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MVP)] [include(틀:대학농구리그 역대 챔피언결정전 MVP)] ||<-2> [[파일:external/file.basketkorea.com/101.jpg|width=450]] || || '''이름''' ||박래훈 || || '''생년월일''' ||[[1989년]] [[10월 1일]] ([age(1989-10-0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출신학교''' ||[[낙생고등학교]] - [[경희대학교]] || || '''포지션''' ||[[슈팅 가드]] || || '''신체 사이즈''' ||188cm, 84kg || || '''프로입단''' ||[[2012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12년 1월 드래프트]] 1 라운드 5 순위([[창원 LG 세이커스]]) || || '''소속팀''' ||[[창원 LG 세이커스]] (2012~2018)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前 농구선수. == 아마 시절 == 초등학교 시절 육상대회에 참가했다가 스카우트되어 농구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성남중학교에 진학한 뒤 좋은 성과를 보이는 중이었으나, 서울의 중학교로 전학을 가게 되고 이에 따라 규정에 의해 1년을 쉬고, 다시 분당의 낙생고로 진학하게 되어 1년을 더 쉬어 2년을 쉬게 된다. 다행히도 고등학교 시절 공백이 있었음에도 좋은 활약을 통해 대학에 진학했다. 또한 당시 고등학교 유망주로 모인 KBL-NBA 캠프에서 [[브루스 보웬]]에게 지목을 받기도 했다. 이후 [[경희대학교]]에 진학하게 된다. 1학년부터 출전 기회를 꾸준히 받아 좋은 활약을 보였지만, 2학년 이후 무릎부상으로 또 농구를 쉬게 된다. 운동능력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슈팅 능력은 좋은 모습을 보였고, 주장으로 당시 경희대학교 천하를 이어나가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 또한 플레이오프에서 맹활약하며 MVP를 수상해 통합우승에 큰 도움을 주었다. 이후에도 기복이 있긴 했지만, 슈팅 능력은 인정을 받아서 [[창원 LG 세이커스]]에 지명받게 된다. == 프로 선수 == 2012-2013시즌 LG가 양궁농구 팀컬러를 구가할 때,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시즌이 끝날 때까지 출전시간을 보장받는 신인으로 괜찮게 활약했다. 2013-2014시즌 초반만 해도 50%가 넘는 슈팅감을 선보이며, [[양우섭]], [[김시래]]와 함께 LG가 준수한 성적을 거두는데 힘을 보탰지만, 이후 정확도가 감소하는 모습을 급격히 보이며 한계를 노출했다. 부진이 이어지는 동안 LG는 조상열이나 [[양우섭]] 등이 돌아가며 [[슈팅 가드|2번]] 자리를 맡았지만, 조상열은 발이 느린데다가 기복이 심하고, [[양우섭]]은 [[슈팅 가드|2번]] 치고는 슈팅이 부족한 모습을 노출하며 2번 자리 걱정을 하게 되었다. 2017-18시즌이 끝난 뒤 결국 웨이버 공시가 확정되었다. 그리고는 결국 [[http://www.basket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180142|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에 3대3 농구선수로 전향한 걸로 보인다. == 여담 == * [[김종규(농구)|김종규]]와는 성남초등학교 시절부터 [[창원 LG 세이커스]]까지 15년을 함께한 선후배 사이이다.[* 박래훈과 같은 초, 중, 고를 나왔다. 다만 박래훈은 중학교 때 [[서울특별시|서울]]로 전학갔었기 때문에 중학교 때의 경우 끝까지 함께하지는 못했다.] * 동생 박래윤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창원 LG 세이커스|같은 팀]]에서 뛰었다. * 상무 시절 [[변기훈]]과 함께 후임인 [[최현민]]에게 가혹행위를 하여 [[무릎]]을 망가뜨려 수술을 하게 했단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89년 출생]][[분류:슈팅 가드]][[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상무 농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