || === 경계 중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06-29 (6).png|width=200px]]}}} || || {{{#fff '''경계 중 (Pop Up)'''[br][[파일:코인.svg|width=15]] 75}}} || * 설정: 경계와 비슷하지만 머리가 나와있다. === 새 관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06-29 (7).png|width=200px]]}}} || || {{{#fff '''새 관찰 (Birdwatching)'''[br][[파일:코인.svg|width=15]] 75}}} || * 가니메데스를 손끝에 올리고 바라본다. === 전차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16-06-29 (8).png|width=200px]]}}} || || {{{#fff '''전차 (Tank)'''[br][[파일:코인.svg|width=15]] 75}}} || * 설정: 전차 모드로 변신했다. [[가니메데스(오버워치)|가니메데스]]가 포구에 앉아있다. ~~ [[끔살|쏘면...]]~~ 브릭 등 몇몇 스킨의 경우 가니메데스가 포구 안 대신 위에 앉아있는 경우가 있다. === 묘비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astion_rip.png|width=100%]]}}}|| || {{{#fff '''묘비 (R.I.P.)'''[br][[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파일:오버워치 공포의 할로윈.png|width=18px]] {{{#fff 공포의 할로윈}}}]]}}} || >옴닉 사태 때 수많은 인간을 학살한 바스티온 유닛은 아직도 인류에게 공포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 공포의 할로윈 이벤트 기간에 75 크레딧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 바스티온의 머리가 잘려 있고, 주기적으로 머리의 램프가 깜빡인다. 유일하게 부가 설명이 붙어있는 승리 포즈이다. === 건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승리포즈 건배.jpg|width=100%]]}}}|| || {{{#fff '''건배 (Toast)'''[br][[오버워치 환상의 겨울나라|[[파일:오버워치 환상의 겨울나라.png|width=18px]] {{{#fff 환상의 겨울나라}}}]]}}} || === 폭죽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astion_-_Firework_-_Victory_pose.jpg|width=100%]]}}}|| || {{{#fff '''폭죽 (Firework)'''[br][[오버워치 설날|[[파일:오버워치 설날.png|width=18px]] {{{#fff 설날}}}]][br][[파일:코인.svg|width=15]] 200}}} || * [[오버워치 붉은 닭의 해]] 한정 승리 포즈. 2017년 1월 25일부터 2017년 2월 14일까지 설날 전리품 상자나 225 크레딧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 철푸덕 앉아 쉬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승리포즈 철푸덕 앉아 쉬기.jpg|width=100%]]}}}|| || {{{#fff '''철푸덕 앉아 쉬기 (Take a Break)'''[br][[오버워치 2/배틀 패스|[[파일:오버워치 2 배틀 패스.png|width=18px]] {{{#fff 배틀 패스}}}]] 6시즌 5단계}}} || == 캐릭터 대사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두왑'''}}}{{{#!wiki style="display:inline-table;background:#43484C;color:#eee;padding:1px 6px;border-radius:4px;margin-right:4px;" {{{-2 '''기본 제공'''}}}}}}: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즐거운 쀼삡) ''(fun beep)''}}}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따따 쀼!'''}}}[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트럼펫 부는 듯한 쀼삡) ''(trumpet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뚜뚜 따따'''}}}[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바보 같은 쀼삡) ''(silly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룰룰루 룰루'''}}}[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도발하는 쀼삡) ''(taunt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뿌잉 뿌잉 뿌잉!'''}}}[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경고음 쀼삡) ''(alarmed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쀼쀼 쀼쀼쀼'''}}}[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쀼삡)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삐유우우웃'''}}}[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긴 쀼삡) ''(long beep)''}}}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삑삑삑삑'''}}}[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귀여운 쀼삡) ''(cute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우후우후'''}}}[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기쁨에 찬 쀼삡) ''(cheerful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위잉?'''}}}[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호기심 많은 쀼삡) ''(curious beep)''}}}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캬캬캬 위잉'''}}}[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조용한 쀼삡) ''(hush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캭캭캭캭'''}}}[include(틀:오버워치 코인, 가격=25)]: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캭캭캭캭 쀼삡) ''(churr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뚜두두 뜌!'''}}}[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하계 스포츠 대회)]: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팡파르 쀼삡) ''(fanfare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쀼잉 쀼 쀼쀼쀼쀼'''}}}[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하계 스포츠 대회)]: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신난 쀼삡) ''(excited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오오오오오우우우우'''}}}[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공포의 할로윈)]: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긴장한 쀼삡) ''(trill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우우우?'''}}}[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공포의 할로윈)]: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겁먹은 쀼삡) ''(scared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뚜잇 듀 듀 듀'''}}}[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환상의 겨울나라, 가격=50)]: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아름답게 장식하세]]" 쀼삡) ''(beeps "Deck the Hall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쀼 쀼 쀼'''}}}[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환상의 겨울나라, 가격=50)]: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Jingle Bells|징글벨]]" 쀼삡) ''(beeps "Jingle Bell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뚜띠 뚜띠 뜌!'''}}}[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설날, 가격=50)]: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축하하는 쀼삡) ''(celebrat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뚜입 두두두 뚜입 두두'''}}}[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설날)]: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혼자 흥얼거림) ''(idle hummin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삐윳 윙윙윙'''}}}[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기록 보관소, 가격=50)]: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긴장한 쀼삡) ''(trill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위위웡'''}}}[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기록 보관소, 가격=50)]: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재잘재잘 쀼삡) ''(tweet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즈윙 즈윙 즈윙'''}}}[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기록 보관소, 가격=50)]: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강렬한 고음의 쀼삡) ''(intense, high-pitched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빠 바바밤'''}}}[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감사제, 가격=50)]: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오버워치 테마 쀼삡) ''(beeps the Overwatch theme)''[* 오버워치의 메인 테마를 바스티온이 부른 것으로 대사 자체는 같지만 음높이가 다른 세 가지 버전이 랜덤으로 재생된다.]}}}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쀼삐 쀼삐'''}}}[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감사제)]: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열렬한 쀼삡) ''(enthusiastic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쮸 쮸 위 늄'''}}}[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감사제, 가격=50)]: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외치는 듯한 쀼삡) ''(chanting beeps)''}}}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argin-right:10px;" '''위이이이이-쁍'''}}}[include(틀:오버워치 배틀 패스 아이콘, 시즌=6, 단계=9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삡 뿝) ''(level failed beeps)''}}} == 아이콘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4> '''도전 과제 보상 아이콘'''[br]{{{-1 각각 해당 캐릭터로 4 · 6 · 10 · 20레벨 달성 보상}}}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바스티온.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전차 횡단 중.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바스티온 실루엣.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가니메데스.png|width=100%]]}}}|| || {{{-1 바스티온[br](Bastion)}}} || {{{-1 전차 횡단 중[br](Tank Crossing)}}} || {{{-1 바스티온 실루엣[br](Bastion Silhouette)}}} || {{{-1 가니메데스[br](Ganymede)}}} ||}}}{{{#!wiki style="word-break:keep-all;" ||
<-4> '''배틀 패스 · 상점 · 이벤트 아이콘'''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복싱.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관.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눈사태.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용의 머리.png|width=100%]]}}}|| || {{{-1 복싱[br](Boxing)}}}[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하계 스포츠 대회)] || {{{-1 관[br](Coffin)}}}[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공포의 할로윈)] || {{{-1 눈사태[br](Avalanche)}}}[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환상의 겨울나라)] || {{{-1 용의 머리[br](Dragon{{{#!html ​}}}head)}}}[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설날)]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귀신.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스텔스.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황금 바스티온.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브릭스티온.png|width=100%]]}}}|| || {{{-1 귀신[br](Gwishin)}}}[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기록 보관소)] || {{{-1 스텔스[br](Stealth)}}}[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감사제)] || {{{-1 황금 바스티온[br](Goldbot)}}}[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감사제)] || {{{-1 브릭스티온[br](Brickstion)}}}[br]{{{-3 바스티온의 BRICK 챌린지}}}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브릭 가니메데스.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아이콘 무한의 섬멸자.png|width=100%]]}}}|| || {{{-1 브릭 가니메데스[br](Brick Ganymede)}}}[br]{{{-3 바스티온의 BRICK 챌린지}}} || {{{-1 무한의 섬멸자[br](Infinite Annihilator)}}}[br][include(틀:오버워치 배틀 패스 아이콘, 시즌=4, 단계=48)] ||}}} == 스프레이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4><:>{{{#FFFFFF '''기본 스프레이'''}}}||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e54.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가니메데스.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거대 로봇.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검정.png|width=100%]]}}}|| || {{{-1 E54}}} || {{{-1 [[가니메데스]][br](Ganymede)}}} || {{{-1 거대 로봇[br](Giant)}}} || {{{-1 검정[br](Black)}}}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꽃의 힘.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나무와 돌.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대포.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둥지.png|width=100%]]}}}|| || {{{-1 꽃의 힘[br](Flower Power)}}} || {{{-1 나무와 돌[br](Wood and Stone)}}} || {{{-1 대포[br](Cannon)}}} || {{{-1 둥지[br](Nest)[* 블리즈컨에서 판매한 가니메데스 인형 패키지 디자인이 실제로 저 스프레이와 비슷하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발포.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벽돌체.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비행.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새.png|width=100%]]}}}|| || {{{-1 발포[br](Fire At Will)}}} || {{{-1 벽돌체[br](Blocks)}}} || {{{-1 비행[br](Flight)}}} || {{{-1 새[br](Bird)}}}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새싹.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수리.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수리 중.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아이콘.png|width=100%]]}}}|| || {{{-1 새싹[br](Sprout)}}} || {{{-1 수리[br](Recovery)}}} || {{{-1 수리 중[br](In Repair)}}} || {{{-1 아이콘[br](Icon)}}}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액션.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옛날 게임.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옴닉.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옴닉 사태.png|width=100%]]}}}|| || {{{-1 액션[br](Action)}}} || {{{-1 옛날 게임[br](Retro)}}} || {{{-1 [[옴닉]][br](Omnic)}}} || {{{-1 [[옴닉 사태]][br](Crisis)}}}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자연의 친구.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조류 관찰자.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호기심.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묘비석.png|width=100%]]}}}|| || {{{-1 자연의 친구[br](Overgrown)}}} || {{{-1 조류 관찰자[br](Birdwatchers)}}} || {{{-1 호기심[br](Curious)}}} || {{{-1 묘비석[br](Tombstone)}}} ||}}}{{{#!wiki style="word-break:keep-all;" ||
<-2><:>{{{#43484C '''업적 보상'''}}}||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귀요미.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픽셀.png|width=100%]]}}}|| || {{{-1 귀요미 (Cute)[br][[파일:오버워치 업적.png|width=16px]] [[월드 오브 탱크|월드 오브 전차]]}}} || {{{-1 픽셀 (Pixel)[br][[파일:오버워치 업적.png|width=16px]] 3단 변신}}} ||}}}{{{#!wiki style="word-break:keep-all;" ||
<-4><:>{{{#43484C '''한정 스프레이'''[br]{{{-1 이벤트 전리품 상자에서 뽑거나 이벤트 기간 중 75크레딧으로 구매 가능}}}}}}||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복싱.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모래성.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즐거운 할로윈.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관.png|width=100%]]}}}|| || {{{-1 복싱[br](Boxing)}}}[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하계 스포츠 대회)] || {{{-1 모래성[br](Sand Castle)}}}[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하계 스포츠 대회)] || {{{-1 즐거운 할로윈[br](Trick or Treat)}}}[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공포의 할로윈)] |||| {{{-1 관[br](Coffin)}}}[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공포의 할로윈)]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즐거운 크리스마스.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장식품.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바스티얌.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천둥.png|width=100%]]}}}|| || {{{-1 즐거운 크리스마스[br](Festive)}}}[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환상의 겨울나라)] || {{{-1 장식품[br](Ornament)}}}[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환상의 겨울나라)] || {{{-1 바스티얌[br](Bast-yum)}}}[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설날)] || {{{-1 천둥[br](Thunder)}}}[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설날)]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용춤.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침수.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클럽 10.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섬멸자 군대.png|width=100%]]}}}|| || {{{-1 용춤[br](Dragon Dance)}}}[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설날)] || {{{-1 침수[br](Sunken)}}}[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기록 보관소)] || {{{-1 클럽 10[br](Ten of Clubs)}}}[br][include(틀:오버워치 이벤트 아이콘, 이벤트명=감사제)] || {{{-1 섬멸자 군대[br](Annihilator Army)}}}[br][include(틀:오버워치 배틀 패스 아이콘, 시즌=4, 단계=73)]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스프레이 불새.png|width=100%]]}}}|| || {{{-1 불새[br](Firebird)}}}[br][include(틀:오버워치 상점 아이콘)] ||}}} == 하이라이트 연출 == === 영웅 === ==== 오버워치 1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astion_highlight_heroic.gif|width=100%]]}}}|| || '''영웅 (Heroic)'''[br]기본 하이라이트 연출 || ==== 오버워치 2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하이라이트 영웅.gif|width=100%]]}}}|| || '''영웅 (Heroic)'''[br]기본 하이라이트 연출 || === [[가니메데스(오버워치)|가니메데스]]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하이라이트 가니메데스.gif|width=100%]]}}}|| || {{{#fff '''가니메데스 (Ganymede)'''[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가니메데스]]가 바스티온의 주위를 도는 것을 1인칭으로 본다. 바스티온의 시점에서 본 것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정보가 뜨는 것도 특징. 이때 [[가니메데스]]를 향해 반듯했던 총구에 하트가 생기고 총모양의 아이콘이 깨지는데, 폭력만을 위해 생산된 살상병기가 가니메데스와 자연을 좋아하는 평화의 수호자로 성장한 모습을 보여줘 감동을 준다. * 2017년 1월 25일 설날 패치 이후 가니메데스의 종이 바뀌는 스킨[* 방어 매트릭스(큰어치), 옴닉 사태(홍관조), 묘비석(까마귀), 닭(수탉), 목재로봇(딱따구리), 골동품(붉은 딱따구리), 증기로봇(흰비둘기), 태엽로봇(양비둘기), 블리즈컨 2016([[피프]])], 브릭(새 모양 레고)을 착용하고 영웅/가니메데스 하이라이트를 장착하면 가니메데스의 종에 따라 울음소리가 달라진다. === 방어 태세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하이라이트 방어 태세.gif|width=100%]]}}}|| || {{{#fff '''방어 태세 (On Guard)'''[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설정: 경계로 변신하는 모습을 다이내믹하게 보여준다. 설정: 경계가 삭제된 오버워치 2에서는 이후 스킨들의 설정 경계 모습을 유일하게 볼 수 있는 하이라이트다. * 이 하이라이트를 느리게 보면 바스티온의 머리가 엄청나게 홀쭉해진다. === 재설정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하이라이트 재설정.gif|width=100%]]}}}|| || {{{#fff '''재설정 (Reconfigure)'''[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전차 모드로 질주해 공중에 점프한 다음 수색 모드로 변신해 간지나게 착지하고 기관단총을 겨눈다. 재설정하는 모습을 보면 주포를 기관포대에, 궤도를 다리에 넣는데, 수색 • 경계 모드 ↔️ 전차 모드로의 전환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환 중에 공중제비를 돌게 해서 어색한 부분을 감췄다. * 마찬가지로 설정: 전차가 없어진 오버워치 2에선 유일하게 전차 모드를 볼 수 있는 하이라이트다. === 탄피 세례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하이라이트 탄피 세례.gif|width=100%]]}}}|| || {{{#fff '''탄피 세례 (Bullet Rain)'''[br][[파일:코인.svg|width=15]] 250}}} || * 설정: 경계 상태에서 탄피를 쏟아내며 발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포격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스티온 하이라이트 포격.gif|width=100%]]}}}|| || {{{#fff '''포격 (Artillery)'''[br][[오버워치 2/배틀 패스|[[파일:오버워치 2 배틀 패스.png|width=18px]] {{{#fff 배틀 패스}}}]] 4시즌 67단계}}} || == 무기 == === 황금 === [[분류:오버워치/영웅 갤러리]][[분류:바스티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