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박상원(야구선수))] [목차] == 개요 == [[한화 이글스]] 소속 우완 투수 [[박상원(야구선수)|박상원]]의 선수 경력을 모아 놓은 문서. == 아마추어 경력 == 학창시절 아마야구 경력에 대해 본인이 [[연세대학교]] 스포츠 매거진 시스붐바(SIS-BOOM-BAH)와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s_boom_bah&logNo=220692223887&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초등학생 때는 투수보다는 타자에 소질이 있었지만 중학교에 진학하자 키가 갑자기 10cm나 커지면서 감독님의 권유로 투수를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다 투타 병행이 힘들어지자 중2부터는 투수로 완전히 전향했고, 형을 따라 [[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청원고등학교 야구부]]로 진학하여 고1 때는 최고 구속 139km/h까지 찍기도 했으나 고2 때 팔꿈치 부상으로 인해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어 단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했다. 게다가 야구부 감독님이 바뀐 후 동기들이 대거 전학을 가버리는 상황이 닥치자 본인도 결국 스카우트 제의가 왔던 [[휘문고등학교 야구부]]로 전학을 갔고 3학년이 되어서 다시 공을 던졌다고 한다. 휘문고 3학년 시절 성적은 16경기 출장하여 60⅓이닝 동안 52피안타(1피홈런) 21볼넷 5사구 58탈삼진 35실점(22자책점)을 기록하면서 5승 2패 ERA 3.30의 성적을 보였다. 하지만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미지명되며 [[연세대학교 야구부|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現 스포츠응용산업학과[[https://ysces.yonsei.ac.kr/yses/edu/sports02.do|#]]] 13학번으로 진학했다. 춘계리그가 시작하기 전까지만 해도 프로 미지명으로 인한 충격과 휘문고 3학년 시절 토미존 수술 이후 복귀 첫 해 60이닝이나 소화한 탓에 연대 야구부에서 공을 던지지말고 쉬어라고 한 것으로 인해 야구를 그만둘까도 생각했지만 13년 3월 춘계리그에서 [[동의대학교 야구부|동의대]]와의 경기 때의 호투 이후 계속해서 야구를 할 수 있었다고 한다. KBSA에서 제공하는 대학 통산 성적은 4년동안 총 31경기 출장하여 58⅓이닝 동안 53피안타(1피홈런) 39사사구 62탈삼진 37실점(17자책점)을 기록하면서 1승 5패의 ERA 2.64의 성적을 보였다.[* 프로 지명된 선수 치고는 성적이 다소 안좋아 보일 수도 있는데, 박상원이 있던 연대 야구부는 [[나성범]]이 졸업한 직후 2012년부터 대학야구의 침체기에 맞물려 역시 암흑기를 보내고 있었다. 당장 위에 춘계리그 동의대전 경기만 해도 2⅔이닝 무피안타 무사사구 4탈삼진을 기록했음에도 1실점(0자책)으로 패전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당시 연대 야구부는 투수진을 제외한 공수 양면에서 상당히 무기력할 때가 많았다. 이 암흑기 때 [[연고전]] 야구경기 성적 또한 12~16년까지 5년 동안 내리 패배 중이었으니...] 눈에 보이는 성적보다 기량면에서 고교 때보다 월등히 성장했고 구속도 최대 150km/h까지 나오는 것을 보였기 때문에 기어코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2차 3라운드 25순위로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게 되었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82309275345858&VN|#]] == [[한화 이글스]] == === [[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17년|2017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원-2017.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17년)]''' || === [[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18년|2018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원-2018.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18년)]''' || 데뷔 후 첫 풀타임 시즌부터 '''리그 불펜 ERA 1위'''를 기록했다. === [[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19년|2019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원-2019.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19년)]''' || === [[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원-2023.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20년)]''' || === 2022 시즌 === 소집해제 전부터 시간을 내어 서산에서 몸을 만들었으며 8월 4일 공식적으로 소집해제되어 복귀하였다. 등번호는 기존에 사용하던 58번을 받았다.[* 종전 58번이었던 [[황영국]]은 4번으로 바꿨다.] 8월 12일 LG전에서 복귀 후 첫 등판을 가졌고 1이닝 2피안타 1실점(비자책) 2탈삼진 1볼넷을 기록했다. 8월 20일 롯데전, 23일 LG전, 25일 두산전에 등판하여 3경기 연속 1이닝 무실점으로 3홀드를 기록했다. 9월 6일 kt전에서 [[장시환]]의 뒤를 이어 무사 만루의 위기 상황에 등판하였으나 우익수 [[장진혁]]의 포구 실책과 폭투로 3실점을 해 역전을 허용했다. 자신이 출루시킨 주자는 홈을 밟지 않아서 1이닝 무실점. 9월 8일 두산전에서 8회 [[김범수(야구선수)|김범수]]의 뒤를 이어 등판하였으나 2피안타와 볼넷 2개로 2실점으로 불을 질러 2사 상황에서 [[정우람]]과 교체되었다. 9월 14일 kt전 선발 페냐의 뒤를 이어 7회 2사 1, 2루 상황에 등판해 장성우를 삼진 처리하고 홀드를 추가했다. 9월 18일 LG전 7회에 등판하여 1이닝 3K 무실점을 기록했고, 이 등판이 2022 시즌 마지막 등판이 되었다. 9월 21일 [[https://v.daum.net/v/20220921203844647|부친상]]을 당하여 경조사 휴가를 얻고 다음날 1군에서 말소되었다. 대신 올라온 선수는 [[이충호(야구선수)|이충호]]. 이후 9월 27일 다시 등록되었으나 등판은 없었고 10월 3일 어깨가 당기는 증세를 느끼면서 다시 말소되었다. 최종 성적은 14경기 12이닝 4홀드 ERA 2.25. === [[/2023년|2023 시즌]]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상원(야구선수)/선수 경력/2023년)]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상원(야구선수), version=388)] [[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박상원(야구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