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황청의 대외관계)] [include(틀:베트남의 대외관계)] || [[파일:바티칸 국기.svg|width=7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100%]] || || [[바티칸|{{{#000 '''교황청'''}}}]] || [[베트남|{{{#ffff00 '''베트남'''}}}]] || [목차] [clearfix] == 개요 == [[바티칸]]과 [[베트남]]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바티칸과 베트남은 [[베트남 전쟁]] 이후, 외교관계가 단절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500300?sid=104|#]] 하지만 21세기 이후에는 관계가 개선되고 있다. 베트남내 [[천주교]] 신자는 600만명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1973892?sid=104|#]]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베트남은 [[베트남 전쟁]] 이후, 천주교 신자들을 탄압하면서 바티칸과 갈등이 존재했다. 게다가 베트남이 토지를 몰수하는 등 갈등이 존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1973892?sid=104|#]] 존슨 전 대통령이 베트남 전쟁을 중지시키기 위해 바티칸에 전쟁 종식 지원을 요청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67624?sid=104|#]] === 21세기 === 바티칸과 베트남의 갈등은 2000년대 이후로 개선되고 있다. 베트남 정부가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면서 바티칸과의 관계도 개선중이다. 2002년 9월 18일에 교황청은 베트남 출신의 추기경 프랑소아 사비에르 응우옌 반 투안이 사망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241123?sid=104|#]] 2005년 4월 1일에 [[요한 바오로 2세]]의 선종 임박설이 퍼지면서 하노이 교구의 조셉 은고 쾅 기에트 대주교는 교황을 위해 기도하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0089376?sid=104|#]] 요한 바오로 2세가 선종한 뒤, 4월 20일에 베네딕토 16세가 새 교황에 취임하자 베트남 정부가 공식 축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982642?sid=104|#]] 11월 20일에 베트남과 바티칸이 화해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154112?sid=104|#]] 2007년 1월 25일에 바티칸과 베트남을 수교를 위한 중요한 계기를 선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530813?sid=101|#]] 2월 1일에 베트남 정부가 종교백서를 발표해 바티칸과의 수교를 하기로 바티칸과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304513?sid=104|#]] 2008년 1월 29일에 베트남의 천주교 신도들은 1954년까지 바티칸 대사관이 있었던 1헥타르에 달하는 부지에 설치된 철문을 제거하고 건물 입구에 큰 십자가를 세우고 텐트까지 치는 등 몰수된 토지 반환 시위를 진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1942553?sid=104|#]] 하지만 베트남 정부가 반환을 거부하자 천주교 신도들이 반발해 시위를 진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1973892?sid=104|#]] 2009년 2월 13일에 바티칸과 베트남은 수교를 위한 문제를 논의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500300?sid=104|#]] 2월 22일에 바티칸 라디오는 팜 딘 퉁 추기경이 하노이에서 선종했다고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516368?sid=103|#]] 12월 14일에 베트남은 바티칸과의 관계개선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024360?sid=100|#]] ==== 2010년대 ==== 2010년 6월 26일에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교황청과 베트남의 관계개선을 위한 첫번째 조치로 교황청의 베트남 대표를 임명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352831?sid=103|#]] 2013년 1월 24일에 베네딕토 16세가 베트남 공산당 총서기와 만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0142571?sid=104|#]] 팜 민 반 추기경이 교황청의 콘클라베에 참가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147032?sid=104|#]] 2014년 9월 11일에 바티칸은 베트남과 재수교를 희망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114149?sid=104|#]] 2016년 11월 23일에 프란치스코 교황과 쯔언떤상 주석이 만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411136?sid=104|#]] ==== 2020년대 ==== 2022년 4월 23일에 양국은 외교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33178?sid=104|#]] == 관련 문서 == * [[바티칸/외교]] * [[베트남/외교]]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분류:바티칸 시국의 대국관계]][[분류:베트남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