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박두리나}}}[br]朴頭悧娜 / Doorina Park'''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두리나.jpg|width=100%]]}}} || || {{{#ffffff '''생년'''}}} ||[[1983년]]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학력'''}}}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2 (졸업)}}}[br][[중앙대학교]] [[국악과]] [[해금]] 전공 {{{-2 ([[학사]])}}} [br][[베이징]] 중앙음악학교 얼후 전공 {{{-2 [[(석사)]]}}}[br][[중앙대학교 대학원|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과|음악교육학]] {{{-2 ([[석사]])}}}[* [[http://www.riss.kr/link?id=T12333010|초등학교 음악교과서 창작 국악동요 음악적 특징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2011. 2).] || || {{{#ffffff '''가족'''}}} ||아버지 [[박범훈]][br]언니 박혜리나 {{{-2 (가야금)}}}[br]동생 박세리나 {{{-2 (한국무용)}}}||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pkfSomvrVNc)] [[대한민국]]의 [[해금]] 및 [[얼후]] 연주자, 저술가, [[교수]], [[국악인]]. == 상세 ==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와 [[중앙대학교]] [[국악과]]에서 해금을 전공했다. 작곡가 [[박범훈]]의 둘째 딸이며 언니 박혜리나는 가야금, 동생 박세리나는 한국무용을 전공하였다. 얼후는 2006년 아버지의 유학 권유로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2006년에 중국 베이징 국립중앙음악원에서 얼후를 전공하여 석사 과정을 마쳤다.[* 한 때 국내 최초로 얼후 석사과정을 마쳤다고 알려졌으나, 해금 연주자 [[김상은]]이 그보다 앞선 2002년에 얼후 대학원 과정을 마친 것이 확인되었다.[[http://www.daemong.com/zb4/view.php?id=erhu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asc&no=13|#]]] == 경력 == * 한국국악교육학회 회원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회원 * 학교법인 서울국악유치원 유아해금교육 자문위원 * 중앙해금앙상블 회원 * 2023년 현)[[용인대학교]] [[국악과]] 교수 == 저서 == * '''얼후 기초 강의''' - 민속원, 2012.09.30 [[분류:국악인]][[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연주자]][[분류: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198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