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include(틀:제2군단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063, #10007c 20%, #10007c 80%, #0d0063)"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FFF 제24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br]{{{#fff {{{+1 박선우}}}[br] 朴宣宇 | Park Sunwoo}}}'''}}}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24df6676df.png|width=100%]]}}} || ||<|2> {{{#fff '''출생'''}}} ||<(> [[1957년]] || ||<(> [[광주광역시]] || ||<|2> {{{#fff '''재임기간'''}}} ||제24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2013년]] [[9월 27일]] ~ [[2015년]] [[9월 17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fff '''가족'''}}} ||<(> 처 이강희, 슬하 2녀 || || {{{#fff '''학력'''}}} ||<(> [[광주제일고등학교]] {{{-2 (졸업 / 50회)}}} || ||<-2> {{{#fff '''군사 경력'''}}} || ||<|2> {{{#fff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79년]] ~ [[2015년]] || || {{{#fff '''임관'''}}} ||<(> [[육군사관학교]] {{{-2 (35기)}}} || || {{{#fff '''최종 계급'''}}} ||<(> [[대장(계급)|대장]] || || {{{#fff '''최종 보직'''}}}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fff '''주요 보직'''}}}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br][[제2군단장]][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군사기획부장[br][[제37보병사단]]장[br] [[이라크 평화·재건사단]]장[br] [[제26기계화보병사단]]장[br][[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계획과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군인]]. [[육군]] [[대장(계급)|대장]]으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 생애 == [[1957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 아직 직할시가 되기 전이었다.]에서 태어났다. [[광주제일고등학교]](50회)[* [[이영만]] 공군 중장이 고교 동기다.]를 졸업했고 [[1975년]]에 [[육군사관학교]] 35기로 입학[* 광주일고-육사 선배로 [[김동진(군인)|김동진]] 전 합참의장과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 후배로 [[김용우(1961)|김용우]] 전 육군참모총장이 있다.]해 [[1979년]]에 [[소위]]로 [[임관]]했다. == 군사 경력 == === 주요 직위 === * '''대령'''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계획과장 * '''준장''' * [[육군대학]] 교수부장 *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 '''소장''' {{{-2 2007년 10월 1차 진급}}} * [[제26기계화보병사단]]장 {{{-2 (2007.10. ~ 2008.4.)}}} * [[이라크 평화·재건사단]]장[* [[파일:external/c7.staticflickr.com/7438353702_bb4941213e_k.jpg|width=500]] 2008년. 당시 [[이라크 평화·재건사단]][[사단장|장]] 박선우 [[소장(계급)|소장]]. [[이상희(육군)|이상희 ]]당시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2 (2008.4. ~ 2008.12.)}}} * [[제37보병사단]]장 {{{-2 (2008.12. ~ 2009.11.)}}}[* 사단장만 3번을 지낸 이례적인 사례로 각기 재임 기간은 짧다.]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군사기획부장 {{{-2 (2009.11. ~ 2010.12.)}}} * '''중장''' {{{-2 2010년 12월 1차 진급}}} * [[제2군단]]장 {{{-2 (2010.12. ~ 2012.11.)}}}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2 (2012.11. ~ 2013.9.)}}}[* 전임자 [[신현돈]], 후임자 [[신원식]]] * '''대장''' {{{-2 2013년 9월 1차 진급}}}[* 육사 35기 동기 [[신현돈(군인)|신현돈]] 장군과 동시 진급. 둘 다 합동작전통으로,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전]] 이후 군 내에서 합동성이 중시되며 합동작전통이 중용되었다.]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2 (2013.9. ~ 2015.9.)}}}[* 당시 카운터파트인 [[한미연합군사령관]]은 [[커티스 스캐퍼로티]] 대장.] === 합참의장 진출 좌절 === 육사 동기 [[신현돈(군인)|신현돈]] 대장이 1군사령관 재직 중 차후 무혐의로 밝혀지긴 했으나 휴게소 음주 추태 사건으로 자진 전역하며 육사 35기 중 유일한 현역 대장으로 남았다. 그래서 2차 직위 진출은 확실시되었으나, 육사 34기에서 육군참모총장을 연달아 배출했기 때문에[* [[권오성]] 총장이 [[윤일병 사건]]으로 물러나고 [[김요환]] 총장이 취임.], 박선우 대장은 육군총장보다는 [[최윤희(군인)|최윤희]] 의장의 후임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참의장]] 진출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의 파격 군 인사로, 정석적인 후보인 박 대장을 제치고 3사관학교 출신 [[이순진]] 대장이 의장에 내정되었다. 이로써 35기는 육군총장과 합참의장을 모두 배출하지 못한 기수가 되었다. 원래라면 박 대장이 합참의장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었다. 매 계급 1차 진급을 거듭한 선두주자로서 여러 요직을 거쳐 합참 작전본부장과 연합사 부사령관을 역임한 연합합동작전의 대가였기에, 중장 5차 진급을 할 정도로 진급이 늦고 그간 육군 후방의 한직을 전전했던 이순진 장군보다 합동참모의장으로서의 직무 수행 역량이 뛰어난 것은 너무나 당연했다. 그렇기에 국방 기자들도 박 대장의 합참의장 영전을 당연시했다.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03/11/20150311004553.html?OutUrl=naver|관련기사]] 인사가 단행될 2015년 하반기 기준으로 당시 육군 대장 중 1, 2, 3군사령관은 각각 취임 기간이 1년 남짓 된 상태였기에[* 1군 [[장준규]](2014년 9월 취임), 2군 이순진(2014년 8월 취임), 3군 [[김현집]](2014년 8월 취임)] 연합사 부사령관을 2년 지낸 박 대장이 합참의장에 취임하고 나머지는 유임되는 게 인사 운용의 정석이었다. 그러나 2015년 9월 14일, 많은 이들의 예상에서 후보에도 없던 [[제2작전사령관]] [[이순진]] 대장이 합참의장에 지명되며 결국 박 대장은 전역하게 되었다. 이순진 대장은 3사 출신이기도 했거니와 당시 합참의장 [[최윤희(군인)|최윤희]] 제독과 같은 77군번인지라 대부분 사람들이 뒤늦게 단 2군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리라 예상했다. 광주일고 출신이라 대구 출신인 이순진 대장에게 밀린 것이 정부 성향에 의해 출신지역에 따른 불이익을 본 것이라 보는 시각도 있었다. 그 정도로 박선우 대장은 그간 군 내에서의 평판이나 직무역량, 거기에 인사 시기까지 합참의장에 적합했다. 다만 최윤희 의장이 역대 최초 해군 출신이었고, 이순진 의장은 역대 최초 3사 출신이라는 상징성을 보유하고 있었기에, 그간 육사 출신이 독점하던 직위를 강제로라도 타 출신에 배정해야 국방의 균형이 이루어진다는 시선도 있어서 큰 시각으로 보면 국방개혁을 위한 작은 발걸음에 불과하다. 이후로도 합참의장은 [[정경두]](공군), [[박한기]](학군), [[원인철]](공군) 등 육군, 육사 일색의 군 수뇌부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직위로서 기능하고 있다.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YA_PG_20160706_01000077900002521.jpg]] 전역 후 [[2016년]] [[7월 4일]], 27사단에서 강연하기도 했다. 2019년에는 [[동양대학교]] 영주캠퍼스에서 '국방 안보론'이라는 교양강좌를 하였다. 전역 후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에는 광주일고 선배인 [[이낙연]] 후보를 지지했고[[https://www.kgnews.co.kr/mobile/article.html?no=665788|#]], 경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 [[김병주]], [[김도균(1965)|김도균]]처럼 민주당 내 안보 전문가로 활동할 예정인 모양. == 여담 == * [[가톨릭|가톨릭 신자]]로 [[세례명]]은 [[모세]]다. * 특이한 이력으로, 26기계화보병사단장(불무리부대), 이라크평화재건사단장(자이툰부대), [[제37보병사단]]장(충용부대) 등 [[사단장]]을 무려 3번이나 역임했다. 이는 직위 이동이 빈번했던 [[6.25 전쟁]] 이후 처음이다. * [[파일:external/www.millgall.com/20140113142422_1.jpg]]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분류:1957년 출생]][[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