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박부용}}}[br]朴芙蓉|Park Boo-y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가수 박부용.jpg|width=100%]]}}} || ||<|2> '''출생''' ||[[1901년]] || ||[[경상남도]] [[창원시]] || ||<|2> '''사망''' ||몰년 미상[* 1940년대 이후로는 행적에 관해 알려진 것이 없으며, 확률이 극도로 희박하지만 현재까지 살아있다면 120세 이상이다.] || ||사망지 미상 || || '''데뷔''' ||[[1933년]] 오케레코드 전속가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한반도의 가수. == 생애 == [[1901년]], 창원에서 태어났다. 이후 서울로 이주하였으나 부친의 별세로 인해 어린 나이부터 홀어머니와 여동생을 돌보며 [[소녀가장]]으로 어려운 유년기를 보냈다. 그러다가 누군가에게 추천을 받아 [[1912년]]에 서울 광교조합(廣橋組合)에 기생으로 이름을 올렸고, 이때를 기점으로 학업에 정진하여 그때 당시의 유명한 가곡과 가사 등을 익혔다고 한다. 그러다가 [[1933년]]에 오케레코드에 발탁되어 가수로 활약하게 되고, [[1934년]]에는 박부용의 대표곡인 '노들강변'이라는 곡을 발표하며 많은 인기를 얻게 된다. [[1930년대]]까지만 해도 유명 가수로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나, 자신의 후배로 이은파, 이화자 등의 많은 유명 가수가 등장하자 인기가 점차 줄어들었고 [[1940년대]] 이후로는 행적이 알려져있지 않다. == 기타 == * 유년기에 잠시 경남 [[진주시|진주]]에서 지낸 적이 있어 진주가 고향이라고 전해지기도 하는데, 이는 [[와전]]된 것이다. [각주] [[분류:한반도의 가수]][[분류:1901년 출생]][[분류:창원시 출신 인물]][[분류:잠적한 인물]][[분류:1933년 데뷔]][[분류:몰년 미상]][[분류:기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