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바이클론 이클립스}}}[br]Biklone Eclips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바이클론 이클립스 임시.webp|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F99728 리오!}}} / {{{#red 토러스!}}}''' >'''{{{#F99728 바이클론}}} {{{#red 이클립스!}}}''' [[바이클론즈]]의 등장 메카. 3기에 첫 등장한 [[바이클론]]. [[리오 클론]]이 상반신, [[토러스 클론]]이 하반신으로 구성된 메카. 방어력을 포기한 대신 빠른 스피드와 강력한 파워로 이를 커버한다. 다른 합체클론들이 방어형이나 방어 대타형 기술들을 가지고 있었다면 이 클론은 오로지 자신의 육체만으로 밀고가는 셈. 4기에서 전복의 계략[* 스스로 전투 상황을 일으킨 듯 하다.]에 의해 다른 바이클로넛에게 대여된 클론이 1, 2호기인 토러스와 리오인데 이 둘은 알다시피 '''이클립스의 합체 구성 클론'''이다. 나머지 클론들은 대여돼서 못 쓰는게 아닌 나즈칸 불가사리 때문에 교체했다는 점을 보면 이클립스가 얼마나 전투에 뛰어난 클론인지 체감할 수 있다. == 사용기술 == * '''이클립스 썬더 스트라이크''' 토러스의 썬더 혼 강화판, 토러스의 썬더 혼이 자신의 뿔에서 에너지를 발생시켜 응축해 발사한다면 이 기술은 '''번개 그 자체를 끌어모아''' 그대로 사용한다. 칩 인식 클론은 당연히 토러스. * '''이클립스 라이트 스피드''' 리오 플래쉬 강화판. 이클립스를 제외한 모든 물체가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클락 업(가면라이더 카부토)|이클립스 자체가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다.]][* 그래서 스킬 이름이 라이트 스피드(Light Speed)인 듯하다.] 지속시간은 따로 설정이 가능한것으로 보인다.[* --아니 그러면 지속시간 겁나 길게 하면 되잖아--물론 오래 쓰면 쓸수록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질 것이다. 그런 설정이 아니라면 매우 사기적인 기술이 되어버린다.--우르사의 에너자이저 기술을 쓰면 되지--][* 처음 사용할때는 3초 동안 지속됐고 두번째는 0초 03 동안 지속되었다.] 이 기술 하나만을 위해서 모든 방어를 포기한 것처럼 보일 정도로 빠른 움직임을 자랑한다. 칩 인식 클론은 리오. 지오는 라이트 스피드가 발동중인 상황에서 환장을 [[도발]]하는 패기(!)를 보였다.[* 정확히는 라이트 스피드 발동 도중에 콕핏 밖으로 나와, 역으로 잡혀 날아가는 불가사리와 불가사리에 탑승한 환장에게 총을 쏘는 퍼포먼스를 선보인 것. [[이순희(바이클론즈)|이순희]]를 쏘려던 것에 대한 복수로 보인다.] * '''아마란스 킥''' 불가사리의 습격 오리지널 기술. 그리드칩 5개를 인식하여 발동한며 강력한 2단 발차기를 날리는 공격이다. 빠른 전투가 특기인 이클립스에 맞는 기술이지만 [[피오나(마비노기 영웅전)/스킬#아마란스 킥|이름이...]] == 기타 == * 이름의 유래는 [[이클립스|일식, 월식 등의 식(蝕, Eclipse)]].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바이클론, version=849)] [[분류:합체 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