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東奎 [[1939년]] [[1월 16일]] ~ ([age(1939-01-16)]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자, [[소설가]], 문학평론가이다. 본관은 [[박(성씨)|경주]](慶州). 종교는 [[개신교]]([[장로회]])이다. == 생애 == 1939년 1월 16일 [[경상북도]] [[경주시|경주군]] [[서면(경주)|서면]] 모량리(현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에서 [[시인(문학)|시인]]인 아버지 [[박목월]]과 어머니 유익순(劉益順) 사이의 4남 1녀 중 장남으로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70122373|태어났다]]. [[서울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6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70818|小說本質 및 技巧論 : 構造的面에서본 小說의 諸樣相]](소설본질 및 기교론 : 구조적면에서본 소설의 제양상).], 1981년 [[국어국문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37820|現代 韓國小說의 構造硏究 : 그 性格變移過程을 中心으로]](현대 한국소설의 구조연구 : 그 성격변이과정을 중심으로).]를 각각 취득했다. 1962년 현대문학에 〈카오스의 질서화작용(秩序化作用)〉,〈언어·성격·행동〉으로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그리고 모교인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지냈다. 서울대 교수직에서 정년퇴임 한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대문학상 평론부문상, 황조근정훈장을 수상하였다. [[분류:경주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박씨]][[분류:1939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한국 남성 작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