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837_14340_5229.jpg|width=100%]]}}}|| ||<:><#6c6b70> '''{{{#white 이름}}}''' ||<#ffffff>박건섭|| ||<:><#6c6b70> '''{{{#white 출생}}}''' ||<#ffffff>[[1948년]] || ||<:><#6c6b70> '''{{{#white 사망}}}''' ||<#ffffff>[[2022년]] [[1월 18일]]|| ||<:><#6c6b70> '''{{{#white 국적}}}''' ||<#ffffff>[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6c6b70> '''{{{#white 학력}}}''' ||<#ffffff>[[서울대학교]] || ||<:><#6c6b70> '''{{{#white 직업}}}''' ||<#ffffff>영화 제작자, 영화 기획자|| ||<:><#6c6b70> '''{{{#white 대표작}}}''' ||<#ffffff>[[엽기적인 그녀]], [[엽기적인 그녀 2]]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영화제작자, 기획자. [[장선우]] 감독의 <[[거짓말(영화)|거짓말]]>, [[곽재용]] 감독의 <[[엽기적인 그녀]]>, 홍기선 감독의 <선택> 등을 제작했고, [[동서대학교]] [[임권택]] 영화예술대학 학장 등을 역임한 이후, 2018년부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조직위원장을 맡아왔다. 영화운동 세대들에게는 프랑스문화원 형님으로 통한 박건섭은 1970년대 초반 프랑스문화원에서 영화 관련 업무를 담당한 것이 영화와 인연을 맺은 계기였다. 당시 프랑스문화원은 [[박정희]] 정권의 검열을 피해 제대로 된 영화를 볼 수 있는 해방구였고, 해외 예술 영화를 제대로 볼 수 있는 [[시네마테크]]이기도 했다. [[정지영(영화 감독)|정지영]] 감독을 비롯해 [[신철]] 부천영화제 집행위원장, [[김홍준(영화인)|김홍준]] 감독, [[박광수(영화 감독)|박광수]] 감독, 전양준 전 부산영화제 집행위원장, [[곽재용]] 감독, 안동규 제작자, [[정성일]] 평론가 등 1990년대 이후 한국 영화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는 수많은 영화인이 드나들었을 만큼 영화운동 출발의 터전과 같은 곳이었다. 박건섭은 1971년~1988년까지 문화원 영화 책임자로 프랑스문화원을 찾던 영화운동 세대들의 든든한 지원자였다. [[영사기]]도 돌리고 밥도 사주면서 당시 아래 연배들에게 다정한 형님이기도 했다. 박건섭이 1982년 9월에 만든 <토요단편>은 당시 영화운동 세대들의 성장에 도움을 준 중요한 프로그램이었다. 매주 토요일 프랑스 단편이나 학생들이 제작한 8mm/16mm 단편적인 상영을 통해 제작의 기회를 제공했다. [[장길수]] 감독과 [[곽재용]] 감독의 초기 단편영화도 '토요단편'에서 관객들과 만날 수 있었다. [[세종문화회관]]에서 [[프랑스 영화]]를 상영할 당시에는 정부의 검열로 일부 장면의 초점을 흐리게 하라는 지시가 내려왔으나, 박건섭은 검열 장면이 아닌 다른 장면에서 초점을 흐리는 방식으로 이를 피해갔다. 1980년, [[서울대학교]] 영화동아리 '얄라셩'의 회원이었던 박광수 감독이 만든 영화의 후반 작업을 프랑스문화원에서 하고 상영회도 열 수 있었던 데는 박건섭의 도움이 컸다. 박광수 감독은 프랑스문화원의 하루 업무가 끝난 뒤에 사운드 믹싱과 같은 후반 작업을 할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박건섭은 프랑스문화원을 거쳐 간 영화인들과 인연으로 1988년 이후 [[충무로]]로 자리를 옮겨 영화 제작자와 기획자로 활동했고, 대학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기도 했다. 한국 영화계의 영향을 주는 여러 활동으로, 2016년 제2회 아시안월드영화제에서 특별 공로상을 받았다. 2022년 1월 18일, 암 투병 끝에 자택에서 향년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https://m.yna.co.kr/amp/view/AKR20220119101151005|#]] == 필모그래피 == || '''{{{#white 연도}}}''' || '''{{{#white 제목}}}''' || '''{{{#white 제작}}}''' || '''{{{#white 기획}}}''' || '''{{{#white 비고}}}''' || || 1982 || 토요단편 || O || O || || || 1990 || [[남부군(영화)|남부군]] || || O || || || 1990 || 이제 그 여자는 여기 오지 않는다 || || O || || || 1991 || 베를린 리포트 || O || || 제작지휘 || || 1991 || [[은마는 오지 않는다]] || || O || || || 1992 || 마음의 파수꾼 || || O || || || 1992 || 가슴에 듣는 칼로 슬픔을 자르고 || O || || 제작지휘 || || 1993 || 그 섬에 가고 싶다 || O || || 제작지휘 || || 1995 || [[영원한 제국]] || O || O || || || 1996 || [[은행나무 침대]] || O || || 제작고문 || || 1996 || 채널 식스 나인 || O || || 제작고문 || || 1996 || 꽃잎 || O || || || || 1997 || [[인샬라]] || O || || || || 1997 || 블랙 잭 || O || || 제작총지휘 || || 1997 || 바리케이드 || || O || || || 1997 || 마음 || O || || 제작총지휘, 단편 영화 || || 1998 || 약속 || O || O || 제작총지휘 || || 1998 || 인연 || O || || 제작총지휘 || || 1999 || 얼굴 || || O || || || 1999 || 송어 || O || O || || || 1999 || 아침 또 아침 || O || || 제작자문, 단편 영화 || || 2003 || [[거짓말(영화)|거짓말]] || O || O || 제작총지휘 || || 2001 || 교도소 월드컵 || O || || 제작총지휘 || || 2001 || [[엽기적인 그녀]] || O || || || || 2003 || 선택 || O || O || || || 2005 || 초승달과 밤배 || O || O || || || 2007 || [[로보트 태권 V]] || O || || 2007 디지털 복원판 제작 || || 2009 || 부산 || || || 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예술대학 || || 2009 || 사람을 찾습니다 || || || 장비 지원 || || 2010 || [[섹스 볼란티어]] || O || O || 수퍼바이징 제작 || || 2010 || 여덟 번의 감정 || || O || || || 2011 || 영화판 || || || 단역 || || 2016 || [[엽기적인 그녀 2]] || O || || 유작, 제작총지휘 || [[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1948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암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