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qkxmrjs.jpg]] || 본명 || 마이크 폴크로펙 (Mike Polchlopek) || || 생년월일 || [[1965년]] [[12월 27일]] || || 신장 || 191cm || || 체중 || 117kg || || 출신지 || 미국 플로리다주, 티터스빌 || || 별명 || 더 해머 || || [[피니쉬 무브]] || 바톤 버스터 || || 커리어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F/E 태그팀 챔피언]] 5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과거 WWE에서 활동했던 프로레슬러 == 커리어 == === [[스모킹 건즈]] === 마이크 폴크로펙은 바트 건 이란 닉네임으로 1993년 [[빌리 건]]과 함께 스모킹 건즈란 팀을 만들면서 WWF에 데뷔하였다. 바트 건과 [[빌리 건]]은 각본상 형제로 활동하면서 태그팀을 결성하여 활약하게 된다. 스모킹 건즈는 텍사스 카우보이의 기믹을 썼다. 그들은 처음엔 메이져급의 선수가 아니었지만, 점차 왕성한 활동을 펼치면서 태그팀 타이틀을 노려볼 수 있는 슈퍼스타로 거듭나게 된다. 스모킹 건즈는 [[WWF 레슬매니아 10]]에서 10人 태그팀 경기에 출전하게 된다. 스모킹 건즈는 [[타탕카(프로레슬러)|타탕카]], [[마티 자네티]], [[엑스팍|1-2-3 키드]]와 한 팀이 되어 헤드슈링커스, [[제프 제럿]], [[어윈 R. 샤이스터|IRS]], [[릭 마텔]]의 팀과 경기를 가질 예정이었는데, 그 날 벌어진 다른 경기들의 소요 시간이 예상외로 길어지는 바람에 10人 태그 매치는 경기 자체가 무산되었다. 이후 [[WWF 서바이버 시리즈(1994)]]에서 다시 10人 태그팀 일리미네이션 매치를 치르게 된다. 스모킹 건즈는 [[렉스 루거]], [[메이블|빅 대디 V]], 애덤 밤 등과 한 팀이 되어 [[타탕카]], 헤븐리 바디즈, [[킹 콩 번디]], [[뱀뱀 비겔로우]]의 팀과 경기를 가지게 된다. 그 경기에서 스모킹 건즈는 도중에 제거되었지만, [[렉스 루거]]가 끝까지 생존함으로써 그 경기의 승리자가 되었다. 그 뒤 스모킹 건즈는 태그팀 타이틀이 걸린 태그팀 토너먼트에 출전할 예정이었지만, 부상 등으로 인해 출전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1995년 1월 23일 먼데이 나잇 RAW에서 스모킹 건즈는 토너먼트에서 밀리언 달러 코퍼레이션의 [[뱀뱀 비겔로우]]와 [[타탕카]]의 팀을 물리치고 태그팀 챔피언이 된 [[엑스팍|1-2-3 키드]]와 [[하드코어 할리|밥 '스파키 플러그' 할리]]의 팀을 물리치고 처음으로 태그팀 타이틀을 획득한다. 그들의 목적은 그렇게 달성되었지만, 그것으로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여러 팀을 맞아 꿋꿋하게 타이틀을 방어해 나갔다. 스모킹 건즈는 액션존에서 멘 온 어 미션과 방어전을 치러 그들을 물리치고 타이틀을 지켜냈다. 경기가 끝난 후, 멘 온 어 미션은 자신들이 패배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스모킹 건즈를 두들겨팬다. 그 다음 주 액션존에서 멘 온 어 미션의 매니저가 나와 스모킹 건즈에게 자기 선수들의 무례함에 대한 사과를 하지만, 멘 온 어 미션은 매니저까지 두들겨패가며 스모킹 건즈를 꺾어보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했다. 스모킹 건즈와 대립 관계를 맺기 전까지 멘 온 어 미션은 페이스 (Face - 선역)였지만, 매니저를 공격하면서부터는 악역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멘 온 어 미션은 스모킹 건즈를 꺾지 못한다. 스모킹 건즈는 [[WWF 레슬매니아 11]]에서 [[오웬 하트]]와 미스테리 파트너의 팀을 상대로 방어전을 치르게 된다. [[오웬 하트]]의 미스테리 파트너로 나온 선수는 다름아닌 [[요코주나]]였다. 그 경기에서 스모킹 건즈는 [[오웬 하트]]와 [[요코주나]]의 팀에 패배하여 오랫동안 지켜오던 타이틀을 내주고 말았다. 사람들은 스모킹 건즈가 해체의 과정을 겪은 다음, 각각 싱글로 활약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 뒤에도 스모킹 건즈는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들은 처음 신설된 PPV [[WWF 인 유어 하우스 1: 프리미어]]에서 [[오웬 하트]]와 [[요코주나]]를 상대로 복수전을 치르게 된다. 스모킹 건즈는 투지를 불사르며 맹렬하게 싸웠지만, 바트 건이 [[요코주나]]에게 깔아뭉개지면서 타이틀 탈환의 꿈을 접어야만 했다. 이후, 스모킹 건즈는 [[WWF 킹 오브 더 링(1995)]]에서 경기를 치르는 대신, [[케빈 내쉬|디젤]]과 [[사이코 시드|시드]]의 럼버잭 매치에 참가하게 된다. [* 이 경기에서 [[케빈 내쉬|디젤]]은 [[사이코 시드|시드]]를 꺾고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스모킹 건즈는 [[WWF 섬머슬램(1995)]]에서 자콥과 엘리의 블루 브러더즈와 경기를 갖게 된다. 그 경기에서 자콥과 엘리는 심판의 눈을 피해 비슷한 외모를 이용하여 태그 없이 난입하여 비겁하게 경기를 치뤘다. 하지만 스모킹 건즈는 그들의 피니쉬인 사이드와인더로 블루 브러더즈를 꺾고 승리를 거두게 된다. 그 후, RAW에서 오웬과 [[요코주나]]에게서 타이틀을 되찾아 두 번째로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 스모킹 건즈는 10월의 [[WWF 인 유어 하우스 4: 더 그레이트 화이트 노스]]에서 [[엑스팍|1-2-3 키드]]와 [[스캇 홀|레이저 라몬]]의 팀을 상대로 타이틀 방어전을 갖게 된다. 이 경기에서 스모킹 건즈는 라몬과 키드의 팀을 물리쳤는데, 경기가 끝난 이후 [[엑스팍|1-2-3 키드]]는 자신들의 팀이 패배했다는 사실에 몹시 흥분한다. 그러자 [[스캇 홀|레이저 라몬]]은 [[엑스팍|1-2-3 키드]]를 진정시키고 사나이답게 패배를 시인한 다음, 스모킹 건즈에게 타이틀을 돌려주었다. 이후 스모킹 건즈는 [[WWF 로얄럼블(1996)]]에 전년도와는 다르게 챔피언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그들은 로얄 럼블에서 [[크리스 캔디도|스킵]]과 짚의 바디 도나스와 경기를 갖게 되었다. 바디 도나스의 매니져는 저 유명한 [[써니(프로레슬러)|써니]]였다. [[써니(프로레슬러)|써니]]는 경기 도중 우연히 빌리 건에게 얻어맞고 쓰러졌었는데, 영리한 그녀는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팀에게 승기를 제공하려고 했지만 일은 그녀의 뜻대로 돌아가지 않았다. 결국 스모킹 건즈는 바디 도나스를 물리치고 무사히 타이틀을 지켜낼 수 있었다. 로얄 럼블이 끝난 후 얼마 되지 않아 [[빌리 건]]은 갑작스런 목부상으로 얼마간 경기에 나설 수 없게 된다. 이에 WWF는 스모킹 건즈의 타이틀을 몰수한 후, 새로운 태그팀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를 개최한다. 그 토너먼트의 결승전은 [[WWF 레슬매니아 12]]에서 열렸는데, 바디 도나스와 [[갓윈즈]]가 결승에 오르게 되어 경기를 벌였다. 그 경기에서 바디 도나스는 [[갓윈즈]]를 물리치고 새로운 태그팀 챔피언에 오르는 영예를 누린다. 부상으로 활동을 중단했던 스모킹 건즈가 돌아온 것은 5월의 [[WWF 인 유어 하우스 8: 비웨어 오브 독]]을 통해서였다. 그들은 당시 챔피언이던 [[갓윈즈]]를 상대로 타이틀 매치를 치르게 되었다. 인 유어 하우스를 앞두고 벌어진 프리 포 올에서 [[써니(프로레슬러)|써니]]는 갓윈스에게 부탁하여 스모킹 건즈와의 경기에 자신이 갓윈스의 코너에 설 수 있도록 간청한다. [[써니(프로레슬러)|써니]]가 갓윈스의 코너에서 그들을 지켜보는 가운데 펼쳐진 경기에서 놀랍게도 [[써니(프로레슬러)|써니]]는 갓윈스를 배신하고 스모킹 건즈를 도와 그들이 새로운 태그팀 챔피언에 오르도록 도와준다. [[써니(프로레슬러)|써니]]의 도움을 받은 스모킹 건즈는 3-Times 태그팀 챔피언이 되는 영광을 누린다. [[써니(프로레슬러)|써니]]는 인 유어 하우스 다음 날 벌어진 로에서 자신이 [[갓윈즈]]의 코너에 서겠다고 한 일부터가 건즈의 매니저가 되기 위해 사전에 준비된 계략이었다고 밝혔다. 그 일로 더욱 감정이 악화된 스모킹 건즈와 갓윈스는 [[WWF 킹 오브 더 링(1996)]]에서 리매치를 치른다. 그 경기에서 바트 건은 부츠로 피네스 갓윈을 가격하고, 빌리 건은 잽싸게 쓰러진 피네스 갓윈에게 핀을 성공시켜 스모킹 건즈는 무사히 타이틀을 방어해낼 수 있었다. 이 때 [[써니(프로레슬러)|써니]]가 스모킹 건즈의 코너를 지켰음은 주지의 사실이었다. 그 경기에서 스모킹 건즈는 처음으로 정당한 방법이 아닌 방법으로 타이틀을 방어해냈다. 스모킹 건즈는 7월의 [[WWF 인 유어 하우스 9: 인터내셔널 인시던트]]에서 바디 도나스를 상대로 경기를 갖게 된다. 그 경기는 넌타이틀 매치로 치러졌는데 스모킹 건즈는 바디 도나스에서 패하고 말았다. 인 유어 하우스에서의 패배로 체면을 구긴 스모킹 건즈는 [[WWF 섬머슬램(1996)]]에서 세 팀의 도전자를 상대로 포 팀 일리미네이션 매치를 치르게 된다. 챔피언 스모킹 건즈에 도전하게 된 세 팀은 갓윈스, 바디 도나스, 그리고 뉴 락커스 등이었다. 그 경기에서 스모킹 건즈는 승리를 따내고 타이틀을 지켜내긴 했지만, [[써니(프로레슬러)|써니]]를 둘러싸고 바트 건과 [[빌리 건]] 사이에 미세하게나마 균열이 생기게 된다.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한 팀이었고, 챔피언이었다. 섬머 슬램 이후, [[오웬 하트]]와 [[브리티쉬 불독]]이 본격적으로 한 팀으로 활약하게 되면서 스모킹 건즈는 타이틀 획득 이후, 최대의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스모킹 건즈는 [[WWF 인 유어 하우스 10: 마인드 게임즈]]에서 오웬과 불독의 팀을 상대하게 된다. 그 경기에서 오웬과 불독은 스모킹 건즈를 물리치고 새로운 태그팀 챔피언에 오르게 된다. 그 경기에서 스모킹 건즈는 타이틀도 잃었지만, 매니저인 [[써니(프로레슬러)|써니]]까지도 잃게 된다. [[써니(프로레슬러)|써니]]는 스모킹 건즈를 곤경에 쳐넣음으로써 더이상 그들의 매니저로 나서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써니(프로레슬러)|써니]]가 떠나갔지만 여전히 스모킹 건즈는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그들은 예전처럼 조화된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다. [[WWF 인 유어 하우스 11: 베리드 얼라이브]]에서 스모킹 건즈는 다시금 오웬과 불독을 상대로 타이틀 탈환을 노려보지만 실패하고 만다. 그 경기에서 스모킹 건즈는 결정적인 승기를 잡긴 했지만. 빌리 건이 [[써니(프로레슬러)|써니]]를 설득시켜 매니저로 돌아오게 만드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바람에 결국 오웬의 강력한 스피닝 힐 킥이 빌리 건에게 작렬하여 패배하고 만다. === 스모킹 건즈 이후 === 이후, 스모킹 건즈는 해체되고 바트 건과 [[빌리 건]]은 각자의 길을 걷게 된다. [[빌리 건]]과는 달리 바트 건은 싱글로 활약하게 된 이후 이렇다할 활약을 보이지 못하면서 TV에 등장하는 일도 뜸해지게 된다. [[WWF 로얄럼블(1997)]]에 6번므로 참가하게 되었지만 그에게 로얄 럼블 우승은 너무나도 거리가 멀었고 스티브 오스틴에게 26초만에 탈락되었다. 바트 건은 2월의 [[WWF 인 유어 하우스 13: 파이널 포]]에서 플래쉬 펑크, [[골더스트]]와 더불어 [[네이션 오브 도미네이션]]의 사비오 베가, 크러쉬, [[론 시몬스|파룩]]과 상대하게 된다. 그 경기에서 바트 건은 [[론 시몬스|파룩]]에게 핀을 허용하여 자신의 팀에 패배를 안기고 만다. [youtube(yCCdH4uZs2k)] 그는 97년 한 해 별다른 활약상을 펼치지 못했지만, 여전히 WWF에 남아있었다. 바트 건은 1998년으로 접어들면서 새롭게 [[하드코어 할리|밥 할리]]와 태그팀을 구성하게 된다. 짐 코넷은 WWF에 전통적인 스타일의 정통 레슬링이 사라져가는 것을 개탄하며 WWF 안에 NWA 디비젼을 만들고, NWA 선수들을 데려왔다. 짐 코넷은 바트 건과 [[하드코어 할리|밥 할리]]를 NWA 디비젼에 편입시키고, 그들을 뉴 미드나잇 익스프레스 라고 명명하였다. 뉴 미드나잇 익스프레스는 [[WWF 레슬매니아 14]]에서 태그팀 배틀 로얄에 참가하게 된다. 배틀 로얄의 우승자는 다음 PPV에서 태그팀 챔피언쉽에 도전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을 수 있었다. 뉴 미드나잇 익스프레스는 최후의 2팀으로 남아있는 등 선전했지만, 우승에는 실패했다. 이후 그들은 [[WWF 킹 오브 더 링(1998)]]에서 타이틀 사냥에 나선다. 그들의 상대는 뉴 에이지 아웃로즈였다. 자칭 NWA 챔피언이었던 뉴 미드나잇 익스프레스는 그 경기에서 [[뉴 에이지 아웃로즈]]에게 패했지만, 그들의 NWA 타이틀은 그 경기에 걸리지 않았기 때문에 NWA 타이틀은 유지할 수 있었다. 바트 건과 [[하드코어 할리|밥 할리]]는 1998년 여름까지 팀을 이뤄 활약한다. 하지만 여름에 이른바 브롤 포 올 토너먼트가 개최되면서 둘의 사이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브롤 포 올 토너먼트에서 바트 건과 [[하드코어 할리|밥 할리]]가 서로 맞붙게 되면서 짐 코넷은 더 이상 뉴 미드나잇 익스프레스의 매니져이길 단념하기로 결정한다. 바트 건은 [[하드코어 할리|밥 할리]]를 물리친 다음, " 닥터 데쓰" [[스티브 윌리엄스]], [[갓파더(프로레슬러)|갓파더]]등을 물리치고 최종 라운드에 진출한다. 결승전은 8월의 어느 날 RAW에서 펼쳐졌는데 바트 건은 브래드쇼를 물리치고 브롤 포 올 토너먼트의 우승을 차지한다. 그는 우승 상금으로 7만 5천불을 획득한다. 많은 사람들은 바트 건이 " 닥터 데쓰" 스티브 윌리엄스를 격파한 사실에 대해 특히 놀라워했다. 브롤 포 올에서 우승했지만 바트 건은 그 뒤로도 별다른 활약을 펼치지 못하여 TV에 등장하는 횟수도 점차 줄어만 갔다. 실상은 그는 브롤 포 올에서 부상을 당했던 것이다. 그는 레슬링을 할 수 없었고, 이에 TV 출연을 자제함으로써 부상 치유에 전념했던 것이었다. 바트 건은 99년 2월 15일 RAW를 통해 컴백하게 된다. 밥 할리는 WWF가 자신에게 우둔해 보이는 기믹과 허약한 태그팀 파트너만을 부쳐주었다며 불평을 늘어놓고는, 자신이 얼마나 하드코어적인지 입증해 보이겠다고 선언한다. 밥 할리의 말에 바트 건이 나타나서는, 자기도 할리가 말한 그 허약한 태그팀 파트너인지에 대해 따지듯 묻는다. 이에 할리는 자기야말로 바트 건이 브롤 포 올 토너먼트에서 KO시키지 못한 유일한 선수라고 응수한다. 그로부터 일주일 후, 바트 건은 당시 하드코어 챔피언이던 밥 할리에게 도전장을 내민다. 기세는 좋았지만, 바트 건은 밥 할리에게 패하여 타이틀의 꿈을 접어야만 했다. 그 경기에서 바트 건은 마스크를 쓴 정체불명의 사내에 의해 스테이지 아래로 내동댕이쳐졌다. 그로부터 일주일 뒤 로 이즈 워에서 그 정체불명의 사내가 바로 " 닥터 데쓰" [[스티브 윌리엄스]]였음이 밝혀진다. 3월 1일 RAW로 돌아온 [[짐 로스]]는 바트 건과 링에서 인터뷰를 가진다. [[짐 로스]]는 바트 건이 부상으로 인해 활동 공백을 가졌던 것을 싸잡아 비난했다. 또한 그는 바트 건이 지난 브롤 포 올 토너먼트에서 그가 총애하는 선수인 [[스티브 윌리엄스]]를 꺾었던 것을 뽐내며 다닌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했다. [[짐 로스]]는 바트 건이 WWF가 아직 그를 내보낼 계획이 없었는 데도 불구하고 TV에 재등장한 것 역시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그에게 따귀를 날렸다. 이에 성난 바트 건이 [[짐 로스]]에게 위해를 가할 찰나, [[스티브 윌리엄스]]가 나타나 바트 건에게 여러 차례의 강력한 수플렉스를 선사한다. 그는 [[WWF 레슬매니아 15]]에서 다시금 브롤 포 올 컨테스트에 참가하게 된다. 그는 첫 라운드에서 정통 파이터인 [[버터빈|에릭 에쉬]]을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그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며 불과 37초만에 넉아웃되어 패배하고 만다. 미국식 비만, 즉 고도비만 체형의 버터빈은 쉬운 상대로 보여질수는 있겠지만 헤비급 프로 복서이며 추후 종합격투기에서도 산전수전 다 겪은 인물이다. 그 동안 상대해 온 레슬러들을 상대하는 식으로 바트 건은 힘을 싣은 펀치를 휙휙 휘둘러댔고 이에 버터빈은 정석적으로 콤비네이션을 쏟아부었다. 결과는 37초 ko. [youtube(J9fmrvYXgtY)] 당시 심판관으로 나섰던 사람은 WW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어 있는 케빈 루니, 척 웨프너 등과 前 WWF 회장 고릴라 몬순 등이었다. 고릴라 몬순은 당시 몇 년 동안 질병과 싸우느라 많이 고생을 한 상태였는데 레슬매니아를 맞아 그 날 심판관으로 잠시 모습을 비추었었다. 바트 건의 이 날 패배를 지켜본 많은 사람들은 그 경기가 바트 건의 커리어에 종지부를 찍는 사건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고, 앞으로는 더이상 WWF에서 바트 건을 볼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실제로 바트 건은 그 경기를 마지막으로 [[WWE]]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그는 전일본 등지를 전전하며 레슬링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다 2003년 4월 2일 NWA-TNA에서 마이크 폴크로펙은 마이크 바튼이란 닉네임으로 깜짝 등장해 [[페리 새턴]]을 공격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이후 4월 9일 NWA-TNA 에피소드에서 바튼은 [[페리 새턴]]과 싸우지만, 그의 서브미션 기술에 걸려 항복하고 말았다. 이후 그는 다시 全日本으로 돌아가 그 곳에서 활약하기에 이른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실력파 레슬러였던 바트 건을 기억하는 사람은 아직도 많다. 2007년 12월 10일 RAW에서 바트 건으로 오랜만에 WWE에 등장하여 15주년 기념 배틀 로얄에 참가하였다.그는 [[스티브 블랙맨]]에 의해 그 경기에서 탈락했다. 종합격투기 경력도 있으며 2006년 6월 17일 럼블 온 더 락: 비트다운에서 UFC 베테랑 [[웨슬리 코레이라]]를 상대로 종합격투기 데뷔전을 치렀다.링사이드 의사가 코레이라가 큰 컷을 당한 후 싸움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한 후, 그는 TKO를 통해 데뷔를 했다. 2006년 11월 5일, 두 번째이자 마지막 싸움에서, PRIDE Bushido 13에서 [[미노와 이쿠히사]]와와 맞붙어 만장일치 판정패했다. == 여담 == * 1993년까지 전기 기술자였으며, 15년 후 전기 기술자로 일하기 시작했으며, 주택 공사도 했다. 그는 할아버지로서 손주들과 스타워즈 게임을 즐기고, 오토바이를 타고, 바비큐를 즐긴다 * WWE에서의 활약이 적고, 그저 그런 미드카더였지만 실제론 현피 강자중 한명이기도하다. 버터빈과의 복싱 시합에서도 비록 지긴 했어도 경기 시작 후 쓰러지지 않은채로 무려 10초 이상을 버텼다. 게다가 그 전에도 실전 매치에서 브래드쇼, 밥 할리, 스티브 윌리엄스 등의 실전 강자들을 모조리 꺾었다. 당시 WWF측에서 버터빈과의 경기를 잡은 것도 바트 건에 대한 기대가 컸기에, 정확히는 프로레슬링이 복싱보다 우위임을 증명할 인물이라는 기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또한 브래드쇼, 밥 할리를 전부 꺾을 정도면 사실상 거의 [[하쿠]] 못지않게 강한 셈이기도 하다. * 바트 건을 37초만에 KO 시켜버린 버터 빈은 이후 몇년 뒤엔 프로레슬러 출신 파이터인 [[션 오헤어]]한테도 승리했다. * WWF에서 메인급으로 상승할 기회가 여러번 있었던 빌리 건과는 달리 끝까지 미드카더로만 있었다. [[분류:1965년 출생]][[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91년 데뷔]][[분류:타이터스빌(플로리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