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한국 여성 작가]][[분류:1985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중앙대학교 출신]] ||||||||||||||<#c0c0ff><:>'''{{{#white 제64회 [[현대문학상]] 수상 }}}'''|| ||<:>[[김성중]][br]상속[br](2018) || → ||<:>'''박민정[br]모르그 디오라마[br](2019)'''|| → ||<:>[[백수린]][br]아직 집에는 가지 않을래요[br](2020) || [[파일:박민정.jpg]]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소설가]]. [[1985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와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화연구학과를 졸업했다. [[2009년]] 작가세계[* 현재는 폐간.] 신인상에 '생시몽 백작의 사생활'이 당선돼 등단했다.[* '생시몽 백작의 사생활'은 신인상 발표가 있었던 작가세계 83호(겨울호)나 박민정의 첫 소설집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에서 읽을 수 있다.] [[2015년]] 첫 소설집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로 김준성문학상, [[2017년]] 단편소설 '행복의 과학'으로 문지문학상, [[2018년]] 단편소설 '세실, 주희'로 [[젊은작가상]] 대상, [[2019년]] 단편소설 '모르그 디오라마'로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대학원을 졸업한 뒤론 학원에서 논술을 가르치고, 주말에는 8곳을 돌며 풀타임 과외를 하는 등 굉장히 불안정한 생활을 했던 것으로 밝히고 있다. 그 뒤 본격적으로 소설집이 나오고 수상도 하면서, 비록 수입은 적지만 현재의 작가라는 직업에는 만족한다고. '모르그 디오라마'나 '미스 플라이트' 등에서 볼 수 있듯이 페미니즘, 혹은 여성들이 겪고 있는 피해와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그냥 피해 여성의 심리를 대리만족시켜주는 식의 손쉬운 환상이 아니라, 폭력과 부조리 사이에 숨어 있는 모순과 역설을 발견하는 등 깊이가 있고 작품성이 높다. == 작품 목록 == === 소설 === *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 (2014, 민음사)[*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를 문학 웹진에 기고한 게 2011년, 등단작인 '생시몽 백작의 사생활'이 2009년에 당선된 것을 생각해보면 첫 소설집 출간이 다소 느린 편이었다.] * 아내들의 학교 (2017, 문학동네) * 미스 플라이트 (2018, 민음사) * 뷰티-풀 (박민정 글 유지현 그림. 2018, 미메시스) * 서독 이모 (2019, 현대문학) * 바비의 분위기 (2020, 문학과 지성사) === 산문집 === * 잊지 않음 :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 (2021, 작가정신) == 수상 목록 == * 제22회 김준성문학상 (2015) - 소설집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 * 제7회 문지문학상 (2017) - '행복의 과학' * 제9회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대상 (2018) - '세실, 주희' * 제43회 [[현대문학상]] (2019) - '모르그 디오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