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
<#595959><-5><:> {{{+1 {{{#FFFFFF ''' [[노벨상|{{{#FFFFFF 노벨}}}]][[노벨경제학상|{{{#FFFFFF 경제학상}}}]] [[노벨경제학상/수상자|{{{#FFFFFF 수상자}}}]] [br] ''' }}} }}} || ||<#FFFFFF><-5><:>[[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00]] || ||<#595959><:> [[1972년|{{{#FFFFFF 1972년}}}]] ||<#595959><:> ||<#595959><:> [[1973년|{{{#FFFFFF 1973년}}}]] ||<#595959><:> ||<#595959><:> [[1974년|{{{#FFFFFF 1974년}}}]] || ||<:> 존 힉스 [br] [[케네스 애로우]] ||<:> → ||<:> '''바실리 레온티예프''' ||<:> → ||<:> 군나르 뮈르달 [br]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파일:th.jpeg.jpg]] [목차] == 개요 == Wassily Leontief. 1905년 8월 5일 ~ 1999년 2월 5일 [[미국]]의 [[경제학자]]. == 생애 == 1905년 당시 독일 제국의 영토였던 뮌헨에서 태어났다. 이후 그는 [[베를린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 1932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의 초청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갔으며 1946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의 교수가 되었다. 1973년에 '산업연관분석의 개발 및 주요 경제 문제에 대한 그 응용'에 대한 업적을 인정받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후학 양성에도 힘을 써서, 레온티예프의 아래에서 수학한 [[폴 새뮤얼슨]], [[로버트 솔로우]] 등은 유명한 경제학자로 성장하였는데, 이들도 후일 모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경제학을 배우는 학생들에게는 완전보완재 관계인 두 재화에 대한 효용함수와, 노동/자본을 특정 비율로만 결합하여 재화를 생산하는 특수한 형태의 생산함수를 가리키는 레온티예프 효용함수/생산함수로 친숙하다. 반면 정작 그의 최대 업적인 산업연관분석은 꽤나 마이너한 각론 분야인 편. [각주] [[분류:독일의 경제학자]][[분류:미국의 경제학자]][[분류:노벨경제학상 수상자]][[분류:1905년 출생]][[분류:1999년 사망]][[분류:뮌헨 출신 인물]][[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러시아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우크라이나계 미국인]][[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출신]][[분류: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