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원사)] 朴不花 (? ~ 1364년) [목차] == 개요 == [[원나라]]의 [[환관]]. [[고려]] 출신으로 왕부카(王不花), 박테무르부카(朴帖木兒不花)라고도 한다.[* 중세 [[몽골어]]로 '테무르'는 [[철(원소)|철]], '부카'는 [[소]]를 뜻한다.] 한자 독음 그대로 박불화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 생애 == [[기황후]]가 미천한 신분일 때 같은 마을에 살아 서로 의지했고 기황후가 궁에 들어갔다가 황후가 되었고 박부카는 환관이 되어 궁에 들어와 기황후를 섬겨 총애를 받아 여러 번 승진해서 영록대부, 자정원사를 지냈다. 1358년에는 대도에 기근, 역병이 들고 하남, 하북, 산동의 군현은 전쟁으로 인해 피난민이 많아 죽는 자가 많았는데, 박부카는 명성을 높이기 위해 황제 [[원혜종]]에게 땅을 사서 그들을 묻어달라고 청했다. 원혜종과 여러 궁으로부터 각종 물품을 차등있게 하사받아 만안수경사에서 무차대회를 열어 시체를 가져온 사람들에게 돈을 주었다. 1360년 4월에 매장된 사람이 20만, 소비한 금은 2만 7090여 전, 소비한 쌀 560여 석이었으며, 대비사에서 수륙대회를 3일 동안 개최해 병든 백성들에게 약을 주고 장례를 치루지 못하는 자에게는 널을 지급했다. 1360년에는 초스간이 승상이 되자 초스간과 함께 호응해 사방의 인물에 대한 논공행상을 모두 감춰 보고하지 않았으며, 1363년에는 왕후(토군)과 함께 탄핵을 받았다가 기황후의 비호로 탄핵했던 자들이 좌천되었다. 박부카는 기황후의 힘으로 집현전대학사 겸 숭정원사가 되었고 라오테이샤가 탄핵에 힘쓰다가 좌천되어 [[베이르테무르#s-3|베이르테무르]]의 군영으로 돌아갔는데, 박부카는 코케테무르의 지원에 의지하면서 초스간과 함께 베이르테무르가 라오테이샤를 숨긴 것을 원망해 그 두 명이 음모를 꾸민다고 모함했다. 그래서 1364년에 베이르테무르의 관직을 빼앗고 사천으로 귀양가도록 하는 조서가 내려졌지만 베이르테무르는 이를 따르지 않았으며, [[엘테무르]] 등이 베이르테무르가 무고인 것을 알리거나 조정에서도 그의 세력을 막지 못할 것을 염려해 정치를 가로막고 말로 황제를 현혹했다는 죄로 감숙에 유배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대도에 남았다. 베이르테무르가 군사를 이끌고 간 후에 원혜종에게 초스간, 박부카를 넘기면 군사를 물리겠다고 하면서 박부카는 베이르테무르에게 인도되었다가 살해당했다. == 대중매체에서 == * 2005년 MBC 드라마 <[[신돈(드라마)|신돈]]>에서는 배우 [[남영진]]이 연기했다. 기황후의 측근 인사들 가운데 유일하게 등장하는 인물로 기황후의 충실한 심복이자 조언자. 고려에 파견되어 원나라의 입장을 대변하는 장면도 몇 번 보이며 실제 [[역사]]와 같이 원나라가 쇠퇴하면서 극에서 퇴장했다. * 2013년 MBC 드라마 <[[기황후(드라마)|기황후]]>에서는 배우 [[최무성]]이 연기했다. 기자오의 부하였다가 나중에는 원나라에 가게 된다. 여주인공 기승냥을 구하려다 [[고자]]가 된 것을 계기로 기승냥을 지키기 위해 환관이 되어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분류:원나라의 인물]][[분류:환관]][[분류:136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