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30년 출생]][[분류:2019년 사망]][[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조지타운 대학교 출신]][[분류:6.25 전쟁/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 국가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통일교 신자]][[분류:아산시 출신 인물]][[분류:함양 박씨]][[분류:월북한 인물]][[분류:화랑무공훈장]][[분류:은관문화훈장]] ||<-2> {{{#fff {{{+1 '''박보희'''}}}}}}[br]'''朴普熙 | Bo Hi Pak''' || ||<-2> [[파일:박보희선생사진.jpg|width=100%]] || ||<|2> '''출생''' ||[[1930년]] [[8월 18일]] || ||[[충청남도]] [[아산군]] [[염치읍|염치면]] || ||<|2> '''사망''' ||[[2019년]] [[1월 12일]] (향년 88세)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청심국제병원 || || '''묘소'''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파주)|적성면]] 파주원전 || || '''학력''' ||천안농업학교 {{{-2 (졸업)}}}[br][[육군정보학교]] {{{-2 (영어과 / 수료)}}}[br][[포트 베닝]] 미 육군보병학교 {{{-2 (수료)}}}[br][[조지타운 대학교]] {{{-2 (외교학 / 학사)}}} || || '''가족''' ||아버지 박동현, 동생 박노희[br]아내 윤기숙 [* 1933년 4월 25일생, 2017년 10월 14일 별세][br]장녀 [[문훈숙]], 장남 박준선, 차남 박진성, 양자 박사무엘 등||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생도 2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50년]] ~ [[1964년]] || || '''최종 계급''' ||[[중령]]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방무관]] 보좌관 || || '''상훈''' ||[[무공훈장|화랑무공훈장]] {{{-2 (1951년)}}}[br]금성 화랑무공훈장 {{{-2 (1953년)}}}[br][[포트 베닝]] 미 육군보병학교장 표창 {{{-2 (1957년)}}}[br]주한미군사고문단장 표창 {{{-2 (1959년)}}}[br][[대한민국 국방부장관]] 표창 {{{-2 (1960년)}}}[br][[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2 (1963년)}}}[br][[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표창 {{{-2 (1971년)}}}[br][[국민훈장]] 목련장 {{{-2 (1971년)}}}[* 국민훈장 동백장이라는 기사도 있으나, 상훈 검색 결과 목련장인 것으로 확인됨.][br][[은관문화훈장]] {{{-2 (200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종교인]], [[기업인]]이자 한국문화재단의 총재였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의 창시자인 [[문선명]]의 사돈이며, 동시에 문선명의 오른팔이자 최측근이었다. 2019년 1월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https://en.m.wikipedia.org/wiki/Bo_Hi_Pak|영어 위키백과,]]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45181|수상 및 훈장 참고 출처]] == 상세 == [[1930년]] [[충청남도]] [[아산군]] [[염치읍|염치면]](현 아산시 염치읍)에서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6년 천안농업학교를 졸업했고, 1946년부터 1950년까지 충남 아산시의 도고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50년 6월 1일 [[육군사관학교]] 생도 2기로 입교하였다.[* 1946년 입교한 육사 2기와는 다른 기수이다.] 그러나 육사 생도가 된 지 24일 만에 6.25전쟁이 발발하여 생도로서 6.25전쟁에 참전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는 고작 스무 살이었다. 그는 6.25전쟁 당시 [[제9보병사단]] [[제28보병여단]] 소속이었으며, 전쟁 중 소대장, 중대장, 연대작전장교로까지 전쟁에 임했다. 이후 1952년 미국 [[포트 베닝]] 육군보병학교에 유학을 가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을 수료했고, 1955년, 대한민국 육군본부 정보참모부에서 근무하면서 [[육군정보학교]] 어학반(영어과)을 수료했다. 이후 다시 미국 포트 베닝 육군보병학교의 특수연합군반으로 유학을 가 1956년 수료했다. 그는 포트 베닝에서 화학기 교관으로 근무했다. 그 후, 1957년 UN군 사령부 내 미 군사고문단장 전속부관, 1960년 [[대한민국 국방부차관]] 보좌관, 1961년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방무관]] 보좌관 등을 역임했다. 또한 1961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 외교학 전공을 하여 학사 학위를 수료했다. 대한민국 육군 예비역 중령까지 임하다가 1964년에 명예퇴역하였다. 1957년 [[통일교]]에 입교하여 [[문선명]]과 인연을 맺었다. 주미대사관에서 근무했기에 미국 정치인들과 어느 정도 아는 사이이며, 영어 실력이 유창하며, 특히 동시통역을 잘하기에 문선명의 총애를 받았다. 문선명의 동시통역사로도 활동했다. 통일교 2인자 소리까지 들으며 [[워싱턴 타임즈]], [[세계일보]], [[평화자동차]], 금강산국제그룹 등 통일교 계열 기업들의 대표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리틀엔젤스예술단]]과 유니버설 발레단의 창단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선화예술학교]] 교장, 선화학원 이사장, 한국문화재단 총재를 역임했다. 2010년에 리틀엔젤스와 함께 한국전쟁 60주년 기념 참전국 16개국 순회공연을 주도하기도 했다.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하자 문선명이 "압록강을 헤엄쳐서라도 조문하러 가라"고 명령했는데, 의외로 북에서 순순히 조문단 수용 의사를 밝혀 [[방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이 무단 방북으로 간주되었고, [[국민의 정부|차기 정부]]가 출범할 때까지 [[대한민국]]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해외 도피 생활을 해야 했다. 박정희 정부의 [[코리아게이트]] 사건에 연루되어 1978년 미 하원 청문회에 서기도 했다. 이는 애당초 통일교 자체가 코리아게이트에 깊이 연루되었기 때문이다. [[프레이저 보고서]] 참고. [[독립협회]]를 이끈 [[서재필]]의 조카이자, [[하버드대학]]을 졸업하여 [[박정희]] 대통령 때 청와대 비서실에서 근무한 서영수를 포함한 6명이 1984년, 뉴욕의 한 호텔에서 박보희를 납치하여 권총으로 위협한 사건이 있었다. 당시 서영수 일당은 권총으로 박보희를 위협하며 몸값 100만 달러를 요구했으나, [[FBI]]에 검거되어 실패하였다. 당시 이런 사건을 벌인 이유는 돈 때문만이 아니라 통일교에 불만이 많아서라고 한다.[[https://www.google.com/amp/s/mnews.joins.com/amparticle/1804290|#]] 그의 딸인 발레리나 [[문훈숙]]은[* 원래 이름은 박훈숙이다. 통일교 교리에 따라 남편의 성을 따름이다.] 문선명의 죽은 아들 문흥진과 [[영혼결혼식|영혼결혼]]하였다. 박보희는 1984년 11월 아르헨티나의 '라플라타가톨릭대학'의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